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5년 최순환(崔順煥)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開國五百四年乙未十一月十三日 崔順煥 開國五百四年乙未十一月十三日 崔順煥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95년에 최순환이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서. 1895년 최순환(崔順煥)이 상서면 통정리 우평에 있는 5두락지의 논을 70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최학경(崔鶴坰)이 증인으로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조선총독부임야조사위원회(朝鮮總督府林野調査委員會) 서간(書簡)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朝鮮總督府 林野調査委員會 崔基洪 朝鮮總督府 林野調査委員會 崔基洪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조선총독부 임야조사위원회에서 최기홍에게 보낸 간찰의 피봉. 조선총독부임야조사위원회(朝鮮總督府林野調査委員會)에서 최기홍(崔基洪) 앞으로 보낸 간찰(簡札)의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석동산도형(席洞山圖形)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석동산 도형을 넣은 피봉. 석동산도형(席洞山圖形)을 넣은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석동산지도(席洞山地圖)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崔秉坤 崔秉坤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석동산 지도를 넣은 피봉. 석동산지도(席洞山地圖)를 넣은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0년 최용경(崔龍坰)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六年正月 日 國王 崔龍坰 光緖六年正月 日 國王 崔龍坰 서울특별시 [署押]1개 10.5*10.5(정방형) 적색 1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80년(고종 17) 1월에 국왕이 최용경을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0년(고종 17) 1월에 국왕이 최용경(崔龍坰)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최용경은 1885년(고종 22) 3월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 행 용양위호군겸오위장(龍驤衛護軍 兼 五衛將)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달 또다시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겸오위장(同知中樞府事 兼 五衛將)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같은 달 그는 식년 생원시에 합격했다. 그의 나이 82세 때의 일이었다. 그가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합격증서인 백패(白牌)도 그의 집안에 현존하고 있다. 생원시 합격 이전에 받은 관직은 음직(蔭職)으로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이용기(李容器) 남원군(南原郡) 미곡통제조합비(米穀統制組合費)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 年 月 日 南原郡米穀統制組合 李容器 昭和 年 月 日 1941 南原郡米穀統制組合 李容器 전북 남원시 1.0*1.0 1개(청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42년에 이용기(李容器)가 남원군(南原郡) 미곡통제조합(米穀統制組合)에 조합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 1942년에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에 사는 이용기(李容器)가 남원군(南原郡) 미곡통제조합(米穀統制組合)에 조합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이다. 이용기는 1942년도 조합비로 50전을 납부하였다. 미곡통제조합은 일제 강점기인 1935년 「미곡자치관리법」을 시행하면서 전국 12도에 설립되었다. 