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9년 6월 27일 관문(關文) 崇德四年六月二十七日 關文 127 병조가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올해부터 임오년까지 두 차례 식년(式年)의 세초(歲抄)를 임시로 중지하고 그 사이에는 연로하여 군역이 면제된 사람과 사망한 사람을 대신하여 충원하는 일에만 전념하도록 재가받음.기묘년(1639, 인조 17) 6월 29일 도착.병조가 살펴서 시행할 일 때문에 보낸다."이번에 도착한 비변사의 관문에 이르기를,'이번에 재가하신 이상형(李尙馨) 상소(上疏)의 회계(回啓)에 대한 판부(判付)에 이르기를,「그중 이른바 죽은 사람에게 군역(軍役)을 부담시키는 것은 더욱 몹시 불쌍하다. 빈자리를 충원하는 것은 햇수를 한정하여 중지하고 이 상소대로 하나하나 대신 충원하여 백성의 원망이 없게 하라.」라고 하였다.255) 본사(本司)가 회계하기를,「연로하여 군역이 면제된 경우에는 대신할 후보자를 당사자가 스스로 정하는 것이 당연하겠으나, 사망한 경우에는 대신할 사람을 누구더러 충원하게 하겠습니까! 본 고을의 수령이 빈자리를 대신 충원할 것은 생각하지 않고서 사망한 사람의 족속들에게 충원하도록 계속 요구하는 것은 너무나 의의가 없는 일입니다. 앞으로는 법을 위반하여 사망한 사람의 집에 다시 침범하는 자가 있으면 해당 수령을 본도(本道)에서 적발하여 죄를 다스리게 하되, 빈자리를 충원하는 사안은 두 차례 식년(式年)까지만 우선 중지하고, 연로하여 군역이 면제된 사람과 사망한 사람으로 인해 생긴 빈자리를 충원하는 일에만 전적으로 힘을 쏟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라고 하니,「〈아뢴 대로 윤허한다.〉라고 재가받았다.」라고 판부하였다.256) 올해부터 임오년(1642, 인조 20)까지 두 차례 식년의 세초(歲抄)를 임시로 중지하면, 을유년(1643, 1645, 인조 23)이 대세초(大歲抄)의 시기이더라도 그 사이 7년 안에 연로하여 군역이 면제된 사람과 사망한 사람을 대신하여 충원하는 일에만 전념할 수 있으니, 모두 충원하지 못할 리가 결코 없다. 살펴서 거행하라.'라고 하였다. 비변사의 관문 내용을 상세히 잘 살펴서 시행하라."숭덕(崇德) 4년(1639, 인조 17) 6월 27일. 己卯六月二十九日到付.兵曹爲相考事."節到付備邊司關內, '節啓下敎李尙馨上疏回啓判付內, 「其中所謂白骨軍役者, 尤極矜惻. 虛位充定, 限年停罷, 依此疏, 使之一一代定, 俾無民怨.」 本司回啓, 「老除之代, 當身自望固也, 物故之代, 誰使爲之! 而本官不思本定, 仍責於物故之族屬, 事甚無謂. 自今以後, 如有違法更侵於物故之家者, 則當該守令, 令本道摘發治罪爲白乎矣, 虛位充定一事乙良, 限二式年, 姑爲停寢, 使之專力於老除、物故本定, 何如?」 「啓, 〈依允.〉」爲有置. 自今年至壬午, 兩式年歲抄權停, 則乙酉年, 爲大歲抄之期是置, 其間七年之內, 專意於老除、物故充定之事, 則萬無不得畢充之理, 相考擧行向事.'關是置有亦. 備邊司關內事意, 詳考奉審施行向事."崇德四年六月二十七日. 인조 17년(1639) 5월 21일에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이상형(李尙馨)이 상소하여 당시의 두 가지 큰 폐단으로 제향(祭享)과 병정(兵政)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중 병정의 문제란 세초(歲抄)의 폐해를 가리킨 것으로, 해마다 세초를 하기 때문에 연로하여 군역(軍役)을 면제받아야 할 사람이 종신토록 군역을 부담하고 사망한 사람이 죽은 뒤에도 군역을 부담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식년(式年)마다 거행하는 대세초(大歲抄)는 폐지할 수 없더라도 해마다 시행하는 별세초(別歲抄)는 중지하고 연로하여 군역을 면제받은 사람과 사망한 사람을 대신할 사람만 충원할 것을 청하였다. 인조가 이상형의 상소를 비변사에서 내려주어 처리하게 하자, 비변사가 회계(回啓)하여 이상형이 지적한 문제는 세초로 인한 폐해가 아니라 수령의 죄이며, 막중한 문제를 갑자기 변통할 수 없으므로 후일 처리할 것을 청하였다. 그러자 인조가 아뢴 대로 하라고 하면서 '빈자리를 충원하는 일은 햇수를 한정하여 중지하라.'라고 명하였다. 『인조실록』 17년 5월 21일(정축). 