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友問6) 見得靑天白日若 點雲寸霧奚遮嚑責人不善還爲患 輔友惟仁可以文一說無端傳市虎 衆聲莫辨聚雷蚊丁寧遺訓申嚴切 勿討令渠自解紛 정서본을 보면 이 시에 대해 "當削"이라는 표식이 붙어 있다. "당연히 삭제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목차에도 분명 이 시가 나와 있으므로, 그대로 옮겨 주는 편이 낫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위 답우문이라는 시를 왜 삭제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述 惟吾性質多偏氣 僅守家庭舊法儀遺戒謹勤須念父 命名精毅敢忘師偶工文字還招謗 不察時情未免癡只恨終無成就事 居然七十四年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歸家吟 我飮我泉處我堂 暮年拙計得宜當閒來倦臥身差適 興到況吟韻更長就架抽書看古迹 巡籬採菊飽寒香此閒偏愛兒孫戱 多種名花又海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戚弟李季潤 【喜璡】 緬惟學 况清和矣 入山後 久不相見 懸念何言 高明以美資粹質 專心劬書 日從賢師友 講求好道理 操持之 玩索之 宜乎知識不期高明而自然高明 胷次不期快豁而自然怶豁 况迢遥盤桓於内藏佳山好水中 俗累自絶 心地光明矣 而且夫閒雲舒卷 而天光呈露綠陰蒲庭 而禽聲上下恁地 仁智之樂 有不能自己者矣 仰羨仰羨 只恨不得與賢同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鍾賢 【澤述 庚申】 昨秋垂顧 感荷良多 每擬躬進月浦經帷 非惟敘久要至情 亦欲玩新寓之味 而老者事 未克遂意 替送家兒 適因出駕 末有獲拜 卽陽月日也 未幾 一角惠縅 自立石便 歷遠齋書室而到 忙手披閱 乃是高明信墨也 奉讀再三 條理分明 脈胳貫通 枝枝相對 葉葉相當 雖有良工 無復繩削矣 蓋記中所謂遇變然後之君子之云 善形容寒後之義 而直謂人中松柏 實是提警也 深矣 猶恐不能 然第以高明之篤 至有不以凡木遠之之說 胡爲乎出 此撝謙耶 余島有遠之近之之理 理或有之 吾將迎子 而相與之 茂悅之 請高明 且莫遠我也 伊時 宜有回謝 而便稀驛滯 歲已周矣 秋氣漸清 謹詢際玆 棣體衛道 加愛仰溸不已 聞乎 徐老 則已還山起屋 啓居依前 而今年所農 亦得大有云 私甚欣悅 拙狀 自去年七月 無名積氣 藏在膏盲閒 不火而熱 有時乎牽蒲 必不能久爲世閒人也 自憐 柰何 素來學識空疏 無人與答文字 而今也衰老已極 眼亦恒疾 對書頗似霧中看花 把管臨紙 字不成畵 良呵良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尚三【鼎鉉 時有蔡永七人吾之說】 蔡友所謂人 何人也 吾何吾也 自天降生民 莫不與之 以仁義禮智之性 以此觀之 人與吾 何嘗有閒然哉 人之人也 亦吾而吾之 吾也亦人 人而行人道則人 不行人道則不人 人亦然而吾亦然矣 然則如欲爲人 莫讀書 若也 讀書則聖賢千言萬語入吾耳存吾心 而蘊之爲德行 行之爲事業 可以盡人道而始稱其名矣 可不勉哉 豈不勉哉 然吾輩年己高 氣己衰 不能猛着精力刻苦工夫 且前日所受 漸至忘域而空踈尤極 是可浩歎也 不可不惟時孜孜 以奉師曠所謂老而好學如秉燭夜行之戒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初夏 偶爾今年㝢客地 無人與話獨伶仃休道殘花無把玩 又看原草日新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賞雪月 仲冬雪月照心明 客枕寒窓眠不得如令夜夜長如此 宵小乘昏敢賣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8년 1월 12일 관문(關文) 崇德三年正月十二日 關文 045 병조가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세초(歲抄)에 대해 주상께 속히 보고할 것.병조가 살펴서 시행할 일 때문에 보낸다."이번에 도착한 첩정(牒呈) 내용을 요약하면,'세초(歲抄)에 관한 사안은 평상시처럼 연말에 주상께 보고할 수는 없더라도,90) 각 고을에 시기를 정해서 통지하여 늙거나 사망하여 대신 충원한 결과를 정리한 세초의 책자를 일일이 조사하여 보고하게 하고 이를 받아서 추후에 주상께 보고할 계획입니다.'91)라고 하였다. 속히 주상께 보고하여 시행하라. 그러므로 관문을 보낸다."숭덕(崇德) 3년(1638, 인조 16) 1월 12일. 兵曹爲相考事."節到付牒呈內節該, '歲抄一事, 雖不得依平時歲末啓聞爲乎喩良置, 各官良中, 刻期知委, 老故充定歲抄成冊乙, 這這查報捧上, 追乎啓聞計料.'事牒呈是置有亦. 斯速啓聞施行向事. 合行云云."崇德三年正月十二日.❶ 雖不得依平時 : 저본에는 원문이 누락되어 있으나, '038 나덕헌의 첩정'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저본에는 원문 '雖不得依平時' 6자가 누락되어 있으나, '038 나덕헌의 첩정'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038 나덕헌의 첩정' 참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8년 3월 1일 장계(狀啓) 崇德三年三月初一日 狀啓 046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이 인조에게 보낸 장계(狀啓): 유황(硫黃)과 자작나무 껍질[樺皮]을 내려줄 것, 교동부(喬桐府)의 출무(出武)를 수군(水軍)으로만 소속시킬 것, 새로 급제(及第)한 출신(出身)들의 부방(赴防)을 면제하고 입방(入防)하게 해줄 것."