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군(扶安郡) 부녕면(扶寧面) 연곡리(蓮谷里) 산약도(山略圖) 1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군 부녕면 연곡리에 위치한 석동산의 지도 부안군(扶安郡) 부녕면(扶寧面) 연곡리(蓮谷里) 석동산(席洞山) 지도(地圖)이다. 이곳은 전주최씨 부안문중(扶安門中)의 재실(齋室)인 석동재(席洞齋)가 있는 곳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6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반문첩초줄잭(諸般文牒抄出冊)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咸豊十一年辛酉三月初十日 咸豊十一年辛酉三月初十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와 관련한 여러 글들을 1861년에 전사한 것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생산된 문서 가운데 일부를 모은 것이다. 1861년(철종 12)에 만든 것이다. 초출(抄出)이란 골라 뽑았다는 의미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6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송첩(訟牒) 1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辛酉七月十八日 辛酉七月十八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벌인 송사와 관련한 서류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발생하였던 송사(訟事)와 관련한 자료들을 모은 것이다. 대부분 산송(山訟)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짐작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十四世孫)承旨公諱光孝行狀公諱光孝字乃信以孫仁權貴贈通政大夫丞政院左承旨兼經筵叅贊官系出全州通政大夫司僕寺正翼旻之子也公胚胎前先〔光〕生四父子提學之家五世六賢俎豆之門耿介拔俗之表蕭洒出塵之狀華乎䓁■〔夷〕德性仁恕宇量密深規模謹嚴容仅莊毅無毫末怠慢之色事親奉兄之節必極其誠由此和順內積光輝外徹昆季信其行族戚懷其德朋友服其義鄕黨化其仁縉紳韋布聞風興起者甚衆受業於性潭宋先生門一自負笈後講究道義專心聖學學有淵源言動擧止盈水不漏造次之頃威仅謹恭無愆尺步省察克治愈加精密而無愧屋漏進德之勇汲汲如不及求道之勤縮縮如不能表裡一致無所不用其心先生每稱獎之曰卓絶之姿篤宲之業求之挽迎儔匹鮮矣以庸學一部爲終身佩服所屋〔居〕傍搆一柱書室扁之以(屋)■敬齋有題曰屋敬心無慾無愆人不厭居敬無愆從何得求之庸學儘一事與門生知舊〔旧〕爲隷業之所洛閩諸賢理氣之說考亭師友心性之論敎誨多方反復比諭求諸苗脉者戶屨常滿今去二百餘禩後孫惰於理葺齋已墟而今爲人所居只在齋名稱書堂山者以此傳仍也享年七十一易簀于正寢以遺命葬于興德北面分注洞乾坐配淑夫人順天朴氏師堯女外內同庚庚寅四月八日九十〔卒〕墓在邊山釜沼甑峰中高祖妣墓下卯坐是生二子長諱權曾玄以下煩不記公■■■(去世衰)〔今去公二百餘星霜〕文獻帙衰已入英奎次諱南奎英奎子錫權學權仁權南奎子益■〔欝〕攸■(攸)中一無可考而遺風餘韻播人口實稱南服偉人則曰崔公者尙不寂矣公之曾孫益煥愷悌士也爲先爲親積於中發於外面■■■■■■(今修誌狀之日)求文於不倿故謹記萬一焉壬辰三月 日 龜山〔長城〕徐奎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석계처사(石溪處士) 최명룡(崔命龍) 묘갈명(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석계처사 최명룡의 묘갈명 초안 석계처사(石溪處士) 최명룡(崔命龍)의 묘갈명(墓碣銘)이다. 수정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초안으로 보인다. 