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족종(族從) 학담(學湛)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昭和 年 月 日 族從 學湛 昭和 年 月 日 族從 學湛 族兄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족종 학담이 보낸 간찰의 피봉. 족종(族從) 학담(學湛)이 보낸 간찰(簡札)의 피봉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第二二○號 昭和十六年度 新 里 李容器 納一金 四拾四圓 七拾六錢也 地稅(國稅) 昭和十六年度 第二期分一金 參拾四圓 五拾錢也 地稅附加稅(道稅) 仝一金 參拾貳圓 貳拾貳錢也 地稅附加稅(面稅) 仝計金 一一一圓 四八錢也右 領收候也昭和十七年 月 日領收ス南原郡寶節面會計員 李本光[印]⊙稅金은必히期限內에納付할事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第二一二號 昭和十六年度 新 里 李元暢 納一金 壹圓 八拾參錢也 地稅(國稅) 昭和十六年度 第二期分一金 壹圓 四拾壹錢也 地稅附加稅(道稅) 仝一金 壹圓 參拾壹錢也 地稅附加稅(面稅) 仝計金 四圓 五五錢也右 領收候也昭和十七年 月 日領收ス南原郡寶節面會計員 李本光[印]⊙稅金은必히期限內에納付할事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이용기(李容器) 남원군(南原郡) 덕과면(德果面) 지세(地稅)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十七年二月 25日 南原郡德果面會計員 東川鍾烈 李容器 昭和十七年二月 25日 南原郡德果面會計員 東川鍾烈 李容器 전북 남원시 1.2*1.2 2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42년 2월에 이용기(李容器)가 남원군(南原郡) 덕과면(德果面)에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 1942년 2월에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신파리(新波里)에 사는 이용기(李容器)가 남원군(南原郡) 덕과면(德果面)에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領收證)이다. 이용기는 1941년도 2기분 지세(地稅)(국세(國稅))로 3원 26전, 지세 부가세(도세(道稅))로 2원 51전, 지세부가세(면세(面稅))로 2원 34전 등 모두 8원 11전을 납부하였다. 당시 덕과면에서 해당 업무를 담당한 회계원은 동천종렬(東川鍾烈)이었다. 이해 이용기가 덕과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은 또 있다. "1942년 이용기(李容器) 남원군(南原郡) 덕과면(德果面) 지세(地稅) 영수증(領收證) 2"가 그것이다. 두 번째 문서의 지세가 첫 번째보다 조금 많다. 각기 다른 전답에 대하여 각각 지세를 내었는지, 아니면 이전 것을 취소하고 지세를 다시 내었는지 알 수 없다. 지세는 조선왕조 때에도 국가 세입의 상당부분을 차지했으며, 일제 강점기에 들어와서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주세 수입의 원천이었다. 일제는 지세의 원천인 토지제도의 정리에 심혈을 기울여, 1912년부터 토지소유권을 명확히 규정한다는 명분으로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으며, 1914년 '지세령'을 공포해 세율을 인상했다. 1918년에 토지조사사업이 종결됨에 따라 토지대장 및 지적도가 정비되자 지세령을 개정하여 과세표준과 세율을 개정하는 등 세 단계를 거쳐 조세제도를 구축해 나갔다. 제1단계는 과세대장에서 누락되어 있던 탈세자를 탖아내 과세대상을 확대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1905년 등록된 토지면적이 약 96만결이던 것이 1910년말에는 약 102만결로 늘었다. 특히 오랫동안 지역토호들에 의해 자행되어온 은결(隱結) 등 지세 부과대상에서 벗어나 있던 토지들에 대한 과세를 정비하자 세수가 크게 늘었다. 그러 그 과정에서 농민들의 상당수는 가지고 있던 전답의 소유권을 박탈당하였다. 제2단계는 1914년 3월에 지세의 부과, 면세 및 징수에 관한 기본법인 지세령 및 시가지세령을 제정 공포한 것이었다. 지세령의 개정으로 세율이 크게 오르자 세수도 크게 늘었다. 예컨대 1913년도 지세수입이 647만원이던 것이 1914년에는 945만원으로 47.4%나 증가하였다. 제3단계는 토지조사사업을 완료하고 1918년 세제 정리를 통해 지세에 대한 과세율을 개정한 것이었다. 종래의 과세면적 단위인 '결(結)' 제도를 폐지하고 토지 수익에 기초하여 토지대장에 등록된 '지가(地價)'를 과세표준으로 한 것이다. 이것은 물납제에서 금납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918년 토지조사사업이 모두 마무리되면서 1920년에는 지세 수입이 1910년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했다. 당시 총 조세 수입 가운데 지세가 25% 정도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일제의 조세수입은 연평균 15.9%라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일제는 이렇게 확보된 지세 수입을 통해 총독부의 예산을 확충해 식민지 지배의 기반을 강화할 수 있었다. 때문에 많은 우리 농민들은 지주에게 유리한 기한부계약제 소작농 혹은 화전민으로 전락하거나 만주·연해주·일본 등지로 이주했다.(이재은, ?일제강점기 조선지방재정사 연구?,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第三一九號 昭和十六年度 新波里 李容器 納一金 三,二六 錢也 地稅(國稅) 昭和十六年度 第二期分一金 二,五一 錢也 地稅附加稅(道稅) 仝一金 二,三四 錢也 地稅附加稅(面稅) 仝計金 八,一一 錢也右 領收候也昭和十七年二月 25日領收 持叅 托納 受督南原郡德果面會計員 東 川 鍾 烈[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최광환(崔光煥) 서간(書簡)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崔光煥 崔光煥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최광환 앞으로 보낸 간찰의 피봉. 최광환(崔光煥) 앞으로 보낸 간찰(簡札)의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성근(成根) 서간(書簡)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成根里 石洞齋 畏軒丈 成根里 石洞齋 畏軒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전북 부안군 동진면 성근리에 사는 아무개가 석동재의 외헌장에게 보낸 간찰의 피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산송사적초(山訟事蹟抄)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산송사적 등 관련문서를 넣은 피봉. 산송사적(山訟事蹟)과 대원위(大院位) 제교(題敎) 등의 문서를 넣은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證第六四三號 昭和十六年度 新 里 李元暢 納 [印]一金 壹円八拾參錢也 地稅(國稅) 昭和十六年度 第一期分一金 壹円四拾壹錢也 地稅附加稅(道稅) 仝一金 壹円參拾壹錢也 地稅附加稅(面稅) 仝計金 四円五拾五錢也右 領收候也昭和十六年 月 日領收ス南原郡寶節面會計員 李本光器[印]⊙稅金은必히期限內에納付할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대서업(代書業) 촌전이웅(村田利雄) 서간(書簡)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村田利雄 村田利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대서업을 하는 촌이웅이 보낸 간찰의 피봉. 대서업(代書業)을 하는 촌전이웅(村田利雄)이 보낸 간찰(簡札)의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판관공파답등기건(判官公派畓登記件)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전주최씨 판관공파답 등기 관련서류를 넣은 피봉. 전주최씨(全州崔氏) 판관공파답등기건(判官公派畓登記件) 관련서류를 넣은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6년 최용경(崔龍坰)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崔龍坰 崔龍坰 8.5*8.5(정방형) 적색 2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