이 법은 미곡 공급이 과잉인 경우에 과잉 쌀을 통제하기 위해 미곡의 자치관리를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법령이다. 미곡의 공급 과잉이 예상되는 지주와 생산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곡통제조합에게 맡겨 쌀을 관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36년 10월말 전체 부군도(府郡島)의 75%에 미곡통제조합이 설립되었으며, 1936년 말에는 도 단위의 미곡통제연합회가 설립되었다. 전북 지방에 미곡통제조합연합회가 설립된 것은 그해 12월 8일이었다. 미곡통제조합은 군·도농회(郡島農會)와 그 구역을 같이 하였고, 조합원 대부분이 농회원이었으며, 임직원도 농회 임직원이 겸하는 등 군·도농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미곡통제조합은 또한 통제미곡의 할당, 저장, 자금의 융통 또는 알선, 미곡의 매도, 저장 해제, 미곡의 위탁 판매 또는 보관, 창고증권의 발행 등 광범위한 통제 기능을 가졌다. 따라서 농민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곡식을 거래하기 위하여 미곡통제조합은 물론, 시군별 농회, 식량검사소, 수산물검사소 등으로부터 철저한 통제를 받았다. 1937년 중일전쟁과 1941년 태평양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일제는 식량관리법을 공포하여 전쟁물자를 조달하는데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미곡통제조합은 이같은 곡물수탈의 과정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第1130號 昭和十六年度 新波里 李容器 納一金 三,九九 錢也 地稅(國稅) 昭和十六年度 第一期分一金 三,○七 錢也 地稅附加稅(道稅) 仝一金 二,八七 錢也 地稅附加稅(面稅) 仝計金 九,九三 錢也右 領收候也昭和十六年拾貳月卄壹日領收 持叅 托納 受督南原郡德果面會計員 東 川 鍾 烈[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사유림벌채원(私有林伐採願) 서식(書式)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사회-조직/운영-서식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소화 연간에 사용된 사유림벌채원 서식 일제 강점기 시대인 소화(昭和) 년간에 사용된 사유림벌채(私有林伐採) 허가원 서식(書式)이다. 국한문혼용(國漢文混用)으로 되어 있으며, 접수처는 부안군수(扶安郡守)로 되어 있다. 그러니까 본 서류는 부안군에서만 사용되었던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사유림벌채원(私有林伐採願) 서식(書式)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사회-조직/운영-서식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소화 연간에 사용된 사유림벌채원 서식 일제 강점기 시대인 소화(昭和) 년간에 사용된 사유림벌채(私有林伐採) 허가원 서식(書式)이다. 국한문혼용(國漢文混用)으로 되어 있으며, 접수처는 부안군수(扶安郡守)로 되어 있다. 그러니까 본 서류는 부안군에서만 사용되었던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森林略圖錯誤申告事實扶安郡扶寧面蓮谷里山三五-一林野三五-二林野三一林野三三林野奉德里山三五林野全部面積이十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인바隆熙三年農商工部地籍屆한森林略圖은道調査時에申告ᄒᆞ고本府調査時에誤錄된森林略圖을不知中에申告한事實이的確함으로今般地籍屆한森林略圖原本을模寫ᄒᆞ야本郡証明을提出申告ᄒᆞ오니右証明한略圖로認定ᄒᆞ심을敬要昭和拾年壹月參拾日扶安郡扶寧面瓮中里右申告人崔基洪朝鮮總督府林野調査委員會啣中--証明願全羅北道扶安郡下東面席洞山面積拾五町參反參畝貳拾八步ニ對レ所有者扶安郡立下面愚磻里崔炳郁ガ森林法第拾九條ニ依イ地籍屆テレタ/ト/啣証明相成度此段及奉願候也昭和拾年壹月參拾日扶安郡扶寧面瓮中里右願人崔基洪[印]扶安郡守 殿右之通相違無キコトヲ證明ス昭和拾年壹月三十日扶安郡守[印]--民有森林略圖全羅北道扶安郡下東面席洞山面積十五町三反三畝二十八步所有者全羅北道扶安郡立下面愚磻里崔炳郁略圖[그림]--扶安郡扶寧面奉德里山三五番林野右林野一町三反四畝ᄂᆞᆫ蓮谷里三五-一林野와三五-二林野와三一林野와三三林野와同一한地籍届圖本에包含인바自來紛爭地로事實이一致홈右申請人 崔基洪--扶安郡扶寧面蓮谷里席洞山全州崔氏墳墓錄三五-一番林野 有碑墳墓十七基無碑墳墓三十八基計五十五基也三五-二番林野 無碑墳墓九基計九基也三一番林野 有碑墳墓二十一基無碑墳墓三十七基計五十八基也三三番林野 無碑墳墓一基計一基在總計墳墓一百二十三基也申請人崔基洪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1935년 최동한(崔東漢) 사유임야보호규칙(私有林野保護規則)에 의한 시업신청서(施業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신청서 정치/행정-보고-신청서 崔東漢 崔東漢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5년 최동한이 작성하여 부안군수에게 제출한 사유임야보호규칙에 의한 시업신청서. 