완벽한 상태가 아니어서 묘갈명을 쓴 사람은 알 수가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8년 서명응(徐命膺) 처암선생휘계성전(處菴先生諱繼成傳)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上之英宗四十四年戊子 徐命膺 上之英宗四十四年戊子 徐命膺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768년(숙종 44) 서명응이 지은 처암 최계성전 1768년(숙종 44) 서명응(徐命膺)이 지은 처암선생휘계성전(處菴先生諱繼成傳)이다. 물론 전사본(轉寫本)이다. 처암은 최계성(崔繼成)의 호이다. 최계성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였다. 부안 옹정서원(甕井書院) 그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암계(巖溪) 최연손(崔連孫) 묘갈명(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旁孫 命龍 謹撰 崔命龍 崔連孫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모년에 최명룡이 작성한 암계공 최연손의 묘갈명 병서 초안 모년에 최명룡(崔命龍)이 암계공 최연손(崔連孫)의 평생 사적(事蹟)을 작성한 묘갈명(墓碣銘) 병서(幷序) 초안(草案)이다. 최연손의 자는 자윤(子胤), 호는 암계(巖溪)이다. 1480년(성종 11)에 생원 진사 양시(兩試)에 합격하였는데, 생원시에서는 장원으로 합격하였다. 1489년(성종 20)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도승지판결사(都承旨判決事)를 역임했다. 암계는 청렴하고 결백한 것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강릉(江陵)에는 그의 추모비[去思碑]가 세워져 있다. 암계는 어렸을 때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평생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형에게 공손히 대하며 말을 부드럽게 하고 봉양하였다. 그의 유순하면서도 신중하게 일을 처리하는 행동거지가 한 고을의 모범이 되었으며, 사방에서 그의 행실에 탄복하였다. 또한 그는 경전(經傳)의 깊은 뜻과 하락(河洛)의 도서(圖書)가 지닌 심오한 이치에 대하여도 통달하였을만큼 학식이 깊었다. 공의 부인은 전주최씨(全州崔氏)이다. 전주최씨는 병마절도사 최전(崔湔)의 딸이며 만육(晩六) 최양(崔瀁)의 증손이다. 부부는 2남 1녀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윤조(潤祖)이고, 작은아들은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역임한 엄조(渰祖)이다. 딸은 좌랑 정기수(鄭期壽)에 시집갔다. 그리고 손자 2명과 손녀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70년 최옥학(崔鈺鶴) 십대조고조비축문(十代祖考祖妣祝文) 고문서-시문류-축문 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庚戌九月癸丑朔十五日丁卯 鈺鶴 庚戌九月癸丑朔十五日丁卯 崔鈺鶴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70년에 최옥학이 지은 십대조고조비 축문 경술년인 1970년에 최옥학(崔鈺鶴)이 지은 본인의 십대조고(十代祖考)와 십대조비(十代祖妣)의 축문(祝文)이다. 제삿날인 9월 15일에 읽은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70년 최옥학(崔鈺鶴) 십일대조고조비축문(十一代祖考祖妣祝文) 고문서-시문류-축문 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庚戌九月癸丑朔十五日丁卯 鈺鶴 庚戌九月癸丑朔十五日丁卯 崔鈺鶴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70년에 최옥학이 지은 십일대조고조비축문 경술년인 1970년에 최옥학(崔鈺鶴)이 지은 제문이다. 