본영(本營)은 경기의 중요한 진보(鎭堡)로, 삼도통어사를 겸직하여 선박을 통솔하니, 국가에서 방비 계책을 세워서 시행한 의도가 우연이 아닙니다만, 선박 및 활과 대포를 구비한 수효가 몹시 엉성합니다. 그래서 신이 부임한 초기부터 오늘까지 본영 소재지의 전선(戰船), 병선(兵船), 사후선(伺候船) 등을 차례차례 수리하였고, 그러한 연유는 예전에 급히 보고하였습니다.92) 교동부(喬桐府)는 비좁은 작은 섬으로 거주하는 백성이 많지 않으니, 잘못되어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는 육지의 각 고을에 있는 본영 소속의 수군을 완전히 소집하지 못하면 15척 선박의 사공(沙工)과 격군(格軍)으로 필요한 군졸 숫자를 틀림없이 채우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선박은 있으나 격군이 없다면 선박을 운용하기가 어렵고 격군은 있으나 대포가 없다면 적을 방어할 계책이 없으니, 참으로 몹시 고민스럽습니다. 그래서 신이 본영 소재지의 장정을 조사하고 점고하여 각 선박의 사공과 격군으로 분담하여 배정하고, 그중에서 영리한 사람을 뽑아서 대포와 활 쏘는 것을 훈련시킬 계획입니다. 옛날에 비축해두었던 본영과 교동부의 군기(軍器)는 전쟁이 일어났을 때 파손되었으나, 활과 화살은 거의다 보수하였습니다. 전에 있던 염초(熖焇) 400근을 지금 다른 재료와 섞어서 화약을 제조하려고 하는데, 석유황(石硫黃)을 달리 사들일 길이 없어 비변사에 낱낱이 보고하니, 본사(本司)가 제사(題辭)를 써서 보내기를,'멋대로 지급할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염초 400근과 용해하여 제조할 유황 및 활 수백 여장에 붙일 자작나무 껍질[樺皮]을 모두 묘당(廟堂)에서 알맞게 헤아려서 내려주게 하소서.사부(射夫)는 달리 변통할 길이 없습니다. 본부(本府)의 출무(出武)를 서울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사람 이외에는 각 아문(衙門)에 의탁하여 소속되지 못하게 하고 본영의 수군으로만 전적으로 소속시키되, 회피하려고 도모하는 자에게는 묘당에서 각별히 벌을 시행하게 하소서. 본부의 새로 급제(及第)한 출신(出身) 김숙(金淑)은 선박에 관한 일을 다소 잘 알기 때문에 전에 사유를 갖추어 급히 보고한 뒤 새로 전선 제작하는 일을 감독시키기 위해서 충청도 안면곶[安眠串]으로 보냈습니다. 그 외에 송경갑(宋敬甲), 허전(許銓), 이승남(李承男) 3명도 변지(邊地) 중에 긴요하게 부방(赴防)할 곳이 별달리 없으면, 본영의 수군에 새로 급제한 출신들로 나누어 입방(入防)하게 하소서. 이러한 사안까지도 함께 망령되이 여쭙니다. 묘당에서 참작하여 주상께 여쭈어 결정하게 해주소서. 차례대로 잘 아뢰어 주시기 바랍니다."숭덕(崇德) 3년(1638, 인조 16) 3월 1일.▶ 어휘 해설 ◀❶ 염초(焰硝) : 화약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원료 중의 하나로, 초산(硝酸)이 주요 성분이었다. 화약을 제조할 때에는 유황(硫黃), 목탄(木炭), 염초 세 가지가 필수적인데, 그중 염초가 75%, 유황 15%, 목탄 10%로 염초의 비중이 제일 높았다. 염초는 질산암모늄이 풍부한 함토(醎土)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화약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염초를 분리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였다.❷ 부방(赴防) : 국경 지역인 함경도와 평안도에 군역(軍役)을 부담하러 가는 것을 가리킨다. 부방은 양인(良人)만 의무적으로 부담한 것이 아니고 양반의 자제들도 부담하였다. 『속대전(續大典)』 「병전(兵典)」 〈유방(留防)〉에 의하면,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한 출신(出身)은 모두 함경도와 평안도의 변방 고을에 부방하도록 하였다. 부방을 면제해준 경우에는 쌀을 바쳤는데, 양반의 자제들은 부방의 면제를 허용하지 않았다. 『전율통보(典律通補)』 「병전」 〈유방〉에서는 무과에 급제한 출신들의 의무 부방 기간은 12개월이나 자신이 식량을 갖추어서 갈 경우에는 6개월이라고 하였다. "本營, 畿輔重鎭以, 職兼三道, 統率舟楫, 國家設防, 意非偶然, 舟楫之具、射砲之數, 尤甚零星是白乎等以. 臣自到任之初以至今日, 營下戰、兵、伺候等船, 鱗次修絹, 緣由段, 曾已馳啓爲白有在果. 喬桐爲府, 彈丸小島以, 居民不敷, 脫有緩急, 內地各官營屬水軍乙, 未及完聚, 則十五隻沙格之卒, 必未準數叱分不喩. 有船無格, 則難以運用, 有格無砲, 則禦敵無策, 誠爲竭悶是白乎等以. 臣査點營下丁壯, 分把各船沙格爲白遣, 其中抄擇伶俐者, 敎鍊砲射計料. 而營府舊儲軍器, 兵亂時破落, 弓箭段, 幾盡修補爲白有乎矣. 前在熖焇四百斤, 方欲合劑, 而石硫黃乙, 他無貿得之路, 枚報備邊司, 則本司題送內, '不得擅給.'亦爲白有置. 請令廟堂, 熖焇四白斤容劑硫黃及弓數百餘張所着樺皮, 幷以量宜上下敎是白乎旀. 