1935년 최동한(崔東漢)이 작성하여 부안군수에게 제출한 사유임야보호규칙(私有林野保護規則)에 의한 시업신청서(施業申請書)이다. 보안면(保安面) 우동리(牛東里)에 사는 최동한은 최병욱(崔炳郁)의 상속인으로서 부안 부령면 연곡리 산 31번지를 사유임야보호규칙(私有林野保護規則) 제3조에 의해 신고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 太包価二戔 又八戔?▣(右)回諭事惟我門稧日子十一月初十日完定日也故玆以發文各處用錢▣(之)人並本利持是遣右日一齊來會于席洞齋室無至愆期之地幸甚甲申十月十五日發文瓮井司果宅 十兩 △利五兩 利本入外遯溪 崔公瑺 十兩 △利五兩 利入大富谷 崔淑慶 三十兩 △利十五兩內三十二兩入風浪洞 崔義正 二十兩 △利十兩 利入〃 崔文汝 二十兩 △利十兩內七兩入新石堤 崔致一 十兩 △八兩 山訟時推用 二兩得用 利五兩內三兩入瓮井 崔文玉 十兩 △利五兩 利本入長橋 崔寬直 十四兩 △利七兩〃 崔寬一 二十兩 △利十兩內二十一兩納星岩 崔應贊 十兩 △利五兩內十一兩五戔入葛村 崔應化 十兩 △利五兩 利本〃 又三兩七戔五卜 △利一兩八戔 八卜〃 崔德玄 七兩五戔 △利三兩七戔五卜〃 崔明五 八兩五戔五卜 △利四兩二戔八卜〃 崔致云 十兩 △利五兩利入乾先 崔德玄 十兩 △利五兩內四兩入鳳頭里 金斗成 三兩 △利一兩五戔 利本入道洞 李昌國 七兩 △利三兩五戔內七兩入新石堤 崔士中 五兩 △利二兩五戔入〃 崔聖昭 三兩 △利一兩五戔 利本入星岩 金長石 九兩 △利四兩五戔入止浦 李在元 十兩 △利五兩利本入白蓮洞 崔士元 九兩四戔五卜 △利四兩七戔三卜杏山 金順汝 七兩 △利三兩五戔 利本入新石堤 全蓮實 十兩 △利五兩利入〃 東順 十兩 △利五兩利入蓴堤東 金卜同 二兩五戔 △利一兩二戔五卜內三兩六戔二分入蓮洞 崔士彦 四十七兩一戔八卜 △利二十三兩五戔九卜又 □□□□ 三兩 △利一兩五戔內三十五兩 入山幕 崔道彦 三兩 △利一兩五戔長橋 崔明云 五兩三戔二卜 △利二兩一戔四卜蓮洞 崔已叔 三兩 官廳条東順 松価 一兩五戔太甫 一兩三分 △利四戔一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최진경(崔珍京) 호적(戶籍)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昭和八年五月貳日 金堤郡水流面長 崔珍京 昭和八年五月貳日 金堤郡水流面長 崔珍京 전라북도 김제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3년 최진경이 김제군 수류면으로부터 발급받은 호적 1933년 5월 1일, 김제군(金堤郡) 수류면(水流面) 성계리(星溪里)에 사는 최진경(崔珍京)이 김제군 수류면으로부터 발급받은 호적(戶籍)이다. 전호주(前戶主)인 최사홍(崔士洪)의 현호주(現戶主) 최진경의 아버지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2년 석동재(石洞齋)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壬申三月二十二日 席洞齋閣 壬申三月二十二日 席洞齋閣 崔氏族員 전라북도 전주시 [着管]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2년 3월에 석동재의 도유사최동한 등이 문중의 부채에 관하여 족원들에게 알리면서 작성한 통고문. 1932년 3월에 석동재(石洞齋)의 도유사(都有司) 최동한(崔東漢) 등이 문중의 부채에 관하여 족원들에게 알리면서 작성한 통고문이다. 당시 부채가 많았던 최씨문중은 채권자가 빚을 빨리 갚으라고 독촉하자 여러 명의 종중 도유사들이 주축이 되어 족원들에게 통문을 보내게 되었다고 사유를 밝히고 있다. 만약의 경우 어떤 일이 닥칠 줄 모르기 때문에 만반의 준비를 하여 종중에 후회가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그리고 문서 말미에 한벽당(寒碧堂) 의연금(義捐金)을 편리한 대로 보내주어서 대종중(大宗中)이 민망한 일을 당하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이 통고에는 도유사(都有司)인 최동한(崔東漢), 문중유사(門中有司)인 최춘홍(崔春洪)과 최병호(崔秉澔), 문중노인(門中老人)인 최한홍(崔漢洪)과 최인배(崔仁培)와 최병두(崔秉斗) 등이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