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九年 己未 正月十四日 宣善龍 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畓 累年耕食是如可要用所致 伏在本郡文田面校村前坪 隨字畓一夜味一斗落卜數二負庫乙 價折錢文三十五兩依數捧上爲遣 本文記段 他畓幷付故 不得出給 而新文一丈右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則以此文告官卞正事畓主 自筆 幼學 黃再仁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六年 庚寅 十二月卄七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勢不得已 伏在本郡文田面可川村夫字草家三間負數五束庫乙 價折錢文八兩 依數捧上是遣 右前 以新舊文並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他說則持此文憑考事家垈主 徐達玉 [着名]證筆 宣學文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0월 14일 이관(李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陰十月十四日 族從 李灌 陰十月十四日 李灌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음력 10월 14일에 이관(李瓘)이 대동보(大同譜)의 일로 보낸 간찰(簡札) 음력 10월 14일에 이관(李瓘)이 대동보(大同譜)의 일로 보낸 간찰이다. 주요 용건은 대동보에 관한 것이다. 대동보 간행이 이미 3세(世)를 넘었으니 그 사이에 태어나고 늙고 살아있거나 죽은 이의 숫자가 얼마인가? 대조(大祖) 묘사(墓祀)에 원근에서 참석한 여러 족속이 수백 명이었는데, 족보의 일을 논의하여 귀일되었으니, 즉시 단자를 정리하고 유사를 정해서 보소에 보내기를 바란다. 그리고 회시할 때 주소의 번지 등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6년 위토 변경 사항 증서(証書) 고문서-증빙류-증서 大正五年 陰十一月十四日 莎草行員 門長 李冕容 李度淳 前 大正五年 陰十一月十四日 李冕容 李度淳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6년 음력 11월 14일에 위토 사용의 변경 사항에 대한 증서(証書) 위토의 용도 변경 사항에 대한 문서이고, 문자는 국한문 혼용이다. 그동안 물항동의 선산 위토가 답 5두락 외에 대지의 화곡을 아울러서 시제에 바쳤다. 금년에 와서 3대 묘소의 4위를 사초하였다. 천 리 밖에서 나중의 일을 생각하고 부득이 6대조의 합조(合兆) 산소와 5대조의 묘소, 5대조비의 묘소 시제를 답 5두락의 화곡으로 바치고, 대지의 화곡은 3년 동안 받은 것을 기준으로 한 후에, 대지의 화곡을 이자에 따라 모두 3위의 시제에 부치는 것으로 증서를 만든다고 하였다. 끝에는 관계자들의 성명이 적혀있다. 보성군 문덕면 가천리의 사초행원 문장(門長) 이면용(李冕容)과 행원 이교인(李敎仁), 시흥군 무지리의 이의용(李宜容)과 이선용(李善容) 등이 증인이며, 이도순(李度淳)에게 보내는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証書右証書物項洞 先山位土가 畓五斗落外垈地禾穀幷ᄒᆞ야 時祭를 供進이다가 至於今年에 三代墓所四位莎草이고 千里之外의 后事을 思量不得已六代祖合兆山所와 五代祖墓所五代祖妣墓時祭을 畓五斗落禾로 供進ᄒᆞ고 垈地禾穀은 準三年捧后에난 垈地禾穀을 依前例 幷付三位時祭供進으로 付할旨로 成証事大正五年 陰十一月十四日全南 宝城郡 文德面 可川里莎草行員 門長 李冕容行員 李敎仁始興郡 茂芝里富川 李宜容李度淳 前水原郡 半月面 佛妻井 李致俊自馬里行去二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3년 박제현(朴濟鉉)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癸巳 四月 卄七日 朴濟鉉 癸巳 四月 卄七日 朴濟鉉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250_001 1893년(고종 30) 4월 27일 박제현이 상중에 있는 수신인에게 보낸 간찰 1893년(고종 30) 4월 27일 박제현(朴濟鉉)이 상중(喪中)에 있는 상대방의 간찰을 받고 안부를 전하는 답장이다. 상대방이 보낸 준 간찰(疏)을 받고 매우 감사하며, 상중에 있는 형제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탈 없이 잘 돌아왔다고 하였다. 피봉과 같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7년 이부춘(李芙春)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道光拾七年三月十二日 道光拾七年三月十二日 李芙春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37년 3월 12일에 이부춘(李芙春)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도광 17년에 논주인이 논을 이부춘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오른쪽이 잘려져 나가 후반부의 내용을 알 수 없다. 자기가 매득하여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부득이하게 보성 문전면 가천촌 뒤의 마산등평 부자답(夫字畓) 2두락지, 부수 12복(卜)5속(束)을 전문 70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끝부분의 답주과 증인 등은 잘려져 나가 알 수 없다. 매득자는 이부춘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7년 김양주(金陽州)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貳拾貳年 丁丑 七月初十日 畓主 金陽州 金用三 前明文 嘉慶貳拾貳年 丁丑 七月初十日 金陽州 金用三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17년 7월 10일에 답주 김양주(金陽州)가 김용삼(金用三)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17년 7월 10일에 논주인 김양주가 논을 김용삼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자기가 매득을 일으켜서 갈아먹다가 부득이한 일로 보성 문전면 가천촌 앞 백두산평원의 논 7승락지, 부수 1복(卜)5속(束)과 북변의 밭 태종(太種) 1두락지, 부수 2복4속, 좌우 회산(灰山)의 밭을 아울러서 전문 4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김양주, 행필은 남운경(南雲慶)이며 착압하였다. 