射夫段, 他無推移之路是白置. 本府出武乙, 京時仕者外, 勿爲投屬各衙門, 專屬本營舟師爲白乎矣, 謀避者乙, 自廟堂各別施罰敎是白乎旀. 本府新恩出身金淑段, 稍諳舟楫之事是白乎等以, 前矣俱由馳啓, 新戰船監造次以, 忠淸道安眠串, 已爲發送爲白有在果. 其餘宋敬甲、許銓、李承男三員段置, 邊地別無緊要赴防處是白去等, 本營舟師, 新恩分防爲白乎去, 竝只妄稟爲白去乎. 請令廟堂參酌定奪爲白只爲. 詮次善啓云云."崇德三年三月初一日. '005 나덕헌의 장계'와 '021 나덕헌의 장계' 참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8년 8월 15일 관문(關文) 戊寅八月十五日 關文 082 경기관찰사 겸 순찰사 김남중(金南重)이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 감사(監司), 병사(兵使), 수사(水使), 수령(守令) 등도 청(淸)나라에 바칠 말을 납부하도록 하였으므로 비변사에 납부할 것.무인년 8월 19일.경기관찰사 겸 순찰사가 살펴서 시행할 일 때문에 보낸다."당일 도착한 비변사의 관문에 이르기를,'이번에 재가하신 본사(本司)의 계사(啓辭)에 아뢰기를,「사간원(司諫院)의 계사에서 속환(贖還)의 대가로 지불한 은(銀)을 변통할 것을 청한 일에 대해 답하기를,〈아뢴 대로 하라.〉라고 전교하였습니다.136) 공적인 자금으로 속환된 사람에게 은을 징수하는 일은 본사의 유사당상(有司堂上) 1명이 전담하여 거행하는데, 총수 2,300여 명 안에서 이미 징수한 액수가 2,700여 냥이고, 그중 유림(柳琳)과 박첨(朴?)이 전후로 가지고 간 것을 제외하고 남아있는 것이 609냥이며, 징수하지 못한 숫자가 아직 970여 명입니다. 그중에는 행방을 몰라서 이웃 사람에게까지 요구한 사람도 있고, 당사자가 있기는 하지만 의지할 곳이 없는 외톨이라서 갖추어 납부하지 못한 사람도 있으며, 사망한 사람도 있고, 주인 이름을 잘못 기록한 사람도 있습니다. 대체로 이와 같을 뿐인데도137) 이름을 살펴서 하나하나 징수하려고 한다면 적지 않은 폐해를 끼칠 것이니, 대간(臺諫)의 계사에 따라 모두 탕감해주고, 남아있는 은 609냥을 황해도와 평안도로 나누어보내 동과(銅鍋)와 기치(旗幟) 등 잡물을 마련하는 자금으로 쓰도록 하는 것이 합당할 듯합니다. 감히 아룁니다.」라고 하니, 답하기를,「아뢴 대로 하라.」라고 하였다.138) 계사의 내용을 잘 살펴서 시행하라.'라고 하였다. 동시에 도착한 비변사의 관문에 이르기를,'이번에 재가하신 본사의 계사 안에 아뢰기를,「지금 당장 걱정스러운 것은 말을 마련하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나라의 안위와 세자(世子)가 본국으로 돌아올지의 여부가 모두 여기에 달려 있는데, 신들이 아무리 궁리해보아도 어디에서도 마련해낼 길이 없습니다. 지금의 종실(宗室)과 부마(駙馬) 및 사대부는 재정 상황이 똑같지는 않지만 대단히 가난할 정도가 아닌 사람은 그래도 말 한 필 정도는 납부할 수가 있습니다. 도성(都城) 안의 각 집마다 통고하여139) 힘이 닿는대로 찾아서 납부하게 하여 다급한 국가를 구원하도록 하되, 그중 가난하여 마련할 수 없는 사람은 억지로 납부하게 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이 외에 의원(醫員), 역학(譯學), 서도(胥徒), 시민(市民) 중에서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어 자원하여 말을 납부하는 사람은 그의 성명을 기록해두었다가 목장의 말이 올라오거든 숫자를 살펴서 보상하소서. 그렇게 하더라도 확보하는 말이 반드시 많지는 않을 것이니 어쩔 수 없이 여러 도(道)에 분담시켜 정해야 합니다.」라고 하니, 그 계사에 대해 답하기를,「아뢴 대로 하라.」라고 전교하였다.140) 추후에 재가받은 본사의 계사 안에 아뢰기를,「종실과 사대부가 말을 납부하는 일에 대해서는 윤허를 받았습니다. 감사(監司), 병사(兵使), 수사(水使)에게도 똑같이 통지하되, 수령(守令) 중에서 마련해서 납부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억지로 납부하게 하지 말고, 첨사(僉使)와 만호(萬戶) 중에서 자원하여 상납하겠다고 하는 사람도 거부하지 말도록 해야겠습니다. 본사의 당상이 말의 상납을 직접 감독하여141) 말의 털빛에 따라 표시를 부착하고 사복시(司僕寺)에서 기르게 하였다가 차례대로 들여보내는 것이 합당하겠습니다. 감히 이처럼 아룁니다.」라고 하니, 답하기를,「아뢴 대로 하라.」라고 하였다.142) 전후로 재가받은 계사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서 도내의 병사와 수사 및 각 고을에 통고하여 힘이 닿는 대로 마련해와서 바치게 하라.'라고 하였다. 관문의 내용을 살펴보니, 이번에 말을 납부하는 일은 하루가 급하므로 거행할 만한 형세가 있으면 속히 비변사에 직접 납부한 뒤 도착 확인증을 받아서 위에 올려 시기를 놓치는 폐단이 없게 하라. 그러므로 관문을 보낸다."무인년 8월 15일.▶ 어휘 해설 ◀❶ 속환(贖還) :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청(淸)나라에 잡혀간 사람들을 본국으로 송환하기 위해 청나라에 대가를 지불하고서 데려오는 것을 가리킨다. 