본인의 십일대조고(十一代祖考)와 십일대조비(十一代祖妣)의 것으로 제삿날인 9월 15일에 읽은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松崖先生神道碑銘文簡公松崖崔先生神道碑銘幷序全州之崔在麗朝有文成公諱阿入我韓月塘諱霮以集賢殿提學退休邱園擇水山絶奇者家焉曰玉流洞於其東治絶壁搆精舍扁寒碧堂群山四繞有麒麟峰削立天半其爽朗淸淑之氣萃于玉流洞生出好男子曰匡之直之得之德之四昆季著於世文簡松崖翁其長也才高質厚以文學德行顯旣沒之五百餘載墓未有顯刻日裔孫墀洪秉哲相烈齎公之行錄示余謁墓文曰世代遠文籍無徵此行錄盖得於先世遺傳者也其在朝事行不爲不多而亦未之有傳炳殷奉讀之公有大節平日之蓄積可知也烟村公以文宗朝名臣知禍將萌而退松翁之退在辛未歲距 端廟卽位之壬申僅一年則公見幾已先而退先於烟翁也噫士君子出處進退實關大節推此可知學問之有淵源少時與其三弟受學於圃隱鄭先生是可徵也十八中司馬二十登第拜大匡太師至集賢殿提學諡文簡墓周德山先塋後岡甲坐妣全州朴氏經德齋從壽女圃隱鄭先生外孫配淑夫人李氏合兆生三男曰生明京市殿直與季父烟村公退隱號甕菴生員次道明號壺菴通政大夫季誠明甕菴男曰秀孫號固窮堂進士出入寒暄堂門爲世推重享道東院嘗植五槐於庭子順成進士文成均司成子弼成號處軒進士有學行享道東院子克成藝文館檢閱子繼成號處菴成均生員與仲氏處軒同師靜菴蘇暘谷薦以賢良享瓮井院以孝㫌與處軒同閭子竟成生員禮賓寺叅奉五槐果驗司成公子諱渭文司評子諱命龍號石溪大司憲沙溪高弟享麟峰及瓮井院處軒公子諱淸諱海德陵叅奉檢閱公子諱沬吏曺正郎子德立進士號晴圃處菴公子諱河禮賓奉事諱活禮賓奉事號黙齋恬靜自修克盡孝友享瓮井院[黙齋公子諱時立壽僉知中樞府事次諱山立文科左通禮壬亂扈從功臣有錄券次諱善立軍資監奉事]叅奉公子諱濱禮賓叅奉次諱淇諱濱子大立判官甲子靖社功臣淇子弘立通德郞餘不能盡錄銘曰月塘肖胤圃門高弟賢季同案日夕講討擇善固執好問察邇舜何顔何希之則是聖朝淸選庶可展志時適不利炳幾勇退淸風高節竦勤百世歲丁酉二月初吉全義李炳殷謹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54년 사정공(司正公) 최곤(崔崑) 단비(壇碑)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檀紀四千二百八十七年甲午二月 日 重珍 檀紀四千二百八十七年甲午二月 日 崔重珍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4년 최병진이 지은 사정공 최곤 단비 비문 초안 1954년 2월에 최병진(崔秉珍)이 지은 글이다. 사정공(司正公) 최곤(崔崑)의 의 단비(壇碑)에 새길 비문(碑文)이다. 여기 저기 수정 흔정이 있는 것으로 보아 비문의 초안(草案)임이 분명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550년 부장공(部將公) 최완(崔琬) 묘지(墓誌)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嘉靖庚戌十一月 日 丁熿 嘉靖庚戌十一月 日 丁熿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550년 정황이 지은 부장공 최완 묘지의 사본 1550년 11월,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있던 정황(丁煌)이 지은 부부장공(部將公) 최완(崔琬) 묘지문(墓誌文)의 사본(寫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1922년 광주지방법원 정읍지청(光州地方法院井邑支廳)의 가처분결정(假處分決定) 증명서(證明書) 고문서-소차계장류-신청서 정치/행정-보고-신청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2년 광주지방법원 정읍지청의 가처분결정에 대한 증명서. 1922년 1월 23일에 광주지방법원 정읍지청(光州地方法院井邑支廳)이 내린 가처분결정(假處分決定)에 대한 증명서(證明書)이다. 부안 동진면・상서면에 사는 김낙상・김형식(金炯植)•김규상(金珪相)이 부안 부령면・보안면에 사는 최기홍(崔基洪)・최병욱(崔炳郁)・최기홍(崔基洪)을 상대로 가처분을 신청하였다. 이에 재판소는 당사간의 가처분신청에 대해 채권자(債權者)의 신청을 상당하다고 인정하여 보증금 30냥을 공탁하도록 하고, 부령면(扶寧面) 연곡리(蓮谷里) 도동산(道洞山)에서 간벌(間伐)한 솔가지 755속을 신청인에게 인도(引渡)하라고 결정을 내렸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