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2년 이당(李鐺)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己未七月卄三日 再從姪 李鐺 可川 伊彦 宅 己未七月卄三日 李鐺 伊彦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2년 2월 9일에 재종질(再從姪) 이당(李鐺)이 행패(行斾)가 순조롭기를 빌고 양유(羊乳) 2갑을 사서 드린다는 내용으로 이언(伊彦) 댁 숙부에게 보내는 간찰(簡札) 노중(路中)에서 이별한 뒤 슬픈 마음이 깊은데 행패(行斾)가 순조롭기를 빌고 어버이를 모시는 안부가 만왕(萬旺)한지, 윤종(允從)들과 장동(長洞)은 안녕한지 안부를 묻고 아울러 축원하였다. 또 밤에 거처에 이르러 온 집안이 여전하니 다행이라는 내용과 양유(羊乳) 2갑을 사서 드리니 살펴 받아달라는 내용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이남섭(李南燮)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 十一月 七日 族宗 南燮 日彦宅 丙子 十一月 七日 族宗 南燮 日彦宅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6년 11월 7일 이남섭(李南燮)이 남초[담배]는 강씨를 통해 배송한다는 내용을 전하는 간찰(簡札) 1936년 11월 7일 이남섭(李南燮)이 성명 미상의 족인에게 서찰을 보내준 것에 고마움을 표하고 남초[담배]는 강씨를 통해 배송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七年 壬申 十一月二十一日 梁有元 處明文右明文事段 自起買得 累年耕食是如可勢不得已 伏在宝城文田面可川村前坪 夫字畓一斗落只負數四卜六束庫乙 價折錢文參拾伍兩以 捧上爲遣 右人處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同生中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林順白 [着名]訂人 異姓五寸 崔於仁老味 [着名]筆 幼學 宣聖慶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二十七年 丁未 十二月二十七日 李生員奴 ■〔靑〕天 處明文右明文事段 矣由來畓 累年耕食是加〖如〗可 勢不得已 伏在文田面可川村前咸田坪 ■〔外〕字三斗落只負數十八負五束庫乙 以可役洞坪唱字二斗七升落只果 上價錢二十兩 捧用爲遣 右兩田文記幷以 永永相換爲去乎 日後若有彼此相左之端 則以次文告官卞呈事畓主 閒良 金順福 [着名]證筆 閒良 南大元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1년 정유택(鄭逌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酉九七日 孤哀子 鄭逌澤 李敎成 辛酉九七日 鄭逌澤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1년 9월 7일에 고애자 정유택(鄭逌澤)이 혼인신고서를 써서 날인하고 호적초본 1매와 함께 부쳐 보내달라고 당부하는 간찰(簡札) 1931년 9월 7일에 고애자(孤哀子) 정유택(鄭逌澤)이 여러분의 안부를 묻고, 자신도 잘 버티며 지낸다고 하고, 혼인신고서를 써서 날인하고 호적초본 1매와 함께 부쳐 보내달라고 당부하는 내용이다. 가을이 다 지나갈 무렵 춘부장의 기력과 부모님 모시는 나머지 체도가 한결같이 편안하며 아드님의 병은 차도가 있는지, 그리운 마음 가눌 길 없다고 하였다. 자신은 한 가닥 목숨이 남아있어 스스로 버티고 역시 아무런 일이 없다고 하고, 다만 혼인신고서 빈 공간이 있는 곳을 써서 메우고 날인하여 호적초본 1매와 함께 부쳐 보내달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歸漢陽 湖亭霽色入離歌 戶外南山靑且峨遠浦長烟鷗帶去 平洲微雨鷺含過月宵千里相思否 樽酒一盃不勸何叔世男兒多少恨 未聞漢水靜無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明菴【月明欲一見未遂願而老已至矣賦其問說 三首】 蓬萊名勝月明好 聞說人人願一遊六七里行山影轉 兩三禽語水聲流雲外群峯朝暮景 天涯落照古今愁無邊風物隨時變 縱有文章不盡收逶迤屈曲上雲端 似向斷崖絶壁干行處徒貪尋處勝 臨時不料去時難佳期往往邀明月 盡格重重對碧巒聞說名山周覽客 無如此地胸襟寬以吾病拙等閒遊 聞說猶思一往留落照臺高風萬里 雙仙峯秀月千秋人家谷谷生謀密 佛界空空道氣浮如得輕綃三四幅 晩來盡看是名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古木 【用朱子詩牙字】 古木枝枝交錯牙 春來偃蹇不須花形疑華柱時過鶴 影似彎弓自劫鴉江雪斜陽寒骨瘦 谷風暮雨老龍嗟世閒頑固無如爾 莫向千紅萬紫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種菊 【人謂之無用故卽題】 西庭移種東籬菊 留待黃花晩節榮漸長雨露多潤榦 寧死風霜不落英如渠愚頑應無意 而我栽培自有情病拙雖非靖節位 幽居欲學古淵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種菊 靑靑葉似艾 弱幹不勝枝九月花開日 千山木落時屈生餐澤畔 陶子採東籬只恨無君子 未能冶貌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礱巖金公遺稿 奉見礱巖集 胸中便灑然志貞宜介石 性孝是根天契託諸君子 學求古聖賢遺編今始刻 從此壽其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春曲 【凡人生而內無賢父兄外無嚴師友而能有成人者 鮮矣】 孌女遊春風 羅裳曳綠草自言出采桑 直向城南道年方二八餘 姿質亦云好敎導則成人 家無舅姑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羊寺 聞說白羊好 年前一見之雙溪樓上景 四壁板閒詩玩客來無絶 慢僧坐不移洞天深邃地 淺見莫能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丙寅八月三日 族孫鍾坤與家兒時澤入濟州之島 【二首】 八月高風向濟州 漲天碧海汽船浮何事遠行千里外 一心只在譜乘修派分府使下潭陽 忠孝文章世德昌亂離南入濟州島 百行源深二樂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忍飢渴勗兒曹 爾亦人中饑渴者 易爲飮食是常情到此猶甘非正味 恐成心害誤平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別南宮丈【鋎】 水北山南雪正飛 思鄕孤客拂寒衣悠悠離恨無人慰 心事悽然去路迷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