속환은 국가에서 비용을 마련하여 지불하고 환송하는 공속(公贖)과 개인이 비용을 마련하여 지불하고 환송하는 사속(私贖)이 있었다.❷ 동과(銅鍋) : 놋쇠나 구리쇠로 만든 작은 솥으로, 우리말로는 노구솥이라고 하였다. 이동할 때 자유롭게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었으며, 음식을 삶거나 기름에 튀기는 용도 등으로 사용하였다.❸ 기치(旗幟) : 군대에서 사용하던 각종 깃발을 가리킨다. 戊寅八月十九日.觀察使兼巡察使爲相考事."當日到付備邊司關內, '節啓下敎司啓辭內, 「司諫院啓辭, 贖還價銀變通事, 答曰, 〈依啓.〉事, 傳敎矣. 公贖人處捧銀事, 本司有司堂上一員專管爲之, 都數二千三百餘名內, 已捧之數二千七百餘兩, 柳琳、朴?前後齎去外, 餘存六百九兩, 而其未捧者, 尙有九百七十餘名. 其中或有不知去處而侵及隣人者, 或有當身雖在而孤無依不能備納者, 或有身死者, 或有誤錄主名者. 大率不過如此, 若欲按名徵納, 則貽弊不小, 依臺諫啓辭, 幷爲蕩滌, 而其遺在銀六百九兩, 分送兩西, 以爲銅鍋、旗幟等雜物措備之資, 似爲宜當. 敢啓.」 答曰, 「依啓.」敎事是去有等以. 啓辭內事意, 奉審施行向事.'關是齊. 一時到付備邊司關內, '節啓下敎司啓辭內, 「今日所患者, 在馬之難辦. 國之安危、世子之東還與否, 俱係於此, 臣等百計商量, 未有何地辦出之路. 今之宗室、駙馬及士夫, 雖其貧富不同, 而其不至大段貧薄者, 則一馬之納, 猶或可爲. 通諭城中各家, 使之隨力覓納, 以救國家之急, 而其中貧不能辦者, 不必强而爲之. 此外醫、譯、胥徒、市民中心存憂國自願納馬者, 錄其姓名, 待場馬上來, 照數償之. 雖然所得必無多, 不得不分定諸道.」事啓辭, 答曰, 「依啓.」事傳敎是白齊. 追乎啓下司啓辭內, 「宗室、士夫納馬事, 已爲蒙允矣. 監、兵、水使處, 一體知委, 而守令中不能備納者, 勿爲强出, 僉萬中自願上納者, 亦勿拒之. 本司堂上親監捧納毛色着標, 令司僕寺喂養, 鱗次入送宜當. 敢此.」 答, 「依啓.」敎事是去有等以. 前後啓辭內事意, 詳細奉審, 通諭道內兵、水使及各官, 使之隨力來納.'事關是置有亦. 關內辭緣相考, 今此納馬事, 一日爲急, 如有可爲之勢, 則斯速直納于備局, 受到付上使, 俾無後時之弊向事. 合行云云."戊寅八月十五日.❶ 過 : 저본에는 원문이 '已'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1일 기사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❷ 城中各家 : 저본에는 원문이 '誠'으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3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❸ 監 : 저본에는 원문이 '鑑'으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4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사간원(司諫院)의 계사(啓辭)는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0일에 수록된 행대사간(行大司諫) 최혜길(崔惠吉), 헌납(獻納) 최계훈(崔繼勳), 정언(正言) 정지호(鄭之虎)가 아뢴 계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계사에서 속환(贖還)의 대가를 마련할 수 없는 가난한 사람에게까지 징수하는 것은 많은 폐해를 끼치므로 변통할 것을 청하였다. 저본에는 원문 '過' 1자가 '已' 1자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1일 기사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사간원의 계사에 대해 회계(回啓)한 비변사의 계사 및 그에 대한 인조의 답변은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1일에 본문과 동일하게 수록되어 있다. 저본에는 원문 '城中各家' 4자가 '誠' 1자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3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비변사의 회계하는 계사와 그에 대한 인조의 답변은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3일에 본문보다 더욱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 당시 전후의 기사를 참고하면 청나라에서 다수의 말을 요구한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숫자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만 그 말을 충당하기 위해 지방에 처음에는 1,500필을 마련하도록 분담하여 배정하였다가 1,000필로 감하였다.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3일 14·15·17일, 9월 9일. 