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1년 이예(李芮) 연촌선생퇴휴시송별시서(烟村先生退休時送別詩序) 고문서-시문류-서 교육/문화-문학/저술-서 景泰二年辛未仲冬上澣 李芮 景泰二年辛未仲冬上澣 1451 李芮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451년(문종 1)에 향리로 물러나는 연촌 최덕지를 송별하며 이예가 작성한 시서. 1451년(문종 1) 겨울에 향리로 물러나는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 1384~1455)를 송별하며 이예(李芮, 1419-1480)가 작성한 시서(詩序)이다. 최덕지는 1405년(태종 5)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사관(史官), 교서관(校書館) 정자(正字), 김제군수(金堤郡守), 남원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다. 문종이 즉위한 후 예문관(藝文館) 직제학(直提學)에 기용했으나, 연로함을 이유로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갔다. 당시 그의 나이 아직 70이 되지 않았을 때였다. 임금을 비롯하여 조정의 신료들이 그에게 머물러 있기를 바랐으나, 연촌은 전라도 영암에 존양(存養)이라고 이름 지어놓은 소당(小堂)이 있다면서 이제는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다고 말하면서 귀향의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가 귀향할 때 동료들이 시부(詩賦)를 지어 주었다. 그리고 그 송별시에 서문을 써달라고 부탁을 받고 이예가 쓴 것이 바로 이 글이다. 이예는 본관이 양성(陽城)으로, 1438년(세종 20) 진사시에 합격하고, 1441년(세종 23)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군기시(軍器寺) 직장(直長), 종부시(宗簿寺) 직장(直長) 등을 거쳐 집현전(集賢殿)에 들어가 ?의방유취(醫方類聚)? 등 의서(醫書)와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다. 성종 때 외직으로 나가 황해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참판, 대사헌, 개성유수, 공조판서, 한성부 판윤 등을 지내고 형조판서로 있다가 죽었다. 박학(博學) 다문(多聞)으로 명망이 높았다. 시호는 문질(文質)이다. 이 글은 후대에 누군가가 원문에서 베껴 쓴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