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春谷序余老且病閣筆硯久何敢人號哉然得聞鄭友寅韶之口則崔處士秉禹眞君子人序號春谷烏可辭夫春其氣和谷其地幽幽谷和春乃萬物發生之始餘何可量也盖嘗聞秉禹氏卓然湖南名士容用余老毫贊然不阿好故爲之序系之以詩曰谷有盤君子之居李愿去矣秉禹攸廬谷有口君子之扃鄭眞去矣秉禹攸耕號始鬼春谷亦谷我有所祝幽遷喬木己巳冬十一月旣望資憲大夫掌禮院卿弘文館學士碧珍李愚冕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沙隱齋小序吾齋成吾以名吾齋以沙隱者固以據吾本號而推及之也客有登齋而叩之曰何不別擇齋名惟以本號加之乎吾應之曰齋是吾身爰居之所則身與齋同一吾也故如此云矣客曰隱固今日十分義諦則切宜乎僻岡窮峽時人不知之處何必爲此歷歷沙上人而但借跡於隱乎吾曰吾之隱於沙不敢追跡於河武海襄之擇地避世以八隱也盖吾八世祖沙浦公自龍城之芳磎始移家於此下沙里因爲世居故追慕先蹟之在玆且身爲漁釣之侶於斯也客曰齋居何事爲了當吾曰魚鳥爲隣觴咏自娛以終餘年計也客曰噫爲人父祖者其於日用動作固當貽謨於子孫也奚止於一生閒逸乎昔柳節度中門東小齋固美其家法百原山書齋必正其衣冠而篤學武夷山隱求齋必求長其道心遂成千古典型今此齋主人亦爲隱此而熟講其先祖沙浦公所讀書以求道心之長以篤學業之正以治家法之美要得師法乎彼三齋之凖的豈非立齋之嘉猷乎吾聞客言而惴惴以自警省且詳道其言於家弟與兒孫輩使之激勵因爲序次當日主客立論庶欲有補於垂世成立之…▣矣…▣申中戊寅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636년 이식(李植) 연촌선생가전시문록후서(烟村先生家傳詩文錄後叙) 고문서-시문류-서 교육/문화-문학/저술-서 崇禎丙子七月之望 李植 崇禎丙子七月之望 李植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636년(인조 14) 7월에 이식이 연촌 최덕지의 가전시문록에 쓴 후서. 1636년(인조 14) 7월에 이식(李植)이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 1384~1455)의 가전시문록(家傳詩文錄)에 쓴 후서(後叙)이다. 최덕지는 1405년(태종 5)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사관(史官), 교서관(校書館) 정자(正字), 김제군수(金堤郡守), 남원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다. 문종이 즉위한 후 예문관(藝文館) 직제학(直提學)에 기용되었으나, 연로함을 이유로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갔다. 당시 그의 나이 아직 70이 되지 않았을 때였다. 임금을 비롯하여 조정의 신료들이 그에게 머물러 있기를 바랐으나, 연촌은 전라도 영암에 존양(存養)이라고 이름 지어놓은 소당(小堂)이 있다면서 이제는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다고 말하면서 귀향의 뜻을 분명히 하였다. 연촌이 귀향할 때 조정의 명사(名士)들이 시부(詩賦)를 지어주며 전별했으며, 존양루에도 제문을 지어주었다. 또 장수를 누리고 많은 후손을 두고 있는 연촌의 부친 월당(月塘) 최담(崔霮, 1346~1434)을 칭송하는 시문도 많이 지어 주었다. 전주최씨 문중에서는 이들 시문을 오래도록 소중하게 지켜왔지만 정유왜란을 거치면서 존양루가 훼손되고 시문도 산일되는 비운을 겪었다. 이제 향리의 사람들이 연촌을 위하여 사당을 지어 제사를 드리고 있으며, 연촌의 7대손 전 참봉 최정(崔珽)은 남아 있는 시문 90여 수를 수습하여 시문집을 간행하면서 이식에게 발문을 지어주기를 부탁하였다. 