저본에는 원문 '監' 1자가 '鑑' 1자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4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비변사의 회계하는 계사와 그에 대한 인조의 답변은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4일에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荷潭公行錄 王考桐塢公 年十七 丁内艱 生計不給 親亦老矣 俱宿食於從叔荷潭公者 十有餘年矣 荷潭公 視之若已出 使之入學 傾家貲 使之娶妻 而無異言無愠色 王考每將此事 語子孫曰 余之就學有室 至有今日 皆荷潭公之恩也 言淚交頤 往往歡賞其平日言行曰 事親之孝 居喪之哀 致祭之敬 敎子之嚴 御衆之和 持身之恭 治家之勤 處事之正 一出於誠 博奕之戲 毀譽之端 不正之書 非禮之說 一切不接乎耳目 又曰 家計饒給 而寕害己之財 不忍害人之財 且心地誠實 多見欺於人 而不忍欺人 又曰 早從場屋 見屈多時 而得失不關於心 晚悟非爲己之學 遂將語孟庸學 思索微奥 至老不怠 又曰 如公之好學好禮好施 近古罕覯也 又曰 人或病其仁之過 而未嘗疑其吝世 或訛其禮之有餘 而不復問其行 此吾先府君之所嘗受命於王考者 而余亦在傍得聞者也 心常景仰矣 日族姪時豊來 謀公狀德之文 時豊 亦賢孝溫潤士也 余曰 吾己有所受矣 姑述所聞 以待後日秉筆君子 不亦宜乎 曰 莫是約歟 余曰 狀貴乎記實 靡文剩辭 曷足爲輕重耶 曰 盍圖之 余因以書之如右 因系之以生卒後承 曰 公諱鎭默 字士儼 荷潭 其號也 英廟甲子 純廟辛巳 生卒之年 墓卯山村後戌坐 夫人全州崔僉樞柱衡女 生後公七年歿 先公三年 墓合窆 有二男一女 男長文祿 進士出後 次正祿 號西崖 有文行名世 女適咸豊李儒讚 餘不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權彛齋 秋冬之際崇軆百福回身瞻斗海天茫芒目窮魂斷只有頂祝行莫醜於辱先其次關木索被菙楚受辱乃兩兼之四十日之間遭罹之如是慘毒古往今來之宙寜或有之耶千萬人皆欲殺一人獨憐之至意上薄層雲如剥消之中陽剛君子處於上九爲所承載雖此過盡大陸復涉重溟百轉千磨一縷之殘托庇尙存非只寘頑之甚於木石能支到今日也尙何言哉尙何言哉卄七登舟朝頗恬安早夙猛利船隨以波盪擧皆倉皇暈轉眩倒獨於船頭整暇無恙天吳海若亦寘之度外而然耶日出而放船夕陽泊岸如此不能預量濟人無不以爲北船飛渡來也無非 王靈攸曁耳初一到大靜得一校屬之家寓接厪能籬底紆飯於分亦過矣過此以往又未知何以銷受閏春及初夏連有亟肅似皆邀靑覽自入夏直到秋旬百日阻遽並與家書而不得見陸海之間截雖非異事不若同世並時伏問 崇軆送夏迎秋神葆曼福銼擾未卸大耐政月無他牽纏潭閤均吉大小悉佳區區詹祝無日不依斗勞勞累狀瘴癨三朔無以宜治任其窡熱之凌霍任冉過八十餘日眞元漸敗無餘食補藥補俱非可論肌肉盡脫不能坐穩床籍尻欲生瘡而安能久乎重之蟲虺從以惱之半尺之蜈蚣掌大之蜘蛛橫行枕席簷際乳雀日以警蛇皆北地所未見晦間經一風雨大刧瓦石飛舞空際大樹倒拔連根海濤黑立中作霹靂人皆並頭接膝互相抱持若不能自保者然此中人以爲甲寅大風後四十八年初有云病況以外而又所是經歷如是耳適聞有便敢申數字聊以告存存亦何北望神長大病以來心緖忽忽更覺孤寄無托卽奉 崇函溫存懷袖之間迴環口眼之際依付靑雲護身之呪辟病之符無以多焉第舊雨之感山河悲一字一淚書發恰爲百日秋事爛漫 崇體神毖葆安潭閤勻寜近頗辭煩就逸楸駕已定石役隨完歸晩之計亦得方便不勝引領羨艶知機息機乃能住世出世自昔名碩皆得辦此一着無所留難今時不然傀儡之繩牽住腦賚秋風蓴鱸未見有飄然遐擧者是所悶人若得一廛之借幸遂耦耕之約是夙生大願顧此坎窞中妄想未免瓮中一籌矣累狀間又第四姊噩訃猝次來到神爽飛越海天茫茫作何情事北信之來雖平安二字每執書惝怳況其親戚故舊存沒之感若是惱人似又魔揄鬼揶以此一境如戱本之遞相呈前明知是幻輒爲其苦樂悲歡所流轉穹則變變則通卽消息之至理而窮有未窮變有未變耶抑復消息一理今且無驗氣數主張一任其乖耶賤恙近又更作更止現是止時止不可恃每旁闖如荀穿于階無宜可問藥必何論重之全夏斷屠麥麻伏令如持戒茹素尙能支到今日非始料所及水泉果不住冬雪夏雨之炊亦或有之今夏特不早耳井有五里之遠汲運極難若鑿而得之如冲庵判書故事亦幸甚顧此篱底何處覘泉耶且邑在野中土性尤爲浮躁設有泉脉品必不好邑底所以無一井此又三百六十之所未聞山水公亦自邑移寓滄泉泉味亦勝又有水石可以盤桓此非如累狀所敢議到耳伏惟新元崇禧大吉窃伏計星籌恰滿六十挹此見丁之壽曜遙申載甲之吉祝曷任攢誦繼以君子盡老之歎又不能不悒悒去至臘之間船便久斷無去無來除前一日始伏承至月出書椷殆近六十日之久欣湊滿滿如接昨信逼歲客懷賴以爲重何啻九鼎大呂況參稏鼻煙連蒙便蕃貺仰托 崇庇服之以補元嗅之以禦瘴到底趙謝前冬蕪甫似皆達觀知無䲖鴻之訛遠外滋感輒復憧憧果能隨登韱年後承安又未知在何時目窮神消隣朞儵爾已過矣死生契活之怨覊祣淪諾之思感曜靈之急馭悼陳迹之易述露霜駸駸宿草緜緜言念古歡怛焉靡及晨夢苦短瞬息已非彼蒼何心吾道終穹腸輪欲摧想復勻之累狀居然三載于玆海天茫茫歲月騰騰靦然人面乎哉去魚鱉不遠尙又噉飰着衣凡百常人之事無不爲之此何人斯來敎之諄復敢不佩服血肉之軀凘削無餘日異而時殊雖欲竪起脥梁與造物者相支拄而以有涯隨無涯其可得乎卽聞家人定一螟嗣顧此坎窞屯邅之中亦獲門戶之喜非不爲幸父子無以相見父父子子之道于時亦窮矣高天厚地似此情理果有二哉言之無益以執事之故漫此相聞耳便回伏承五月旬間下復不過未一念之近信魿羽之迅速入海後初有也人於衰境四軆康强然後神仙富貴而無所憾程子於七十二年猶存忘生循慾之戒朱子有金丹遲暮之感叅同之註調息之箴每三致意風雨寒暑飮食起居節宣衛之衛亦存心養性之一端古昔賢人君子皆兢兢處至如不佞之懸祝於台下者又別有耿耿者在耳暵熱一直無旣內地亦頗爲騷云間或普洽耶伏問流躒如此 