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問夜紫氣體候萬康 伏念區區不任 從侄 昨暮抵此 而與寅淳 今方同發 資錢則猝未辦備 以谷錢執用爲論 玆以仰告 飛鳳開金 卽爲上送 無至葛藤若何 餘不備上書壬戌 二月 十日 從侄敎琡 拜手[印: 李敎琡印]可川 南原宅 入納薪田留 上書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안산 종회의 간통(簡通)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乙丑五月九日 李敎達 李冕容 乙丑五月九日 李敎達 李冕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5년 5월 9일에 안산 종회에서 영정 모사비용 건으로 종인에게 보낸 간통(簡通) 1925년 5월 9일에 안산 종회에서 영정 모사비용 건으로 종인에게 보낸 간통(簡通)이다. 안산 영당(影堂)의 변은 이미 통보했고 방법을 묻거나 의례를 널리 알아보니 영정은 옛 본이 있다. 더러워진 영정을 전처럼 봉안하기는 실로 미안함이 있다. 모사에는 영당의 물력을 사용해야 하는데, 해마다 제사비용도 부족하다. 본손이 각자 도와주지 않으면 시작도 하기 어렵다. 종중의 의논에서 발의되었으니, 같은 마음으로 협력해주기 바란다고 하였다. 유사와 감독의 명단이 있다. 끝에는 배정금이 기록되어 있는데, 모사 비용은 위마다 40원씩, 화공 수수료 30원, 초본 및 채색 10원, 열위(列位)의 가채비(加彩費) 위마다 20원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한남서림(翰南書林)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昭和)9.10.13 翰南書林 李敎成 (昭和)9.10.13 翰南書林 李敎成 서울특별시 종로구 郵便日附印 : 光化門 9.10.13 后4-8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629_001 1934년 10월 11일, 한남서림 백두용이 이종률 방에 거주하는 이교성에게 2종의 책을 돌려보내 줄 것을 청한 간찰(簡札) 1934년 10월 11일, 한남서림(翰南書林) 백두용(白斗鏞)이 이종률(李鍾律) 댁에 거주하는 이교성(李敎成)에게 2종의 책을 돌려보내 줄 것을 청한 간찰이다. 간단히 안부 인사를 하고 상대가 말한 뜻은 잘 알았다며 2종의 책 대금 30원 밖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며 우편료는 자신 쪽에서 부담하겠다고 전하고, 자신의 서림(書林)에서 가져간 책 2종을 속히 보내줄 것을 청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_前面)光州郡 東町 三番地李鍾律 方李敎成 殿京城 寬勳洞 十八番地翰南書林 緘 十月 十三日郵便日附印 : 光化門 9.10.13 后4-8(簡紙)卽拜審 玆辰體事萬旺 仰慰區區敎意謹悉 而二種冊代金參拾圓外 更無道理 而所送郵料 則自此負擔爲計耳 本書林持去冊二種從速出梢 如何如何 餘姑不備謝禮十月十一日 生白斗鏞 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_前面)全南 寶城郡 文德面 可川里李 敎成 氏 宅郵便日附印 : …□ 9.12.5 后□…(皮封_背面)京城 益善洞 一二○ 金永完陽月小晦郵便日附印 : 全南·福內 9.12.6 后4-12(簡紙)天借奇緣 幸遂荊願 別後悵憧非比尋常 本月兼蒙惠訊 次第拜承 凉康慰荷 更維互寒體上護旺 諸度勻寗 仰祝且頌 生 憒劣無狀已也敎意敬悉 而朱箚尙未回收 仰謝隨 而至此悚汗何極 雖等閒書尺宜卽仰㚆而荒物質上鼎重往㚆焉 敢少忽而然哉 此邊居間者之本色每多如此 可歎可歎節當刻期隨覓入郵矣休慮少俟 是仰提綱價格不合 大全相換 第圖之似好兩種落卷朱箚付時伴呈計矣 恕諒若何 多少都留俟候 更伏祈文 祺對時增祉 不備上謝甲戌陽月小晦 生 金永完 拜㚆其外如有可圖件 幸須謀忠 至仰至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변복원(邊復源)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亥十一月八日 邊復源 李敎成 乙亥十一月八日 邊復源 李敎成 전라북도 고창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5년 11월 8일에 변복원(邊復源)이 이교성(李敎成)에게 김길중(金吉中)의 무소식을 전하는 간찰 1935년 11월 8일에 변복원(邊復源)이 이교성(李敎成)에게 김길중(金吉中)의 무소식을 전하는 간찰이다. 