매수자는 김용삼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2년 이해원(李海元)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七〖八〗年 癸亥 正月十二日 田畓主 喪人 李海元 [不着] 裵尙一 處明文 嘉慶七〖八〗年 癸亥 正月十二日 李海元 裵尙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269_001 1802년 정월 12일에 전답주 이해원(李海元)가 배상일(裵尙一)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02년 정월 12일에 토지주인 이해원이 토지를 배상일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생부가 살아있는 때 스스로 매득을 일으켜서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이매(移買)할 일로 보성 문전면 가천촌 앞 백두산평원의 토지 7승락지, 부수 1복(卜)5속(束)과 북변의 밭 태종(太種) 1두락지, 부수 2복4속, 좌우 회산(灰山)을 아울러서 전문 4냥5전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상인(喪人) 이해원, 증참(證參)은 한량 최창욱(崔昌郁), 필은 한량 김세표(金世杓)이며 착압하였다. 매수자는 배상일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三十九年 甲午 十一月二十二日 李生員奴 三順 前明文右明文事段 以要用所致 傳來田畓 安山草山面勿項洞還沙隈伏在 淡字第六百九十七分畓一斗五升落只三卜五束庫果 同字畓第六百九十八■■■■■(一斗五升落)只一卜八束庫果 ■■■(同字田)■■■■(春牟四斗)落只六百八十九二卜五束庫乙右人宅 價折錢文伍拾兩 依數交易捧上納宅而成文放賣爲乎矣 本文記段他田畓幷付 不得許給爲去乎 日後上典子孫族屬中 若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告官卞呈事畓主 寶城 李生員宅奴 水白 [左寸]訂人 私奴 申貴金 [左寸]保班奴 申五碩 [左寸]筆執 業幼 吳壽伯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제갈공명의 어록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사람을 아는 방법 7가지에 대해 쓴 제갈공명의 어록을 베껴 써놓은 사본 사람의 성품을 아는 방법으로는 첫째, 시비를 묻고, 둘째, 사변(詞辯)을 궁구하며, 셋째, 계모(計謀)를 묻고, 넷째, 화란을 고하고, 다섯째, 술에 취하게 하고, 여섯째, 이익에 임하게 하고, 일곱째, 일을 기약하여 그 뜻이나 응변, 지식, 용기, 성품, 믿음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끝에는 이것이 사람을 살펴보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몸을 수양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1년 김계영(金啓英)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咸豊 元年十二月二十四日 金啓英 玉暹 咸豊 元年十二月二十四日 金啓英 玉暹 ○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51년 12월 24일에 답주 김계영(金啓英)이 안씨 노(奴) 옥섬(玉暹)에게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51년 12월 24일에 답주 김계영(金啓英)이 안씨 노(奴) 옥섬(玉暹)에게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전래해오던 답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긴요하게 쓸 일로 보성 문전면 아랫길의 덕봉촌 앞 학자(學字) 2두락지 부수 12복(卜)5속(束) 1야미(夜味)를 전문 65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김계영이며, 증필은 김계오(金啓五)이다. 이름 아래에는 수결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5년 상전이씨 패자(牌子)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乙巳 正月二十七日 上典 李 差奴 先才 處 乙巳 正月二十七日 上典 李氏 先才 ○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5년 정월 27일에 상전이씨가 노(奴) 선재(先才)에게 토지 매매를 위임하며 발급한 패자(牌子) 상전댁에서 긴요하게 쓸 일로 매득하여 갈아먹다가 안산 초산면 물항동 환사외(還沙隈)의 담자(淡字) 697분답 1두5승락지 3복5속과 동자(同字) 698답 1두5승락지 6복8속을 방매할 생각이되, 네가 사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가격을 받아 상전댁에 주고, 본 문기 2장과 패자(牌子) 2장을 아울러 허급하며, 이 패자를 만들어 준다고 하였다. 상전 이(李)의 수결이 있고, 끝에 날짜를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差奴 先才 處無他 上典宅 切有緊用事 買得耕食是在 安山草山面勿項洞還沙隈伏在 淡字六百九十七分畓壹斗伍升落只 參卜伍束庫果 同字六百九十■■■■■(八畓壹斗伍)■■(升落)只壹卜捌束庫乙 欲爲放賣計料爲去乎 汝亦願買人處 準價捧上納宅是遣 本文記貳丈牌字貳丈並以許給爲旀 永永放賣爲乎矣 此牌子導良成文 以給宜當事上典 李 [署押]乙巳 正月二十七日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 묘소 산도(山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농서군공산소도(隴西郡公山所圖)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농서군공산소도(隴西郡公山所圖)이다. 농서군공은 성주이씨 이장경을 가리킨다. 농서공과 부인의 묘가 합장하지 않고 쌍분으로 있으며, 그 아래에 파묘된 인민의 묘와 이중형과 그 부인의 묘가 있다. 또 그 아래에 재실이 있다. 좌향을 나타내는 지지(地支)가 보이고, 풍수지리상의 용어로는 파(破)와 득수(得水)가 표시되었다. 서쪽으로 가야산이 표시되고 동쪽으로 칠봉이 있다. 성주호장을 지낸 이장경은 늙어서 집에 있을 때 청도(淸道) 소리가 들리면 곧 상에서 내려와 땅에 부복하였다가 그 소리가 끊긴지 오래되어야 다시 상에 올랐다고 한다.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조년·억년·만년·천년·백년이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