台軆神相百福檐卸則輕安桷脫則夫活從今台下之世界亦寬閒無碍但未知都下民情不以爲悵失如赤去乳耶允友喬蔭班彩紆靑最是開眼仰想一以感祝一以嘉悅同人騰頌尙復何旣累狀困熱困瘴特不再困於窡熱之病如去年直一石頑木寘而已蜘蛛蜈蚣依舊作苦且蠅甚朝澣之衣夕而如噴鴠夜則蜜蛟相仍無由成服又不知何㨾小蟲或赤或黑細若微塵利侔棘心銛比鋒尖互發交作枕褥之間血肉之軀爲渠家計詩所云憂心情情慍于瘴小遘悶旣多受侮不少者乃及於瑣細虫衆之微而無不侵凌宜其祚沆莗無所顧忌恣肆不已也亦復奈何入秋以還船信稍阻日夕懸懸卽於家伻之來伏承下函是不過卄餘日近信入海後未見其如是駛速蓬藋警咳不啻見似而喜者也陪京新莅緩帯輕裘可以養閒之局無非敗局妙境盡是噩境以今日兒樣欲別尋古人歌壺好處決不可得若歛足鏟迹則已旣混塵和光亦從此裏討去塗抺墁瓦之搘拄木+架楣之間亦無他策但此地異於他處至今一土壤之細一草木之微皆昔日恩澤其間毁畫之不足凘壞之不盡無復餘地是最凛然傷心不可以例視於近日弊局而止似多良工費得畧干心力處未成之耶通明如琥珀尺半之鯽腹腴如雪乳登盤食炞不叚舊觀而亦當下箸有無味者坡像豈料此圖之掛之壁也耶替作護身單隻托賴可以倚重亦崇注無處不周摯也拙字旣承遠索不敢違傲玆先以所思仰塵腕病氣餒不足爲大疋之供亟零鷄瓮並收於丹砂紫芝之間似或納汚矣冬後或來船而夻船極難便禠自致間活是悶是菀阻奉勻函爲一年之久畫前之墨森然自在生滅靡殊心之印澈孤南老宿似當證此古昔言情未有過於錦上之圖盤中之字卽皆梔蠟凡已發者難未發之中十之二三今以來函言之亦皆以睨柯矣然書到之時旁觀邊色欣欣相告海濤天風亦覺有喜氣盈滿溢旣宿之灰已黏之挐亦不能無起發如喚惺惺然以近日患節漸復点檢毫墨首尾累百言不異昔時其所起發者固有不同於旁觀寔在此不在彼也第伏審過境患度專是疾火此爲舊症非別新崇於六氣者但所外現隨境差異矣旣知痰火雖其百變無狀踈達導降之良方無庸藥蹃之歧貳至於克代之劑强壯亦愼況今望七高齡之老人乎似無待於區區之言嘗見黃元御藥方論大逆之症頗具詳有燥土降逆煖水熱火之法而藥方無見黃專是治張仲景孫眞舊訣能抉千載不傳之秘奧自河間丹溪以下並一切抹倒之譬如近日治經之家閰潛邱戴東垣大非俗醫掇拾入門回春以人試病者此也張仲遠世守黃法仲遠父子醫理極精以燥土降逆煖水熱火之法爲問得其藥方並聞現證要一良劑似好伏未知如何燥土降逆之法恐有相合處矣卸却重擔夫里閒裝逍遙林泉寔爲勝服淸凉幾劑然未敢知異能諧此否窃伏想稻脂流白蟹臍團黃園栗剝邜籬菊汎英郊坰風味可以不換亦可以沉疴祛体伏未知天氣沆瀏收潦水淸勻体候百福舊患愆度次第退聽近果舃紱間雲山適情伏庸懸誦不勝遠頌第江湖魏闕固無異同豈可色擧而相忘哉輪翼待輔監梅同和惟其隻歲孤調依恋彷徨賢勞於極艱之會者能無仲山甫之永懷耶耿耿於將去之憧憧於淹留之處正喜之又不能不勞勞者也書函在中秋以前奉攬在立冬以後山阻海淹邊是六七十日猶以爲近信傾注倒瀉若出望外以今時所得以傾倒者追溯其過厺境界蜀山千疊楚水萬迴膠盭汨潏於臅上或槎牙撑交或膏灼煎爍若不可以半晷堪住及其消破卽不過一寸之紙力反復一笑柳州之書惠州之牘亦皆以能如是消息之耶夏秋之間恩解如天休間無地老監鏡水無煩待賜居士潁尾獲遂如願窓中列峀枕下流泉䟽發臭區呈露眞面圖書整理杖屨貞吉山中宰相神仙移地引領攢誦詹戴靡及信後窡初勻軆候連享福楸駕樊御又隨以出入大吉區區慕祝尤切遠外耿誦之私口鼻舊瘥一以無减經年閱歲已極乖常又添眼花殆不辨天地間無非風火挾以瘴毒如是侵凌凡人之邊作云爲百事千端必待眼而發口障鼻障猶有不盡又此眼障竟又何報歟每蒙庇存之盛澤勉警之至意夙夜持戒邊靜体察不敢自弭不敢自怠以若頑命苟延一縷之殘式至于此日豈有他哉今又下敎申復丁寜天人倚伏之理患難邊忍之戒蓍黽必驗丹靑不渝惟是兩手握奉努筋着力立志彌堅執守益確進進不已罔或墜失但歲月堂堂疾病從而浸尋有涯無涯每不相待氣質弱昏抵當不得茫茫此寃奈何近者日下傳聞蹈舜攢抃窃伏惟大明中天雷開萬戶夏禹菲儉殷宗典學纘述祖烈敷宣晠化堯醲舜郁何以伏覩今日也乃玆聖簡特紆復入中書際會明良上下比螎匑匑於日贊之地蒸蒸於風偃之治仰答 天眷俯協群望至若雲山魚鳥有不可算到也前冬蕪函始於春後抵達云未敢知勻覽又在何時春事已過半峭窡尙有前冬臈後餘意此時体候茂膺百福閤覃一以吉安區區慕祝不任遠沈正喜以若病狀七十于玆其頑其宜轉益石木之甚亦不其何故火爍于鼻苔蝕于舌花翳于眼日日膏煎萬無以支過半晷惟願速卽溘然無知雖更過七年有何益哉其所至寃極痛者顧今 聖明鑑臨碩輔協相庶無一夫之不得其所獨此陰厓幽坎自阻於光天化日之下守關之虎豹自在入室之戈戟尙存設有長臂之援溺甘露之潤枯無以措施寃吁長號雲海茫茫亦復何哉適因家伻之婦妥便無以抛過畧以數字支眼窓明處厪此仰達聊申年後耿耿之悃私荒奕不成議悚汗透毫朝家大事今已完就樊上魚鳥亦似牽情出處進退尺寸裁定固當綽綽有裕非小人淺籌所可測窺吉甫穆如之誦不能不耿耿於仲山甫之永懷未知如何如何正喜病情乖甚今雖胃道稍通留侯之辟穀復能强倉閔仲之猪肝亦累安邑口曼餘祟又發於眼專是風火之無以制伏多年障毒交發互乘花翳障纈如在炯霧窟中人而黔晢糢糊飯之羹胾錯誤必有旁人指導然後能隨以作計平生所倚以爲命之書卷一以擱寘夜長如年待鷄如百蟄聞雷望晨如天下文明一日二日以之一月二月火煎膏爍雖不死心如第二羅漢恐無以消受矣下送靈稏有領不辭若固有之是何功德如非前貺之沾枯潤乾無以延此一縷之近頗罄乏又蒙繼廩之盛寘之不竭之原甘露灌頂之謝而已筆如二尖畫如雙权艱寫如此漫不成行轉轉悚蹙不備惟枕簟邀凉林泉換日石翠泉綠終非熖塵中物本自具萬斛淸凉今始吐氣跨景人亦收其功德䟽瀹神志咀嚼英華可以伐毛洗髓凌霄漢登仙梯此亦大哉時而君子以之非止爲一段流連光景已也近夜月色果好江間明月雖甚寥曠未有如山中明月全收二分每詹望願向若將希光追影而不可得忽伏承下書遠存尤不覺心與雲逝況伏審邇凉勻体候神相百福淸亨冲養隨喜自適無他牽礙頂頌無量以旁觀視之赤舃遲回有聊淹留之難龍蟄存神化之盛有非小量淺腹所可圭測烏足與議於大人境界也正喜煖觸尙今自在金火之交痰祟倍肆如秦楚無道弱國兵車無以抵當眼花又添却幾分左右交攻寔有頃刻之雪如得石泉一飮聊城一言之重菊辰舟申之期屈指恭俟敢不擔簦以從也餘窡亘抵臈下江擧又從以侵凌老坡之紙尾竹榻不足排悶党尉之羔酒淺斟亦非雅分朝冷呵手益覺佳節無憀但憶山中雪水試茗忽伏承下書夾之以美醞山肉非徒口趣太屠胃饞可鎭茆山道士脆脂銀榼卽一笨伯耳何等頂謝謹伏審夜窡駿奔餘勻軆度尙有前損之未卽淸和必須石翠嵐漪之間頤神養眞可以大滌舃底黃塵此事果不容易耶如正喜者實不耐米塩凌雜窃欲輕擧而不能辦矣正喜嗽症實賴泉力雖作蝸縮不至鱉咳殊可異矣二帖間從窓影細閱吐墨儘是奇品且其吳邦治所題筆法雅古可愛又鴻雪齋禇法神隨未知皆何等人耶天下至廣此輩皆無聞焉抑或偏方見聞之所未及而盛稱於江浙間歟何畵錄書譜不見一人也李卷靑綠愈見其渲染之神妙古人所云愛畵入骨髓者始可論於此等耳近於煙雲過眼處未嘗留着此心今不忍遽釋仰靳暫存是見獵之習氣耶恨無由對訂如山房雪几耳自峽而嶺是果大人境界耶泰山北斗匔屈下邑王亂諂象聊以逍逼相羊神龍或化蚕蠋須彌亦入芥子是又小大可齊理事無碍歟迂化無窮非人力所可杞定雖百變千幻閬風玄圃隨其所安不爲其所便是君子之立跟著脚不如衆人之蓬轉萍飃同流合汚也第其眼前之謠諑觀之 