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9년 6월 13일 도착 관문(關文) 己卯六月十三日到付 關文 125 경기관찰사 겸 순찰사 이행원(李行遠)이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칙사(勅使)가 나올 때 사용할 사후(射帿), 소적(小的), 박두전(?頭箭) 등을 납부할 것.기묘년(1639, 인조 17) 6월 13일 도착.경기관찰사 겸 순찰사가 살펴서 시행할 일 때문에 보낸다."칙사(勅使)가 나올 때 만약 –원문 결락- 전례에 따라 사후(射帿), 소적(小的), 박두전(?頭箭) 등의 물품을 준비하여 –원문 결락- 별도로 정하여 기일에 앞서 실어다 납부하라. 그러므로 관문을 보낸다."숭덕(崇德) 4년(1639, 인조 17) –원문 결락-▶ 어휘 해설 ◀❶ 박두전(?頭箭) : 조선 시대 무시(武試)에서 사용하던 화살로, 박두전(樸頭箭)이라고도 표기하였다. 화살촉이 둥글고 가느다란 나무로 만들었으며, 화살촉에 쓰인 나무의 크기에 따라 중목박두(中木樸頭)와 세목박두(細木樸頭)로 구분하였다. 세종대 이후에는 목전(木箭)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렸다. 己卯六月十三日到付.兼巡察使爲相考事."勅使時, 如有▣…▣依前例, 射帿、小的、?頭箭等物, 措備▣…▣別定, 前期輸納向事. 合行云云."崇德四年▣…▣.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동방삭지연사법(東方朔知年事法) 등 비결서(秘訣書)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매달의 절기와 농사법 및 까마귀와 까치·여우의 울음소리에 따른 길흉사, 풍년기원법 등에 관해 적어놓은 비결서(秘訣書) 문서에 동방삭지연사법(東方朔知年事法), 오명지법(烏鳴知法), 작명지법(鵲鳴知法), 호명(狐鳴), 매년오곡실부실결(每年五穀實不實訣) 등이 기록되어 있다. 처음의 동방삭지연사법은 우리나라에서 매달의 절후(節候)에 따른 농사일을 적어놓았다. 예를 들면, 4월 1일에 비가 오면 보리를 거두지 않는다는 것 등이다. 오명지법은 까마귀가 우는 시간대별 길흉이나 점괘를 적어놓았다. 작명지법은 까치가 우는 시간대별 점괘를 적어놓았다. 호명은 여우 울음소리가 시간대와 일간지(日干支)별로 방향에 따라 생길 수 있는 길흉사를 적어놓았다. 매년오곡실부실결은 오곡을 오방색에 결부시켜 1일부터 10일까지 날짜별로 결실의 상중하와 길흉 등을 적어놓은 농사의 풍흉에 대한 비결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9년 양성묵(梁性黙)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己巳四月三日 梁性默 己巳四月三日 梁性默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9년 1월 3일 양성묵(梁性黙)이 이교성(李敎成)에게 혼사에 규수를 추천하는 내용의 간찰(簡札) 1929년 1월 3일 광주군에 사는 양성묵(梁性黙)이 보성군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보성에 다녀온 이후 요통이 심해 거동이 불편한 자신의 형편과 상대가 혼처를 찾는다는 소식을 듣고 규수를 추천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2년 양성묵(梁性黙)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梁性默 李敎成 殿 梁性默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2년 12월 17일에 양성묵(梁性黙)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족인 종상을 만난 소식과 신랑감을 추천하는 내용의 간찰(簡札) 1932년 12월 17일에 양성묵(梁性黙)이 보성군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상대가 찾아왔을 때 만나지 못한 아쉬움을 족인 종상을 만나 조금 해소했다는 소식과 신랑감을 추천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0년 이정호(李禎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庚之菊秋重陽 李禎鎬 李喪制敎成氏 庚之菊秋重陽 李禎鎬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40년 음력 9월 9일 이정호(李禎鎬)가 이교성(李敎成)에게 연죽의 금액 및 선불의 필요성을 알리는 간찰(簡札) 1940년 음력 9월 9일 이정호(李禎鎬)가 정읍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상중의 안부를 