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계묘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별청계전(別廳契錢) 밧자기(捧上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癸卯十一月初十日 癸卯十一月初十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계묘년에 11월 초10일에 부안의 전주최씨 별청계에서 작성한 밧자기. 계묘년(癸卯年) 11월 초10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별청계(別廳契)에서 작성한 밧자기(捧上記)이다. 별청계의 계원들이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 계원들로부터 거둔 돈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가을의 강신(講信) 때로 추정된다. 한영수(韓永壽)가 44냥 1전을 납부하였으며, 행산(杏山)의 김찬경(金贊京)은 3냥 7전 5복을 납부했으며, 김치장과 김영휘는 각각 10냥씩을 납부했다. 신광의 박내유(朴乃有)는 7냥 5전을 납부했다. 계 모임에서는 통상 계원들로부터 회비를 거두어 이를 주로 다른 계원들에게 빌려주고 원금과 이자를 받아 식리(殖利)를 하여 모임의 운영자금으로 활용하였다. 밧자기는 그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한편 문서의 왼쪽에는 오른쪽의 밧자기와는 달리 돈을 빌려간 내력이 적혀 있다. 즉 별청공파에서 돈을 빌려준 사람들의 명단과 액수를 기록한 것이다. 한영수에게 100냥을 지급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해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봉사공파계전(奉事公派契錢) 수봉기(收捧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辛亥十一月初十日 辛亥十一月初十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해년에 부안의 전주최씨 봉사공파계에서 작성한 수봉기. 신해년 11월 초10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봉사공파계(奉事公派契)에서 작성한 수봉기(收捧記)이다. 가을의 강신(講信) 때 계원들이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 계원들로부터 거둔 돈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박성찬(朴成贊) 17냥, 김옥경(金沃京) 75냥, 최경삼(崔景三) 7냥 5전, 배학석(裵學石) 5냥, 김흥만(金興万) 4냥 5전 등 10명의 납부 기록이 있다. 이어서 제수(祭需)로 15냥을 쓰고 재중(齋中)에 3냥을 지급하는 등 돈을 출급한 내역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관련 개회식(開會式) 명단(名單)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과 관련하여 석동재에서 열린 회의의 참석자 명단.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과 관련하여 석동재(席洞齋)에서 열린 개회식(開會式)의 참석자 명단이다. 작성연대는 적혀 있지 않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 밧자기(捧上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戊申十一月 戊申十一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신년에 부안의 전주최씨 원재에서 작성한 밧자기. 무신년(戊申年) 11월의 강신(講信) 때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에서 작성한 밧자기(捧上記)이다. 계원들이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 계원들로부터 거둔 돈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계원별로 금액을 적은 다른 밧자기와는 달리 항목별로 금액을 적어놓은 다음에, 다시 금액별로 이를 지출한 상세내역을 적어 놓았다. 정조(正租) 26석 10두가 추감조(秋監條)로 들어 왔고, 정조 15석 10두가 색조(色租)로 들어와 모두 42석이 들어왔다. 그 중에서 정조 6석은 측량학교의 학원(學員)에게 지급되었다. 그리고 정조 1석 10두는 무신년 가을의 향교 대향(大享)에 부조하였다. 