聖恩慈庇如天無極旁覩感激何況躬承 寵靈也伏未知何日蒼皇踰嶺莫接方便不異過境水泉亦淸爽風土亦馴擾歟風雲饕虐勻軆候百靈衛扶神旺健相無一毫損區區頂祝不能暫刻弭忽如釘着中如印印泥坡老之惠州未足衛公之厓州爲大亦復何計也古人之周易詞抄藥方皆不能無此消受處閒課漫興非爲一段遣悶而已白雲浮石之勝可以幽討而安文成之芳風可以煽遊塵周愼齋之魁將氣像至使苔壁劈窠之字制伏魅怪百世之下可以遡象其風采往昔可追像季可感發者尤不能自己頃於秋駕時亦選出江外大雨中聲信莫及聞在二日後已無以津逮於未前旋又作此行只有遙遙瞻望到抱川驛店得逢輿夫之過去者始伏聞九日始抵達之信過嶺以後無非所實蔭餘愛之地且頌且咏若可以托賴及到樂氏樓下及讀李校所藏書帖喜不自勝如詹歲新如逢花開不覺此身之流轉塞上況承勻宋於咫尺間妄有題識已爲呈覽云矣然以書尺往來無緣柹及懸懸於心中不料李校判維摩應到東坡界可知惠州之不在忝矣並奉書函一讀仰想包涵廣大無所滯芥無小稚之怨誹無楚騷之離憂蟬蛻濁穢之中蜉蝣塵埃之外此所以處坎益亨者耶何其感也佩之身邊作一大明之神呪太上靈符到底勻註感誦無窮已正喜阻二十八大水費三十日風雨抵此城東樺皮屋中厪能支柱殘軀忽自至後疸氣見於面後儼一黃面老曇無醫藥地自分必死又不知何緣回轉數日內稍稍褪黃面而鼎器已敗又何望也桐栢山中耦耕舊約恐爲山誚溪潮矣至如契活東貸西取來時厪能作行費仲季輩羽毛譙譙亦無以摸空判虛此地又荒不知到口者又何如又此殘年向誰乞怜誰又應之隨運騰騰而已姜生與鐵胥皆能奮身隨來而竭人之忠耶恩海恩山祝天祝聖同聲並誦竊伏惟王虯瑶象豈久於潭畔況魁杓一周天道循環自當有大刀頭協慶膺祥其間之暫遊小別人自藤葛於悲歡離合如蟻螻蛸蝡之微付光希影托庇大人境界與榮之幸仰挹勻注亦能生入玉門歸伏田間渙弟樵兄如續再緣是之叮嘱也掃到桐栢陰始逢兩弟獲奉勻信在北起程之日卽赤舃吉旋之時遙遙欣拱及抵田舍第二日又伏承下存非非想中尤不勝讚歎萬千萬千讚歎或從承覿而來者聞起居狀松栢堅貞金石無强今覩無心書果信然且伏審初寒勻體度神相康福過擧已銷善果日圓雲山得意塵襍退聽黍大局魚鳥勝侶逍遙徜徉天機自然似與樊上甲乙但未知臭味何如也區區正誦正喜新渥雖殊舊寃猶在不敢宥還而自處生人天乎天乎此何人斯此何人斯旣生還矣且伏奉䵝昧之恩諭監燭無餘雖卽日趨晋獲展勻覿以理以情無容少緩況山寺之敎若是鄭重隨方便敢不奉以周旋過咸登知樂亭詹覿山海崇深字甚奇壯昔蓮池朴尙强摘海字爲說是不曉隷法耳不覺啞然大笑退村二大隷强腕舃呈非以書爲也笔畫之間寓之屈伸之義庶蒙卽可工拙又不計也雖尋常小文字君子之所贈答朋友之所箴戒皆不有不寓戒古人原無徒作不然卽不過一玩物一俗師字匠何䙡焉乎哉雖博百鵝便復俗書耳拙字甚陋今以後免耳邇還以來㭗紆而憂毒危迫而蕉顇旣壓次之不掦又沈綿之不發心思忄+延?無由收檢手解緩莫得卷曲如騰空界如轉風輪拉繩墨而愈錯就矩矱而益舛懷中之字欲滅不思所以仰對冉冉綠陰之換世積旬過辰亦不自覺其頭上流變稽至于今設或有曲庇委諒道理義禘全不相屬孽子之任渠觸忤恨人之甘自違傲乃如是歟佛辰喜乾燥風弄陰勻体度葆衛百祉如微愼小極隨和隨鬯神健氣旺木火交承無所熏習伏庸額拱徐輔國間從門虛來頗說近候甚詳深加尉浣此召浮由南北得人遊褅令人歡羡如惠持之入定樹中回仙之北海蒼梧必有兩彩一賽誰能定其勝劣也正喜如舊木石去益乖瘏去益靡措始也汗漫之計月初卽理山裝圖躡後塵豈意腕晩差池山盟欲窡林嘲難解然尙擬可追於來者未敢知阮途之窮能果禽尙之緣耶嶺僧聖覃間因勻旨見訪與之數日消受於無聊㐾傺之中亦知其自大人境界來者有殊勝處耳餘不備長語十七年陰厓坎窞日月所不照鬱單之湖歟䟽屬之山歟何以與議於獻發新舊窃伏惟崇齡添籌勻嘏增籙有不得不翹首詹仰區區之私不嘏自顧影踧踖自阻第歲輪轉而月下弦聲塵渺渺上元之夕金生仲遊全亦平安兩字金又以勻什七言並附而來非非想中欣聳十丈捧讀回環江調老靑崍韻健碧大年稀有眞力彌滿古琴梅㿀老瓷秘色歲久時換之際愈覺精采殊勝不以躰逐相變境因物迁字字泛華嚴法界來是老坡一生受用遊戱三昧處熊熊之氣充滿於冰詹雪壁何異夜摩忉利直取肥膩雪乳之味也歲後之寒更甚可謂太昊守謙顓頊不廉舊丙奇寒今於一周尙復㱡㱡猶記雲從街上無人行者豈羌和日月簿亦如世間之謄錄前例不得已循迹俯就耶亦可異矣連空春雪忽憶江淸此時勻体候一向葆處曼康潭禧隨鬯凍鯉冷葅同登椒盤一以繾慮一以憬頌正喜不知何緣又抛一歲月容易如陶家輪至於生人之家常安否不暇計及第呌兄號此何日月一縷尙存甚於鷄肋甚於羊膓亦復奈何每擬一伻今日大着力呵凍毫委甫如此又寫銘放定稍見面目並以呈上更邀攬正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在南時別紙 此中風土人物天荒尙未闢破推魯無知卽何異魚蠻鰕夷箕中亦有秀拔超倫之奇其所讀不過通鑑孟子兩種書而已雖此兩種亦何徵而礙但可以如是責備耶天賦無南北特無導揚開發導師悲悶爲爾嚬歡者政爲此地道耳然環漢拏四百里之問柑橙橘柚之嘉玲人所共知者外此奇木名世葱靑交翠擧皆冬靑皆不能知名樵牧無禁甚可惜若使一笻一屐處處採訪必有奇觀異聞顧此籬底生活何以及此耶楚南之多石少人自昔已然漢拏靈異磅軋之氣鍾在草木而已耶豈鍾於物而不鍾於人也水仙花果是天下大觀江浙以南未知如何此中之里里村村寸土尺地無非水仙花花品絶大一朶多至十數花八九蕚五六蕚無不皆然其開在正晦二初至於三月山埜田隴之際漫漫如白雲浩浩如白雪累居之門東門西無不皆然顧玆坎窞蕉顇何可及此若閉眼則已開眼則便滿眼而來何以遮眼截住耶土人則不知䙡焉牛馬食齕又從以踐踏之又其多生於麥田之故村丁里童一以鋤去而猶生之故又仇視之物之不得其所有如是矣又有一種千葉者初開花之時如菊花之靑龍鬚與京洛所見千葉大異卽一奇品矣秋末冬初窃擬擇其大根者送呈未知其時便値晼晩矣屈子所云不及古人誰與玩訪者不幸近之觸境感悽不禁汪然也扇題書畫果是佳品甌香筆意石帚餘調令人移情大槩近日寫生之必宗南田愼詞之遠訢白石風裁冷雋不及側艶一蹃足以頂針於東人此雖小道亦不可看過也此中有甘露樹樹厪大一握或二三握折其本則水湧如瀑泉一本可得水一大甁水如乳泉味甘如石蜜之上品淸例有香他蜜之甘皆不如也儘奇品異産矣仙家之瓊醬玉液恐不多於是樹在深山或遇之而不多此中人亦不知也年前有一行脚如道人者渡海而來入山渴甚取其樹截而飮之其時樵夫一人旁見之能道其事今從樵夫得之恐其傳播而爲此島大患故亦秘而不發若三四日程則可以轉達而百計籌量無以遠致之道不得仰呈極可嘆耳曾記宋元間人所著錄南方草木有云樹汴如甘露者未知是樹歟書卷中見之亦一奇聞而豈料口嘗異味如是耶不得不仰陳於閤下以廣海外異聞耳伏聞登晋台閤與一世同慶又爲之憧憧不已同慶者外而隨衆之尋常頌禱憧憧者內而肺腑中流出之耿耿者也雖下邑島澉之村丁紅女擧無不引領加額況如坎窞桂蟄之物舊在久要之末者乎今日之日異於昔日之日動作則披絮牽棘習尙則脂掌含糊雖臯夔執炊伊呂添薪鼎中之梅萬無以調劑也然聖明在上得君之專恐又無如此時遂不得一展施一效力和光同塵與之上下於膠漆盆中寜不太息流涕者乎爲閤下籌之不量入而入勇往猛進有可以一分有益何憚而不爲若無一分益而萬仞之塹隨其後亦非君子審幾密時之義耳日者恩叙誕宣感祝深極朝家之面目始正是功贊頌其於閤下何有乎遲早又何有乎增减西郊之風雷旋息東岱之霖雨勃興區區喜慶非止一段私好已也雪屋冰簷卽往時之熱界火宅當是時豈料今日此境天道循環有不得不已昔之東蓬崍轉南梗零飄必有此五色瓜地煙江疊嶂 