이식은 연촌이 순실하고 순덕한 학자로 백세(百世)의 사표가 되는 분이라고 하였다. 또한 당대에 고관에까지 올라 장래가 촉망되었지만 갑자기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결과적으로는 곧바로 불어닥칠 문종의 죽음과 노산군의 양위(讓位)에 이르는 어려운 시기를 모면할 수 있었으니, 얼핏 보기에는 기미를 알아채고 화를 피했다고 볼 수도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무리 명석하다고 하여 어찌 그같은 천수(天數)를 미리 헤아릴 수 있었겠는가? 이식은 ?주역(周易)?의 겸괘(謙卦) 단사(彖辭)에서 "천도는 차서 넘치면 허물어뜨리고 겸허하면 더해 주며, 지도는 차서 넘치면 변화시키고 겸허하면 계속 흘러가게 하며, 귀신은 차고 넘치면 재앙을 내리고 겸허하면 복을 주며, 인도는 차고 넘치면 싫어하고 겸허하면 좋아한다.[天道虧盈而益謙 地道變盈而流謙 鬼神害盈而福謙 人道惡盈而好謙]"라는 구절과, ?시경(詩經)? 대아(大雅) 한록(旱麓)에서 "화락하신 군자님은 신명이 보우한 바이로다.[豈弟君子 神所勞矣]"라고 한 구절을 인용하여, 이 모든 일이 연촌의 순수한 덕성에서 비롯된 것이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관계에서 갑자기 물러난 것은 연촌뿐만이 아니었다. 그의 형 최광지(崔匡之)와, 최광지의 아들 옹암(甕菴) 최생명(崔生明)도 마찬가지였다. 세속적인 명리를 추구하다가 단종대와 세조대에 패가망신한 사람들과 가문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러니 전주최씨의 오늘이 있었던 것도 어떻게 보면 연촌을 비롯한 선대의 올바른 처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지도 모른다. 후서를 지은 이식은 본관이 덕수(德水)이며,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 남궁외사(南宮外史), 택구거사(澤癯居士) 등이다.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설서(說書), 북평사(北評事),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냈다. 1618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관직에서 물러나 경기도 지평(砥平)으로 낙향했다.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이조좌랑에 기용되었으며, 뒤에 대사간(大司諫), 대사성(大司成), 예조참판, 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이식은 1642년에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청나라를 배척할 것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중국의 심양(瀋陽)으로 잡혀갔다가 그 뒤 탈출하여 귀국했다. 1643년 대사헌과 형조·이조·예조의 판서 등 조정의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했다. 이식은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이정구(李廷龜)·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꼽힌다. 