이는 후일 비변사가 재차 회계하고 인조가 그에 대해 판부(判付)한 것으로 보이나 관찬사료에서는 해당 기사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心不堅確 志不奮揚 力不勇猛而欲徙義改過 雖不悔萬悔 竟無補於分毫吕新吾語席啓圖曰 以悔爲堅確 奮揚勇猛之創始 則可以悔爲不堅確 不奮揚 不勇猛之 究竟則何用臼山老人書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김종식(金宗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丑十月卄六日 金宗植 乙丑十月卄六日 金宗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5년 10월 26일 김종식(金宗植)이 헤어진 이후의 안부와 성혼시키지 못하는 사유를 묻는 내용의 간찰(簡札) 1925년 10월 26일 김종식(金宗植)이 성명 미상의 상대에게 헤어진 이후의 안부와 연내에 성혼시키지 못하는 사유를 묻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伍▣…▣ 正月十七日 林鳳祥 前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可移買次 勢不得已 文田面柯〖可〗川村前伏在 夫字畓壹斗落只負數陸卜庫乙 價錢參拾兩依數捧上爲遣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 則持此文告官卞定事畓主 林年善 [着名]證人 林龍伊 [着名]筆 長兄 命臣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교성(李敎成) 신문조서(訊問調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辯護士 文澤圭 法律事務所 李敎成 訊問中項 文澤圭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변호사가 이교성(李敎成)에 대해 신문(訊問)한 사항 4조를 적어놓은 조서 변호사 문택규(文澤圭) 법률사무소 용지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변호사가 이교성을 신문한 결과를 기재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모두 4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1조는 경기도 양주의 분묘 및 위토 관리에 있어서 원고에게 지불하기로 약속한 일이 실제 없었음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2조는 묘지기 신정복을 대신해 원고가 스스로 묘지기 사무를 관리해 왔는데, 신완복 등 일족의 공유지를 자기 소유로 사정(査定)하여 받은 것이 부당하다는 것에 대해 원고가 그 자손과의 관계상 스스로 그 불복을 주장하는 일을 실제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3조는 이 불복 주장에 관한 비용은 당시 위토에서 산출된 수익으로 전부 충당한다는 말을 원고에게 주지하였다는 것이다. 4조는 들어서 알게 된 사실의 전말을 평술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成 交游盡謝舊鄕里 屈指餘存或二三老去賦詩渾妄語 客來無事亦閒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覽物有感 【丙寅】 物中人是最靈知 知得無非所可爲事事踐行忠與孝 世閒多福自然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季夏偶題 【丙寅】 偶作病夫徒坐臥 悤悤家事渾忘裏老農爲我時時來 肯問前坪吾稼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潭州菩提菴 縹緲小菴逈世緣 翠甍朱橑抻靑天普師往迹雄心著 無學眞工道脉連月下擊鍾僧禮佛 雲閒扶杖客如仙曾聞勝狀今來晩 疲倦空歎老大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蔡永七【斗永】 人吾韻 【二首】 萬物之中貴者人 觀其志行各其人終成白髮書中人 自致靑雲利上人本是農桑作業人 有時漁釣忘機人嗟吾偶爾無聞人 願學爲仁這箇人當行事物備諸吾 立志是吾性率吾夜寐夙興無忝吾 寒衣飢食何憂吾紅塵富貴不滛吾 白首平安自適吾子有嘉詩和者吾 一章言志豈欺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金尙【三鼎】鉉晩圃韻 松柏靑靑守歲寒 吾生交契與比看倦夢如雲頻出峀 相思待月每憑欄酒嫌失䫉傾盃易 詩欲成言下字難借問居家何所事 晩年治圃一身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開巖寺餞春會韻 【二首】 餞春一事亦風流 地勝開巖景色幽丁寜華柱仙緣鶴 咫尺蓬湖客夢鷗惜別琴彈流水曲 叙情酒作釣詩鉤却奏斜陽歸路晩 居僧强挽有何求惜春不已更登樓 遠向東天久擧頭古木靑靑山色霽 落花寂寂水聲流酒情同醉尤相勸 詩話群逢暫不休只恨尋芳扶杖去 肯叅此會未優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安友【秉榮】梧亭韻 嶧陽孤本種亭前 企待材成計十年栽培宜彼林塘士 生長任諸雨露天高枝麗景雲霄聳 大葉淸光霽月圓安分主翁多所樂 客來自遠設詩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蔡友東夏枕泉亭韻 【二首】 居幽地接排風城 枕下泉冽累緖晴可灌瑞苗興野色 能添流水作溪聲飮來渴吻因消暑 滌去煩襟更洽情縹緲茅亭淸意味 主翁知得樂平生地是水盤背土城 此閒泉出累塵晴不息長流源是活 無心泛聽混無聲松柏陰成聊可愛 芙蓉花發亦多情主翁淸趣誰能識 一代平安一老生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