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9년 송성순(宋星淳) 차용증(借用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四年拾貳月五日 宋星淳 昭和四年拾貳月五日 宋星淳 전북 정읍시 [印] 2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929년 2월 5일에 송성순(宋星淳)이 70원을 빌리면서 채권자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借用證). 1929년 2월 5일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성순(宋星淳)이 70원을 빌리면서 채권자에게 작성해 준 차용증(借用證)이다. 이자는 매월 1원당 4전으로 정하였으며, 이듬해 9월말까지 반환하기로 하였다. 송일섭(宋一燮)이 보증인으로 차용인 송성순과 함께 서명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九日憶金秋潭【鎭總 甲子】 嗟君去後更無奇 此別元來永別離藥院優游能幾日 升山遠覽亦多時白首餘生思舊迹 黃花佳節詠新詩不復人間相對得 神交可待九原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艮齋先生 【甲辰】 道體貞泰 慕仰區區 驥魯素學空疏 未嘗不欲勵志劬書 以收桑楡之餘光 然有意未遂 慚靦何言 先墓下丙舍 己保三百年之久 而迄今闕大人君子不朽之迹 心常欫然 伏乞先生 特賜齋號與記文 使此空山權室 賁然生光 則一門受賜 亦多矣 敢瀆尊聽 惶恐無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艮齋先生 【丁未】 顧此昏黑世界 履霜堅冰已極 士當明春秋大義 撥亂反正 可也 然非惟才勇不足 只是窮而在下 雖欲奮起 勢所末田也 潛處林盧 俯讀仰思 粗窺一箇道理曰 但當抱經遯迹 忍痛自靖 雖枯死溝壑 甘受母悔 是也 淺見似此 未知如何 餘伏望體仁衛道 以慰天下之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艮齋先生 【戊申】 遠望海山 山氣秀麗 而名又嘉矣 蓋群山3)與臣峙 自濛澒澒 肇判誰錫嘉名 以待今日 每擬一進候謁 兼欲玩其形勝而未果 去月二十日 因任德仁便 得船於沙津 而才到格浦 風勢不利 留四五日 終不得放舟 且居處舟中 身作寒疾 亦不遂意而歸 此時情私 何以仰達 下示敬義 兩進之敎 敢不加勉以副先生惓惓下敎之意乎 伏念內而立心 正而直之 然後 外敏而制事 敏以方之 此所謂敬以直内 義以方外也 然則 是終身事業 非一朝一夕而可到者 未知如何 餘伏望依仁弘道 隨所遇而安 정서본에는 "君山"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는 "群山"의 오기라고 판단되어 바로 잡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詩經 夫子何須勸讀詩 令人興感戒懲之列國變風觀世俗 盛周大雅想威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經 一篇大義從何得 二帝三王一道心展卷講明千載下 天中皎月照胸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中庸 初學讀來理會難 無形無影說多端中閒萬事終爲一 窮到心融方可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易經 隨機動靜在陰陽 萬物無非一太極存亡進退消長理 不失本然是謂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孟子 孟夫子歿書猶在 熱讀精思卽見功造道能深本源水 愛身猶大拱把桐養吾元氣義先集 盡此全心理自通摹得活花能剪綵 開來次第萬千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琴谷遺稿後 余自八九歲 受學子三從权山塢公 公每言其大人上舍公事親之節 而歎曰 眞出天之孝子 孝子之後 理必昌大而不然 是豈天理哉 此歎其後孫無有穀似者也 余生也晚 雖不獲承其顔 