문집으로는 『택당집(澤堂集)』이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령김씨족보등본(扶寧金氏族譜謄本)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사회-가족/친족-족보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령김씨족보의 등본. 부령김씨족보(扶寧金氏族譜)의 등본(謄本)이다. 내지에 ‘崇禎四丙午暮春刊印’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전주최씨족보묘적(全州崔氏族譜墓籍)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사회-가족/친족-족보 崔炳都 扶安面長 崔炳都 扶安面長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전주최씨족보에 기록된 전주최씨 선인들의 묘지 소재지 목록.○ 내용 전주최씨족보(全州崔氏族譜)에 기록된 전주최씨 선인들의 묘지(墓地) 목록소재지를 기록한 문서이다. 전주최씨족보(全州崔氏族譜)에 기록된 전주최씨 선인들의 묘지(墓地) 목록소재지를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지도(地圖) 잔편(殘片)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유절재 소장의 지도 잔편 유절재 소장의 지도로, 도면의 일부여서 어느 지역인가는 알 수 없으나, 묘소 또는 소유 임야와 관련하여 작성한 지도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念修齋記完府東周德山文▣(貞)公祖壇之北枕甲之原四尺之封者維我十五世祖松厓府君衣履之攸藏也今追漽其安厝於此四易世紀歷年頗久而屢遭滄桑然禁護順續對域悠閒歲於辛▣…▣宿之所宗議一發遠近合致肯担於費樂趨於役工起於同年十月閱月告訖堂凡四楹庭園幽闃奚論於欄楿刻畫之文要在於規制淸朴之質而已春秋芬苾花樹團會自此有所得伸展省之禮幷叙惇睦之倫而俱無憾於幽明窃惟府君 英顯盛際歷敭淸要將大有爲以及乎 光莊先機勇退出處名節輝映史策古云庸後裔易名後裔難况處於難而言念無忝豈不戰慄第惟祖於子孫世遠百代而氣則▣連祭祀安得不潔蠲阡塗賁飾烏可已乎若吾族者門素淸寒難以自給而至有關於先事殫誠竭力有終乃已遠程幷日時必瞻掃是由於根性之摯而抑又有有所本而然也仁居回首仁莫先於孝孝爲百源孝莫大於述先覆載之間生具人形者誰敢泛忽於此念修扁義所關至重上下人道一是皆以爲本於修一字矣曾經不亦敎戒乎念念不離力踐篤行以正以誠則迺可免於忘先悖倫之譏而推於家國又何有焉如余淟劣不揆妄率敢書所感而共勖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永昌堂記 堂在竹洞昔者松齋公始建歲丁丑竹泉公重修龜山公成愚山門人永昌堂者卽崔氏世居之正寢也在昇州郡海龍坊鸚鵡山之陽崔氏宅玆者凡十餘世人物行學承承無替可謂江湖罕有之福地也今其後孫有學林君亦文雅可人與余爲忘年至友一日抱其先籍來言曰凡人家零替皆由子孫心志之放縱忘其祖先樹立之篤實吾實有鑑於此欲叙述祖先世世嘉言懿蹟及其艱難樹立之由揭之於正寢之楣使後孫朝夕省覽仰慕而俯訓兼當一部家史講誦不忘則豈非吾姓永世彌昌之道耶故顔之曰永昌以寓祝願之意願吾丈之文之垂戒後來焉余應之曰豈不善哉然奈余不文何辭愈固而請愈勤故敢爲之記曰崔氏系出完山麗朝門下侍郞文成公阿爲顯祖韓朝直提學文肅公烟村先生德之爲中祖烟村之曾孫曰吏曹叅判巖溪公連孫巖溪之八代孫曰處士沙浦公鳳河字麟瑞始自南原之芳磎南徙于此實昇州完崔之始遷祖也公以簪纓古族旣爲人所尊仰而耿介儒雅不慕浮榮篤踐實地務農桑而營生克修齊而治學優爲師表多少著述歲久散佚然讀其遺詩數篇可想其淸雅襟懷矣鄕邦稱道遠近化服至今稱沙浦處士而藉藉口碑有子曰英弼字國佐號三省軒孝義文行稱於當時官蔭階嘉善中樞是生子曰重佑字允卿號松齋孝悌父兄恤窮施義妙於筆翰工於科文移居近局之竹洞湖嶺之士樂與相從享壽八十蹟載道誌是生子