이밖에도 3석 10두 1승 2홉 5전의 용처(用處), 4석 2두와 6석 19두, 3석 12두, 4석 등의 용처를 사용시기와 함께 자세하게 기입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작성연도는 적혀 있지 않지만, 8월 12일자의 기록이라고 나온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사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辛巳二月二十日日 辛巳二月二十日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사년 2월 21일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신사년(辛巳年) 2월 21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지도(地圖) 잔편(殘片)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유절재 소장의 지도 잔편 유절재 소장의 지도로, 도면의 일부여서 어느 지역인가는 알 수 없으나, 묘소 또는 소유 임야와 관련하여 작성한 지도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寒碧堂韻豐沛之東玉洞頭古今歌勝冠南州山川精釆風猶在天地神工境且幽自適優遊閒日月急流勇退正春秋回回仰止誠何及千載翼然碧一樓十五世孫再榮 謹稿沛城東畔玉流頭告老月翁休退州登臨不淺江山興捿息任他水石幽翠巘當簷渾似畵淸風灑面解生秋頤養心神今百世後仍想像有斯樓十六世孫斗洪謹稿築得迢迢百丈頭湖南形勝跨雄州憑天危檻三淸近捲地嗚川一曲幽明月幾回絃管夜白雲遙憶退休秋孫孫子子無窮思萬億年過有此樓十六世孫在洪謹稿完府以東絶壁頭翼然堂立鎭雄州愁人使上憂將遠騷客登臨興不幽優遊勝事傳千古勇退遺風度幾秋至今觀感是何處山水之間寒碧樓十五世孫銓鶴謹稿得意翼然壓石頭名其第一動南州寒山列揖峯峯秀碧水交流谷谷幽嗣葺繼承孫百世退休遙憶月千秋先生遺蹟今安在翁去江流空有樓十八世孫相烈謹稿揭顔寒碧斷崖頭甲府湖南豊沛州邀月坮高奇岩曲尋梅逕出茂林幽騷人耽勝每多日塘老遺風五百秋四子淸班猶未艾中身勇退讀書樓十八世孫暘烈謹稿淸寒一閣碧溪頭名播海東三百州塘老而今靈若在沛城自古境非幽花禽烟月午朝夕詩酒管絃春夏秋嗣葺無窮來裔責應同天地久玆樓十八世孫敏烈謹稿山寒水碧石層頭百尺高堂冠完州玉洞絃聲千古美金城月色一塘幽笙歌穿耳鶯花日客杖摩肩楓菊秋得見先生淸趣蹟光風霽月滿斯樓十九世孫圭禧謹稿紫翠千峯始畵頭勝觀南服古雄州晟時天府金城闢昔日園林玉洞幽江白忽橫飜出鏡地寒常帶獨行秋緋衣赤舃徒形役歸臥殘年此有樓十九世孫圭才謹稿麒麟削出壓東頭人說湖南第一州黿鼉吹沫春江動桃竹編靑古洞幽命車理屐尋邱壑摘葉餐英驗夏秋睢園梓澤俱荒寞三百年垂勝此樓十八世孫樟烈謹稿絶崖丹壁立頭頭一道如虹白石州簫鼓賞春花裡動麒麟消刦景中幽二疏漢代添圖繪四棣韓朝乞骸秋何處洞天三十六未曾加得寒碧樓二十世孫斗鎬謹稿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무인년 전주최씨(全州崔氏) 사은재소서(沙隱齋小序) 고문서-시문류-서 교육/문화-문학/저술-서 戊寅三 戊寅三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인년에 전주최씨의 누군가가 작성한 사은재소서. 무인년(戊寅年)에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누군가가 재(齋)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사은재(沙隱齋)라고 명명하고 지은 서(序)다. 저자는 이 소서에서 자신의 8세조 사포공(沙浦公)이 남원에서 이곳 하사리(下沙里)로 이거해 왔다고 하였다. 유절재 소장문서 가운데 '1940년 정기(鄭琦) 사포재기(沙浦齋記)'에 따르면, 사포재는 전주최씨(全州崔氏) 사포(沙浦) 최봉하(崔鳳河)와 부인 연안차씨(延安車氏)의 합장묘가 있는 승주(昇州) 관아 동쪽 앵무산 아래 월산 언덕에 있에다. 이곳에는 사포의 현손 남산(藍山) 최진홍(崔振弘)도 묻혀 있다. 일찍이 남원(南原) 주암(舟巖)에 있던 선조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의 고가(古家)에 살던 사포는 인조(仁祖) 때 불운하여 더 이상 출사(出仕)의 길이 열리지 않자 이곳 앵무산 아래 쪽으로 낙향하여 사포정(沙浦亭)을 짓고 시문과 경사 공부에 전념하였다. 사포 최봉하의 자(字)는 인서(麟瑞)로, 전주최씨 중에서는 남원(南原) 방계(芳磎)에서 승주(昇州)로 내려 온 첫 인물이었다. 이곳 승주에 사는 전주최씨의 시천조(始遷祖)인 셈이다. 추측컨대 사은재도 사포재 인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포공의 9대손이라고 한다면 귀산(龜山) 최춘호(崔春鎬)와 같은 항렬의 인물로 추정되지만 문서의 끝 부분이 훼손되어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서문의 내용은 문답식으로 작성되었다. 예컨대 자신이 별도로 재명(齋名)을 쓰지 않고 자신의 호(號)를 따서 지은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묻고, 이에 대하여 재와 재에서 살고 있는 자신이 한 몸이나 다를 바 없기 때문이라고 자문자답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군(扶安郡) 부녕면(扶寧面) 연곡리(蓮谷里) 석동산(席洞山) 지도(地圖) 1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崔炳郁 崔炳郁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군 부녕면 연곡리에 위치한 석동산의 지도 부안군(扶安郡) 부녕면(扶寧面) 연곡리(蓮谷里) 석동산(席洞山) 지도(地圖)이다. 이곳은 전주최씨 부안문중(扶安門中)의 재실(齋室)인 석동재(席洞齋)가 있는 곳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