상대방의 간찰을 받고 쓴 답서이다. 형의 집안이 건강하고 화목하게 잘 지내고 있음을 알고 매우 기뻤다고 하고, 김길중은 보성에 다녀온 뒤 나를 찾아온 적이 없고 소식도 거의 듣지 못해 자신도 이것이 너무 의아하다고 하였다. 추신에서도 길중(吉中)이 형에게 다녀온 뒤의 모습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양회수(梁會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寅十二月十一日 梁會水 李敎成 戊寅十二月十一日 梁會水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8년 12월 11일에 양회수가 쌀의 석당 가격을 협의 처리하자고 보낸 간찰 1938년 12월 11일에 양회수(梁會水)가 쌀의 석(石)당 가격을 협의 처리하자고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이 떠날 때 자신의 마음이 평온하지 못했고 형도 분함이 풀리지 않아서 속에 쌓인 것을 터놓지 못하여 지금까지 안타까웠는데, 뜻밖에 심부름꾼이 오고 서찰까지 받으니 기쁘고 감동적이라고 하였다. 상중(喪中)에 있는 형제들과 집안에 대해 안부를 묻고, 자신은 다른 별일은 없으나 약속한 일이 다른 사람에게 달려있고, 약속을 배반하기도 어렵다고 하였다. 석(石) 당 가격과 관련해서 상대방이 분이 나서 듣는 것이 명확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다시 계산 근거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피차에 서로 좋은 방향으로 충분히 협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마음 등을 피력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김주식(金周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寅陰二月卄六日 金周植 李敎成 丙寅陰二月卄六日 金周植 李敎成 경상남도 산청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6년 2월 26일에 김주식(金周植)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사서석의(四書釋義)』를 인쇄하여 보낸다고 하는 간찰(簡札) 1926년 2월 26일에 김주식(金周植)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사서석의(四書釋義)』를 인쇄하여 보낸다고 하는 간찰이다. 같은 시대를 살며 명성은 이미 들었으나 아직 한 번도 만나지는 못해 아쉽다는 뜻을 토로하고, 작년 겨울 당신이 『사서석의(四書釋義)』의 매입을 원한다는 뜻으로 이미 저의 친척 연환(演桓) 등 두 사람에게 얘기하여, 속히 인쇄하여 올리려고 했으나 자신이 있는 곳의 종이 사정이 너무 좋지 않아 인쇄하지 못해 고마운 뜻에 부응하지 못했다. 그러나 당신뿐 아니라 원근(遠近)의 사우(士友)들의 청구도 있어서, 몇 질을 인쇄하여 당신의 말대로 『사서석의』 4질을 우편으로 보낸다. 가격은 2책 한 질에 3엔이니, 모두 12엔을 부쳐 달라는 등의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윤재준(尹在準)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十一月二十一日 尹在準 李敎成 氏 丙子十一月二十一日 尹在準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6년 11월 21일 윤재준(尹在準)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집안의 혼사 문제를 조언하는 내용의 간찰(簡札) 1936년 11월 21일 윤재준(尹在準)이 가천에 사는 자형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내는 답서로 집안의 혼사 문제는 서로 합의하여 연내에 치르는 것이 좋을 듯하다고 조언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