曰翼文字敬輔號桐亭紹述世業化服鄕隣與弟唱和塤箎一門賴爲蓍龜享年八十二載於道乘是生子曰振弘字明汝號藍山上有伯仲二兄桐亭公特愛公之贒付以先蹟重違治命而受之克敦友恭湛樂天倫文學卓然嘗撮古人嘉言善行訓迪後進構一閣於竹林之下顔以淸風邀遠近士友詩酒爲樂家聲大振是生子曰光顯字性智號聽溪居四兄弟之第二得承先業如藍山公之故事器宇魁偉氣岸堂堂凜凜有萬夫難奪之槪最惡强凌弱富侮貧而摧拉之宗隣親愛鄕邦敬服料事明敏决機果勇廉正自守人無敢以非義干之方伯禮貌府營敬憚世稱昇州鳳凰嘗以烟村先生宗垈事鳴寃于完營且以松齋公墓山事呈牒于梅營此謂盡心先事之梗槪焉別有天才能於詞藻有遺什享年七十五是生子曰相琦字允五號誠菴幼有英才長益力學以顔子四勿曾子三省爲一生誠信之箴精解詩禮數學府使柳?問詩禮及量地術而與之量本府田使稅賦均平民樹崔柳功德碑而頌之時稱少鳳尤誠於祭先務其豊潔宗中長老又號其堂曰藍溪謂其能纘祖與父之緖也但年纔知命而卒未克終孝是爲茹恨時稱少鳳是生子曰圭善字元擧號農隱篤於孝友與弟農山圭廈文詞幷美人以儔於機雲軾轍屢得鄕貢發解而會試不諧咸惜其命焉後從許梅村䓧門始聞心性理氣之學而得深造築齋竹洞之上暑以耦耕兄弟寄趣農畝又署所居曰感烏堂而取義反哺誠菴公之沒也遺訓善養祖而八九年間婉容怡色常如一日負米於百里之外買鮮於越嶺之市海門社祭時捨肉不食有梁丈錫伍問故公對以思祖梁卽感以與堆肉歸供有一浮浪族私賣沙浦先祖祭田費盡公卽伐先壟松楸而推還咸服其爲先處變之得宜焉承重居喪十數年極盡哀禮稱孝子孝孫事載昇平誌是生子曰春鎬字乃三號龜山志剛操潔疾惡如讎甲午東匪遠近士類無不投入獨毅然自守爲其所疾多見困辱然及掃蕩之時渠魁之外多保救無冤死者人皆頌德家雖淸貧對賓款厚與諸宗修一禊悉具先墓石儀築一亭顔曰梅竹以寓高潔貞直之懷冠婚喪祭一遵古禮所費亦有常數倭政初力辭出仕之薦而終是屹然不動於滔滔昏墊之中若呂梁砥柱也享年七十八有遺稿是生子曰洛珩字丙淳號竹泉孝友慈惠固其天性也父龜山公嗜飮美酒佳肴罕有闕日嘗負書於百里之外且迎名士於同異之鄕勸讀宗族隣里之子姪當亢旱則寧涸己田而先漑貧弱人之田三省軒公墓山與邑富金學模山連接細部測量時眷眷周急豫防其攘奪金富瞻落(大驚)賣傳來四十餘斗下種田以淸仲父之債帳備經艱難而晏如也署其燕居之堂曰知止蓋取知止不殆之義曾受業於柳龜汀之門龜汀許以一鄕望士詩與書又雅潔可範自松齋公至竹泉公八世皆有蔭官崇資蓋以孝義學行蒙貤贈之榮典者而備載譜乘故玆不疊書焉今學林君卽此竹泉公之子而克承世業且學詩於尹酉堂先生之門鬱有聲譽然其志不欲徒以浮藻自足能知惇本務實之學之爲重也而尙之也則此堂也當以記揭歷世嘉言懿蹟爲內觀之美至若堂高幾仞榱題幾尺間架軒楹外飾之華則不屑乎記者也堂之門曰大興門外舍曰惜陰齋齋之門曰希贒門其命名意義凡讀書者皆可想得也嗟乎凡人先世有如此贒行者一二猶足誇美况此崔氏十數世連綿之多而不大見知於世乎孔子曰不患莫己知求爲可知也崔君之惇務本實者可謂克盡求爲可知之道者歟由是而加勉焉則其永世彌昌也又奚疑焉歲上章攝提格淸和節安東權鴻洙謹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念修齋記 土亭里鳴鶴洞齋室維全州之周德山寔吾崔氏世葬之域而月塘府君以下墓位在於此所已有齋而扁之以周德繼之而有松崖府君墓旣有周德則不別爲齋可也雖有齋而總之爲周德不別爲扁亦可也今必別爲齋而別爲念修之扁者何哉爲岡陵溪谷之少間於周德而然歟曰非也周德所同也念修所獨也爲別其分派之祖而然歟亦非也府君以月塘肖胤仕於 英顯盛際爲集賢殿提學 上眷方隆若將有爲而知幾而退翛然長往繼是而季弟烟村公及府君之胤子甕菴公次第退歸不及於難府君之退固自爲明哲而烟村甕菴公之退雖未知其先府君之有命與否亦不可不謂府君之先見有以啓導之也盖在 莊光之世幸禍貪利▣(利)身拂靑紫爲世唾鄙爲後孫恥辱者固不足道至於盡忠立節名耀史策者亦多不免一家一門之禍▣▣(然則)然則府君之明哲固不失爲出處之正而崔氏之有今日皆公之賜也豈不盛歟所以別爲齋而扁之以念修者也詩曰毋念爾祖聿修厥德扁齋之義盖取諸此而念修非二事念祖可修德修德可念祖入此齋者必顧名思義念先祖之德修之而勿替則庶幾哉以是書之與諸宗勖之 十四世孫銓宇一名再榮謹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술년 정재(正齋) 최우홍(崔禹洪) 가장(家狀)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甲戌年 七月 崔秉麟 甲戌年 七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술년에 작성된 최우홍의 가장.