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관련 회순(會順) 5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문중회의의 순서.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문중회의의 회순(會順)이다. 문서의 앞 부분이 훼손되어 있어서 어떤 목적으로 개최된 회의인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축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전여책(傳與冊)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乙丑四月初二日 乙丑四月初二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을축년 4월 초2일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제기와 서책 등을 인계하면서 작성한 문서. 을축년(乙丑年) 4월 초2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제기(祭器)와 서책(書冊)을 인수인계하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그 중에는 양안(量案), 서재유생안(西齋儒生案)도 들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별청계(別廳契) 밧자기(捧上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甲辰十一月十日 甲辰十一月十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진년에 부안의 전주최씨 별청계에서 작성한 밧자기. 갑진년(甲辰年) 11월 10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별청계(別廳契)에서 가을의 강신(講信) 때 작성한 밧자기(捧上記)이다. 별청계의 계원들이 가을의 강신 때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 계원들로부터 거둔 돈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옹중리의 한영수(韓永壽)가 14냥 7전을 납부하였으며, 고부(古阜) 신야리의 박내유(朴乃有)는 7냥 5전을 납부했다. 행산(杏山)에서는 김찬경(金贊京)이 3냥 7전 5복을 납부했고, 김영휘와 김치장은 각 10냥씩을, 김두일은 25냥을 납부했다. 계 모임에서는 통상 계원들로부터 회비를 거두어 이를 주로 다른 계원들에게 빌려주고 원금과 이자를 받아 식리(殖利)를 하여 모임의 운영자금으로 활용하였다. 밧자기는 그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한편 문서의 왼쪽에는 오른쪽의 밧자기와는 달리 '출급기(出給記)'가 적혀 있다. 글자 그대로 별청공파에서 돈을 빌려준 사람들의 명단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고부 상리의 김행원(金幸元)이 20냥을 빌렸으며, 연동의 최국홍 등 8명이 각각 1냥 5전씩 빌렸고, 최선국이 8냥 9전 5복을 빌렸다. 즉 문서의 왼쪽이 별청계파에서 돈을 빌려준 사람들의 명단을 적은 출급기라고 한다면, 오른쪽은 별청공파에서 돈을 빌린 사람들의 내역을 적은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오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 하기(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午十一月十二日 戊午十一月十二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오년 11월 11일부터 기미년 3월 16일까지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원재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무오년(戊午年) 11월 11일부터 기미년(己未年) 3월 16일까지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의 원재(元齋)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반와소용기(反瓦所用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辰三月 庚辰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진년 3월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기와 공사에 지출된 내역을 기록한 문서. 경진년(庚辰年) 3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기와 공사에 지출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오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회계기(會計記)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戊午三月卄日 戊午三月卄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오년 3월 21일부터 기미년 3월 16일까지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회계기. 무오년(戊午年) 3월 21일부터 기미년(己未年) 3월 16일까지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회계기(會計記)이다. 색조출급조(色租出給條) 3석 5두 등의 항목이 실려 있다. 회계기의 일부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사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회계기(會計記)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丁巳三月 丁巳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정사년 3월부터 무오년 정월까지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회계기. 정사년(丁巳年) 3월부터 무오년(戊午年) 정월까지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회계기(會計記)이다. 처암공파와 참봉공파의 기록이 나오고, 도조(賭租) 수납 기록도 실려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전기(祭需錢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토목/건축-치부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제수전 납부 기록.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전기(祭需錢記)로, 네 사람의 백미 납부 사실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부안김씨(扶安金氏) 관련 명단(名單)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각 고을에 사는 부안김씨의 명단. 부안(扶安) 각 고을에 사는 부안김씨(扶安金氏) 관련 명단(名單)으로 추정되지만, 어떤 목적으로 작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 중에 김병헌이 들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1800년대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관인이 찍혀 있는 것으로 미루어 관문서의 일부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고사(告祀) 위차(位次)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열린 고사의 위차.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열린 고사(告祀)의 위차(位次)이다. 옹암공, 고궁당공, 사성공, 처헌공, 검열공, 처암공, 봉사공 등 각 위패의 합설과 위차를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미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파계전(參奉公派契錢) 밧자기(捧上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乙未十一月 乙未十一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을미년 11월에 부안의 전주최씨 참봉공파계에서 작성한 밧자기. 을미년(乙未年) 11월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파계(叅奉公派契)에서 작성한 밧자기(捧上記)이다. 계원들이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 계원들로부터 거둔 돈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가을의 강신(講信) 때로 추정된다. 차기정(車奇定)과 김찬경(金贊敬)이 각각 15냥을 납부했으며, 최내순(崔乃順)은 32냥을 납부했다. 배병환(裵丙煥)은 14냥을 납부하였고, 김이중(金理仲)은 7냥 5전을, 김치명(金致明)은 25냥을, 최공일(崔公一)은 5냥 5전을, 최의정(崔義正)은 10냥을 각각 납부했다. 그리고 12일에는 최사언(崔士彦)이 37냥 5전을 납부했고, 최인보(崔仁甫)가 4냥을 납부했다. 한편 문서의 왼쪽에는 11월 10일에 계에서 최인보, 배병환, 차기진, 배정술 등에게 돈을 지출한 내역을 적은 출급기(出給記)가 실려 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