묻고 부탁한 연죽의 금액 및 선불의 필요성을 알리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3년 구산노인(臼山老人)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癸卯元月三日 田愚 癸卯元月三日 田愚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3년 1월 3일에 구산노인(臼山老人)이 좋은 글귀를 적어 보낸 간찰(簡札) 1903년 1월 3일에 구산노인(臼山老人) 즉, 간재(艮齋) 전우(田愚)가 여신오(呂新吾)의 말과 석계도(席啓圖)의 말을 함께 기록한 간찰이다. "마음이 확고하지 않으면 뜻을 떨쳐 드날리지 못하고, 힘이 용맹스럽게 하지 못하면 의를 옮기고 허물을 고쳐 천만번 뉘우치더라도 마침내 추호도 도움이 안 될 것이다."라는 여신오의 말과 "뉘우침으로 굳건함과 떨쳐 들날림과 용맹의 시작으로 삼는 것은 괜찮다. 뉘우침으로 굳세지 않고, 떨쳐 일어나지 않고 용맹히 하지도 않으면 결국 무슨 소용이겠는가?"라는 석계도(席啓圖)의 말을 함께 적어준 간찰이다. 여신오는 중국 명나라 때 사람이고, 석계도는 청나라 사람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五言絶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月 雪與月雙明 江山一色淸 夜深誰訪我 筵憶故人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夜 雪月揚明色 閒吟庭畔行 星稀雲亦歸 偏勝故人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頑蠱說 臼山先生 定居海山之陽 士友雲集 築室讀書 遂命名其書室曰 安陽 陽乃君子之道也 陽消陰盛 則君子退而小人進 理所固然也 然天道而有陰消陽長之理 人道而有反善自新之義 先生之安於義理 而顧諟天之明命 駕守聖訓 豈非幹旋氧化 一陽復於下之基耶 羣陰剝陽 億兆生靈 總入漏般 而解倒之思 已極善養 吾太和元氣 不爲物欲所蔽 篤信天理 不爲威武所屈 則陽不可以終盡而窮上反下 必有七日來復之期矣 取晦翁詩 萬樹爭春我獨頑 及清人詆宋儒爲蠱者 標榜其燕居之室曰 頑蠱堂 盖取夫斡旋剝陽於羣陰之中 而世雖謂之頑蠱 亦所甘受之意也 客過佘問曰 子亦學艮齋者乎 曰 諾 曰 今之學者 徒尚口耳 不務實踐 而倣宋時著方袖曲領 而學伊川者之遺轍 但著太袖方領 而自謂從臼山之學 於何所用 見全新式世界 固守舊法 自有高尚之志 然全無輔世長氏之策 而不知舉勉丈之義 又不死淵翁之節 但圖生命焉 有知義理者 而視君父 若楚視越之理 無彼無此 而一是皆頑蠱也 余曰 子視今天下謂有道乎 謂無道乎 客曰 不可謂有道也 曰 然則 夫子曰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而篤信好學 守死善道 若吾輩者 只是一介讀書士 而至於撥亂救世 非惟才力不及 亦勢無所乘 只自痛哭而已 雖以頑蠱目之 亦所不敢辭也 於是客唯唯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種蘭說 凡草之芳香者 不爲不多 而特稱蘭者 爲其雖生於幽谷深林中 不以無人而不芳 而其香遠聞者 殆若君子之修道主德 不以困窮而改節 而雖在陋巷 德不孤必有隣之義4) 故古之君子 多愛之 既藝九畹 又紉其幹而爲佩者 良由以也 噫 蘭本爲王者之瑞 而今乃不然 與衆芳爲伍 其爲辱 甚矣 於是君子傷焉 而作操曰 荊棘剪不去 芝蘭種不榮 此卽詩人感物 寓意咏嘆憂憤之義也 蓋蘭之生也 但於中國而不於東邦 未知隨土之所宜而然歟 抑亦未得其人而然歟 如得數本 則種之于庭 砌之以石 澆之以水 以遂其生 然後非特玩其綠葉素枝 一幹一花 不與桃李爭春之操 不以无人 而不芳之高義而已 余雖非君子 將紉其幹而爲佩託 孤根而爲期確吾所守 而不以困窮而改之 曄吾生而乃已矣 見今世雜薰蕕 莫嗅其奥 而或自爲羣於禪誦 求飽伊蒲之饌 而不知大學中肉菜之珍味 又有會於仙道要覓桃源之迷路 而不愛歲寒然後 松柏之後彫 鳴呼 蘭之種者 不復見於今日也 "不爲不多"에서부터 "德不孤必有隣之義"까지의 문장은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는 듯하다. 정서하는 과정에서 뭔가 오류가 있었을 법한데, 자세한 것은 아직 모르겠다. 한편 석판본 정의재유고에 나오는 내용도 위와 같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繼華歸路抵花井里金錫孝【永喆】家 行裝草草歸家日 適値成菴遠諱辰堂室荒涼依舊在 漲天雨色故留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孚禴齋晩眺 陟彼南岡最極頭 欲窮千里更登樓許多風月無量在 縱有文章不盡收歷歷晴川飛去鷺 茫茫湖海泛來鷗中流急水無人渡 可惜回船不自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 入道莫如窮物理 理窮在讀古人書沿流水上量深淺 摘葉枝間辨密疏易爲白髮來應速 難得靑春往亦虛著力做工初可復 昔非不足今何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