○ 내용 갑술년(甲戌年)에 작성된 정재(正齋) 최우홍(崔禹洪)의 가장(家狀)이다. 최우홍의 자(字)는 사유(士裕)이며, 정재는 그의 호(號)다. 갑술년(甲戌年)에 작성된 정재(正齋) 최우홍(崔禹洪)의 가장(家狀)이다. 최우홍의 자(字)는 사유(士裕)이며, 정재는 그의 호(號)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운곡(雲谷) 최운홍(崔雲洪) 가장(家狀)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崔相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최운홍의 가장.○ 내용 운곡(雲谷) 최운홍(崔雲洪)의 가장(家狀)이다. 최운홍의 자(字)는 기서(基瑞)이며, 운곡은 그의 호(號)다. 운곡(雲谷) 최운홍(崔雲洪)의 가장(家狀)이다. 최운홍의 자(字)는 기서(基瑞)이며, 운곡은 그의 호(號)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연촌선생(烟村先生) 추록행장(追錄行狀)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연촌 최덕지의 추록 행장 초안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의 추록행장(追錄行狀)이다. 추록 행장이란 기존에 있는 행장에 더하여 또 쓴 행장을 말한다. 수정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초안(草案)으로 판단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처암(處菴) 최계성(崔繼成) 행장(行狀)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平陽朴徽鎭謹撰 朴徽鎭 崔繼成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모년에 박휘진이 작성한 최계성 행장의 초안○ 내용 모년에 박휘진(朴徽鎭)이 처암선생 최계성(崔繼成)의 평생의 행적을 작성한 행장(行狀)의 초안(草案)이다. 모년에 박휘진(朴徽鎭)이 처암선생 최계성(崔繼成)에 관한 평생의 행적(行迹)을 기릴 목적으로 작성한 행장(行狀)의 초안(草案)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최규준(崔圭俊) 묘갈명(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崔橚 崔橚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문정공 후손인 최숙이 지은 최규준 묘갈명 초고 최규준(崔圭俊)의 묘갈명(墓碣銘)이다. 최규준은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한 후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최아(崔阿)의 할아버지였다. 