恩輝寵光先已此爛盈交加江樹含萃鵙鷺與榮有待乎今日世諦之如豆小眼特迷訛不識天運循環之際妄以盲輪幻網弄現不已紫薇玉堂東坡赤壁自是一坡民笑且歌一邱一壑敺是現景同軌疊炬村凞埜樂無礙太平頂拱無窮至如小人天之所廢鬼神之所呵日月之所不及雨露之所未濡四阾耒耟齊起陰崖之氷雪如舊自分阿鼻永劫沈淪雖提波尙有授記其有甚於提波者乎跳空而空不受攝塌地而地亦吐棄恁麽不得不恁麽不得顚狂搭到不知所出間於恩甄之時崧壽之辰理當有一申悃私顧以何面目擧似隨人作計耶想亦諒及於此不以深責於一切阻斷矣不備望後山駕果將再理適得一俗諺唐突崇嚴極知猥屑極知悚惶敢博異聞函海之大亦當包宥矣有一遇虎之人超上虎背虎亦驚擲無定遂騎虎而之村落間兒童拍手齊呼作騎虎仙人其人曰仙則仙矣苦哉苦哉騎虎是不得已也仙人是童觀之異也苦哉苦哉是其實情耳每見名山福地有仙無虎安得於福地名山永享仙樂耶不覺啞一笑絳灌隨陸非不各足英分對留侯則傖夫嵇鍛阮洎非不骨帶烟霞對蘇門先生則笨伯余於此卷亦云黃癭瓢畵甚奇古以隷畵作之如金冬心鄭克桑又是一種風致茶品果是勝雪之餘馥賸香會於雙碑舘中見如此者東來四十再未見嶺南人得之於智異山僧山僧亦如蟻聚金塔實難多得又要明春再見僧皆深秘畏官不易出然其人與僧好尙可圖之其人甚愛拙書有轉轉兌換之道耳不備有一蜜僧自楊根過江而來傳道初十山期眞眞的的不勝聳賀聳賀者神旺氣逸無舊衍之沉尋一也無有牽纏解脫二也勇前直截不少持疑如少壯時三也是皆豈衰脫所能辦也我公是一聖世閒人天以是公賁餙 聖世一閒世界圓就 聖世一事業是不世有之瑞世者豈止於文龍海晏威鳳河淸而已所以賀不容口繼之乎攢不自已第入此山者亦有遊術其槩不出三數仙遊也禪遊也儒遊也仁山智水王籥金樞華嚴樓閣皆其惟之近而各隨境異山未嘗有異能不囿於是而得廬山眞面目又果何如哉最其名遊一着爲可惡名遊者噉名而遊也大抵山內外九龍淵萬瀑八潭爲第一天一坮歇惺樓爲瑰觀須彌搭爲奇觀摩訶衍十日留而不厭者靈源洞亦不可不觀外此幽洞奇山甘+欠一石一流非不有處處自具一段可喜多噉名處萬物草爲甚此可以省老年笻屐之勞不逐於噉名之中也山中故事如霜岳故實降香遺跡一無所傳有所稱盧亻+眷一款包絡山川令人欲嘔如西山具葉內賜鸚鵡螺甚奇螺是詳製萬曆以前此物何日流傳而東出也在揄站寺中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尹梣溪 飛樓百尺長橋十里半世此緣收圓此畫圖中雖使從前阡陌晨夕未必多此一勝況南北顚沛末路合尖又在於棠庇注之際婆心慈悲百福增益旣醉旣飽千里歸來蟄處田間是誰之惠以頌以感卽伏承台下翰如此雪如此寒從審崇樂体居神相曼禧伏庸頂溯第紱舃內移鬱林歸裝似已殼當能無餘惱亦無餘戀知樂玉簫之間似有田頭依依者如何如何戚下歸伏冠岳之下漁弟樵兄相對如夢逼年百感朝沸膓輪間不足爲外人道耳惠盛儀塞破冷廚感切切餘留別復不備惟伏祈迓祉遄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711년 조영복(趙榮福)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卯五月二十六日 趙榮福 辛卯五月二十六日 趙榮福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11년 5월 26일에 시생(侍生) 조영복(趙榮福)이 아드님의상참(喪慘) 소식에 통렬한 마음이라 하고, 추신에 통달(痛怛)한 마음을 전하는 간찰(簡札) 장성한 독자(獨子)의 상을 만나 통렬한 마음 억누르기 힘들었을 것이고, 자신도 모르게 정경(情境)이 상심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주신 편지에 맏아드님이 세상을 떠났다는 부고를 듣고 매우 놀랐으며, 그 내외가 잇달아 죽었다고 하니 어떻게 견딜 수 있겠느냐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8년 이교영(李敎永)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戌 九月 二十九日 弟 李敎永 戊戌 九月 二十九日 李敎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015_001 1898년 9월 29일에 동생 이교영(李敎永)이 산림계(山林契)와 판술(判述) 조카와의 의논이 후회막급이라는 등의 내용으로 형에게 보내는 간찰(簡札)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동생인 자신은 어제 행산(杏山) 신기(新基)에 저녁에 도착하여 밥을 재촉하여 먹을 때 의논한 것이 어두워서 걷기에 어렵다고 하고, 다만 산림계(山林契) 운운한 말은 중지하는 것이 어떻겠는지를 물었다. 이는 진실로 세상의 인심과 사물의 균형을 조제(調濟)하지 못해 중심을 잃은 소치이니 편하지 못하며, 어제 판술(判述)의 조카와 돌아가는 길에 의논한 것은 후회막급이라고 하였다. 추신이 있는데, 중지(中紙, 품질이 중간치인 배지)를 얻었으나 또한 기록하여 답하기 어려워 일봉의 미지(尾紙)를 태정(胎呈)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