惟其風韻之未泯者則 於先父兄 猶洋洋盈耳耳5) 每恨不得見其遺蹟 後孫鍾坤 誠心所至 偶得詩文二冊於塵箱 來示余曰 此未知何代遺稿 雙手繙閱則 乃上舍公手筆也 於是奉讀再三 其淳雅 近古殊異乎俗詩取妍惑人者之伍也 昔日 山塢公 每恨後無穀似者 今鍾坤能紹述其緖餘 綴拾其遺迹於斷爛之餘 以爲不朽之文 其志不小 無乃上舍公德義所蘊之厚報歟 정서본에는 "猶洋洋盈耳耳"로 나오나 이는 "猶洋洋盈耳而"의 오기로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室堂全圖 (省略)按鄭註天子諸侯有左右房大夫士唯有東房西室陳詳道云鄕飮酒薦脯五脡出自左房鄕射記籩豆出自東房大射宰胥薦脯醢由左房鄕飮鄕射大夫禮大射諸侯禮其言皆相類盖言左以有右言東以有西則大夫士之房室與天子諸侯同可知鄭氏大夫士無西房之說恐未然也又朱子曰聘禮賓館于大夫士君使卿還,于.也賓退員右房則大夫亦有右房然鄕飮酒義曰尊兩.于房戶之間賓主共之也以東房西室之制攷之設臺之所正在堂北之中便於賓主共用若有東西兩房則偏於主人一邊而不見其爲共之之義以是觀之鄭氏之說又似有據故儀禮辯名圖亦兩 存之當更攷 大抵今人堂室全失古制故凡吉凶冠昏之所陟降周旋之節一切苟艱牽掣不成次苐甚可歎也有志好禮之士誠能倣此立室以居之以爲吉凶行禮所則亦足爲復古之端而如其無力及此則規地築壇高之爲堂室低之爲門庭以惟幙屛帳之屬遮隔分截皆倣此制又不能及則畵平地以爲堂室門庭之限堊書之兩階而分之然後行禮如家禮所云亦無不可者盖先湏有此始可行禮故輒以此圖爲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樂賓圖 (二人鼓瑟二人歌)鹿鳴 升四牡 皇人者華 三終歌(升歌三終者謂升堂歌鹿鳴四牡皇皇者華每一篇而一終也 以笙歌詩有聲無詞)笙南陔 白華 華忝 三終(笙人三終者吹笙之人入於堂下奏南陔白華華忝每一篇一終也堂下吹笙堂上升歌)間歌魚麗笙由庚歌南有嘉魚笙崇丘歌南山有臺笙由儀 (三終 間歌三終者間代而作謂之乃間堂上先歌魚麗則堂下笙由庚此爲一終又堂上 歌南有嘉魚則堂下笙崇丘此爲二終又堂上歌南山有臺則堂下笙由儀以爲三終 歌樂與衆聲俱作)合周南關睢葛覃卷耳召南鵲巢來蘋 (三終 合樂三終賈氏謂堂上歌瑟堂下笙磬合奏此六詩也言三終者二南各三終也 孔氏謂堂上下歌瑟及笙幷作也若工歌關睢則笙吹鵲巢合之若工 歌葛覃則笙吹來蘩合之若工歌卷耳則笙吹來蘋合之二說不同朱 子以賈說爲是)司正中庭獻觶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無筭爵 賓介遵衆賓升讓揖屢脫旅在下者于西階上亦交錯以辯 執觶者皆與旅 終於沃洗者 及其辯也執觶者洗升實觶及奠于賓與大夫所以反奠之者燕以飮酒爲歡醉乃止所以爲無筭爵脫屢揖讓升主人之贊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警銘 卷之九1)銘自警銘聖賢敎人千言萬語 載經載傳 旨義明著 學而習之 一貫至道 孔子所悅 顔淵所好 惟其大綱 明善誠身 從事於斯 立己立人 爾何不講 灾己壞名 刻苦工夫 可期高明 不務精毅 未免麁淺 氣拘慾蔽 爲人所賤 六十四歲 雖曰老昏 覺悟做去 可入聖門 若復因循 雖悔何企 新凉警汝 誓天爲矣 원래는 "卷之五"로 나와 있으나 순서에 따라 이렇게 고쳤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김재식(金宰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辰元月八日 弟 金宰植 戊辰元月八日 金宰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8년 1월 8일에 김재식(金宰植)이 남국의 중산씨를 아는지의 여부와 본생친이 견비통을 앓고 있다는 소식, 며느리의 귀녕과 종해군이 부탁한 일 등을 내용으로 보낸 간찰(簡札) 한 도사가 남방의 중산씨에 대해 말해서 형도 아는지 물어보고 찾아가서 중매를 하려고 한다 하였다. 본생친께서 견비통을 한 해가 넘도록 앓고 계셔서 애가 타고, 며느리의 귀녕은 차질이 생겨 이달 21일 쯤으로 하는 것이 어떠냐 하고 물었다. 종해군이 긴히 부탁한 일은 논의하여 정하게 하여 부중(府中)에서 여기로 직접 통지해 주면 지연되는 근심을 막을 수 있으니 좋겠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