묘갈명을 지은 사람은 최규준의 후손인 최숙(崔橚)이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敬菴崔公行狀公諱興洪字敬三敬菴號也姓崔以侍中文成公諱阿爲全州氏之肇 提學月塘先生諱霮其曾孫也是生松崖公諱匡之官提學謚文簡卽烟村先生之伯兄也是生甕庵公諱生明進士薦授京市殿直會季父烟村先生致仕歸朗州同時退休扶風及歿有濯纓金先生稱賢之誄享甕井院扶安之崔咸出於是是生固窮堂公諱秀孫師事金寒暄堂先生潛德至孝爲世模楷手植五槐預言五子登科懸鼓於此其言符契人以五鼓名其里與亭享道東院是生處士公諱弼成與季氏處菴公並楔生孝旌配道東院是生諱海參奉是生諱蘭 參奉是生諱淵僉知寔公之九世以上也曰諱萬興諱命翼諱其彩古阜李成述女曾祖禰若妣也公以哲廟己巳五月十日生于甕井里舊第賦性孝自幼知愛其親事親之道不敎而能人皆奇其童心及長未嘗以血氣忤其親命每事必諮爲而不專亦不無克諫遊其有方不以故不歸以貽憂定省不懈每悅口之味于親不于兒〃亦爲之不口父病長三年無數其藥不委人鐺之心憂色沮露禱己代病療奉養逾厚於前越五年遭故是天壽也痛若罔極擗踊號哭幾乎滅性見者喩以孝傷孝非孝乃唯而並禮送終無憾廬于墓以闋制妣喪亦槪如此每夫日痛若袒括致其如在人皆亟稱曰至孝吁其偉哉公之事行惟孝而已則孝之一字只在方寸平生不忘乎親是可稱而可範也蓋人之善行自孝友中出行之大者孝也公之先墓在完山其於先事物心兩至此皆孝推其餘小者可想也且號以敬〃之一字足徵其持身行道之方如何耳以若孝子年八十卒其於泉臺拜謁處士公而庶可無愧也 高宗戊子十二月二日卽其卒日也墓于扶安下西面芝山里先塋下艮坐原齊金海金氏正三厥考後公九年丙申七月二十三日卒墓雙坐秉璣秉學秉永秉浩秉琯鄭樂新妻其男女也秉永出系孫鍾烈長房出雄烈次房出貞烈三房出燦烈四房出曾玄方未艾詩云孝子不匱永錫爾類者是也公之孫鍾烈述家狀與其曾大父銓鶴踵余爲潤銓鶴余之雅契信其狀而略敍之惟僭越者余非其人而亦不文者是彊圉作噩秋七月小望高興柳石承謹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정유년 청포(晴浦) 최덕립(崔德立) 행장(行狀)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丁酉二月 崔斗洪 丁酉二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정유년에 작성된 최덕립의 행장.○ 내용 정유년(丁酉年)에 작성된 청포(晴浦) 최덕립(崔德立)의 행장(行狀)이다. 최덕립의 자는 사윤(士潤)이며, 1606년(선조 39) 식년 진사시에 합격했다. 정유년(丁酉年)에 작성된 청포(晴浦) 최덕립(崔德立)의 행장(行狀)이다. 최덕립의 자는 사윤(士潤)이며, 1606년(선조 39) 식년 진사시에 합격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剛齋府君〔崔公諱涵〕行■(錄)狀■■(府君)諱涵字德潤剛齋其自號也貫全州■(我)崔氏以高麗侍中諱阿爲上祖而歷四世至諱德之於 顯陵之世登敭玉署官藝文直提學士林俎豆于靈岩之鹿洞全州之西山■■南原舟巖又傳至諱連孫文吏判出典江陵去思一片石載在治績諱潤祖都事諱琬部將諱齊雲掌樂院直長諱緯地漢城判官諱景立訓鍊院奉事諱啓業隱德无悶諱翊緖諱鳳來諱齊華諱得大俱有儒行其高曾祖補也妣韓氏上黨諱潤基其外王考也以 英■〔廟〕丙子九月十九日生于舟巖里第氣宇秀拔聲若扣鍾其考甚愛之曰此兒吾家千里駒也稍長就塾無違輔導之訓文理日將剖析肯綮以成宿儒若孝若敬固人之序也未嘗以割股斷指之欲救命於頃刻者爲沾沾也居必愼獨日夕如履臨雖倉卒之際溫柔端閒人不見辭色之異此非勉强於操作而學力之可變化氣質之至粹也孔子曰溫柔敦厚詩敎也又曰詩之失愚剛齋之爲名是學詩不深則必有至於失愚之慮故因以自警焉乙亥〔酉〕正月十六日府君〔公〕之卒年月日而壽七十葬于碧溪之山西乾芝山先塋西麓面酉之阡配陽許氏爀女有壼範育二男二女男長成斗次成泰安東權{亻+燮}全州李濟夏皆婿也孫光澤光受光曦成斗男光燦光華成泰男曾玄繁不殫列噫府君〔公〕雖無琦行偉蹟之可見知於人然甘?艸莱帶鋤劬經未嘗食息而廢棄生或不能救時補瘼而安得無補於来後哉戒子姪曰士之固竆古今同軌而恬然不慍者皆認夫天命而已爾曹當周旋於分內事畏視名利毋僇于親可矣逮于余行〔玄孫〕緦功羣從三十有餘抑吾祖〔公之〕樹德於冥■〔冥〕之中而食報未艾者欤敢綴口傳耳提者忘僣書〔錄〕之如右■…■〔丙申三〕月上澣星州李昌洙謹撰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