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4년 이명우(李明雨)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申 三月 二十日 李明雨 甲申 三月 二十日 李明雨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84년 3월 20일에 이명우(李明雨)가 사돈이 될 상대에게 서로의 안부와 친사의 소식을 전하는 간찰(簡札) 1884년 3월 20일에 이명우(李明雨)가 성명 미상의 사돈이 될 상대에게 서로의 안부와 친사(親事)의 소식을 전하는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존장의 높은 덕행을 우러러본 지 오래되었습니다. 삼가 존장의 사랑을 입어 내려주신 편지를 받고서 사돈을 허락해 주시니 위안됨이 지극합니다. 삼가 날이 오래되었는데 존장의 체후는 잘 보호되시는지요? 다만 사돈 맺는 일은 좋은 날을 잡아서 올려 드리니 혹시 장애는 없으신지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春來累獲信便 承聆動靜 足慰遠外之懷 而但久未奉淸誨 鄙吝山積 是深悵歎 時閱箱篋 展讀珍藏惠帖 欲作紙之顔面 而戒示昏愚愈懇愈切 鄙吝之心 不待面誨 而亦可以消落矣 君子之言 果如是驚發人之深耶 從今以德 以是朝夕鐫佩不患 無淸誨之提耳 伏惟便後日富尊堂隆耋 氣力神佑康寜 侍退餘 棣體候益享淸勝 婦阿一依前樣否 並切願聞 不任勞禱 弟重省幸無大損 而眷集長時告病 還深苦悶 迷兒趁堂送候 而以待宵耶稍息率晋爲計 家君今作梓鄕行次 兼欲環見婦阿 故因爲倍送耳此兒素是愚駭 又失敎導 進退坐立 全沒規矩 望須致數日之間 循循提誘 切仰切仰 人家幼少 最忌幼出入 況今風吹草動爲慮 丈夫今幸 得君子之門而出入後 何憂何慮 窃謂黃直卿 雖今資高明 不得朱門 而師事則必不得已百世儒家也 前此喩以擇師授業 而環顧域中 舍尊兄更何求 每欲置之門下 使承敎誨 而尙未免乳臭 難以遠留故姑竢其長大而已 萬千都在默會不備 謹拜狀上丙之 暮春 十三日 弟金宰植 拜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2월 4일 양성승(梁聖承)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十二月 四日 外甥梁聖承 伏疏 全北 井邑郡 古阜面 安永洞 上蓮坪李敎成 殿 十二月 四日 梁聖承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2월 4일에 양성승(梁聖承)이 외조부님의 장사에 참석치 못함을 전하고자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간찰(簡札) 12월 4일에 양성승(梁聖承)이 외조부님의 장사에 참석치 못함을 전하고자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간찰(簡札)이다. 외조부님의 상을 당하여 부고를 받고 놀랐으며 예장(禮葬)에 참석할 수 없어 죄송하다. 억지로라도 죽을 잡수시고 큰 슬픔에 이르지 않도록 하고 세말에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찾아뵐 생각이라 하였다. 국한문혼용체이다. 피봉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外祖父主喪事는 承訃驚怛하오며未能參禮葬儀하오니 伏悚無比외다伏願强加粥食하시와 不至大悲하시옵소서 陽歲末에 或有還庭之路則期於拜謁伏計임니다 疏上十二月 四日 外甥梁聖承 伏疏全北 井邑郡 古阜面 安永洞上蓮坪李敎成 殿京城府 長谷川町五0末積電機製作所內梁聖承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선성연보(先聖年譜) 고문서-시문류-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선성연보(先聖年譜) 선성연보(先聖年譜)이다. 선성은 공자를 가리킨다. 탄생부터 73세에 졸할 때까지 연도별로 연령을 쓰고 그 아래에 중요한 일과 업적 등을 기록했다. 졸한 후에는 장지(葬地)와 제자들의 심상삼년(心喪三年) 사실, 서한 평제가 포성선니공(褒成宣尼公)이라는 시호를 내린 이래 원나라 때의 봉작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까지 기록하였다. 뒷면에는 노나라 애공의 뇌문(誄文)과 4성(聖)인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자(子思子)·맹자(孟子)에 대해 약술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이종협(李鍾浹)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丑 陰十月 二十日 李鍾浹 乙丑 陰十月 二十日 李鍾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5년 음력 10월 20일에 이종협(李鍾浹)이 족보 단자 제출건으로 보낸 간찰(簡札) 1925년 음력 10월 20일에 이종협(李鍾浹)이 족보 단자 제출건으로 보낸 간찰(簡札)이다. 족보 간행의 일에 빠진 것이 없으니 우리 파의 대동이라 할 수 있다. 귀 파의 단자가 오래도록 들어오지 않았다고 하는데, 족대부님이 더욱 엄히 독려하여 단자를 제출하도록 해달라. 또 간절한 것은 귀 파의 종계(宗系)는 양 가문이 있는데, 양쪽에서 교차로 들어오는 것 중에 예사(禮斜, 양자 입양)는 혈맥을 위주로 해야 하지만, 어느 단자를 따라 적자를 세우고 주를 달아야 하는가? 적성공(積城公) 적전(嫡傳, 종손)의 하회를 기다리고 있고, 또 단자 제출에 대해 먼저 회신해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별지가 있는데, 혈맥이 분명하더라도 예사 또한 엄중하다면서 양손(養孫)에게 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토지분배 내역을 적어놓은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위토의 분포상황을 밝히고, 또 5곳으로 토지분배 내역을 적어놓은 분재기(分財記) 위토를 제위조(祭位條)와 산위조(山位條)로 나누어 토지의 분포상황을 밝히고, 또 5곳으로 토지분배 내역을 적어놓은 분재기(分財記)이다. 제위조는 문중의 조상제사를 위해 마련된 위답이며, 산위조는 조상 산소의 수호와 제사를 위해 조성한 위답이다. 5곳의 토지는 가천 안산평 외자답(外字畓) 등과 가천 용복평 목자답 등, 가천 용복평 목자답(앞과 동일한 곳임) 등, 장동평 화자답 등, 가천촌 앞 부자답 등인데, 각각 끝에는 비(婢)의 이름을 적어놓았으며 네 번째만 이름이 없다. 피봉이 있는데, 증조고(曾祖考) 참판공(參判公) 분재기, 조고(祖考) 동지공(同知公) 분재기라 쓰여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동지(冬至) 주제의 시 4수(首) 고문서-시문류-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동지(冬至) 즈음의 추위와 어려움, 회포, 동지 다음날 솜옷을 입은 기쁨 등 동지를 주제로 읊은 시 4수 동지(冬至) 즈음의 추위와 어려움, 회포, 동지 다음날 솜옷을 입은 기쁨 등 동지를 주제로 읊은 시 4수이다. 작성 시기와 작자는 미상이다. 〈두 번 움츠려 읇다[二龜縮吟]〉, 〈동지음(冬至吟)〉 2수, 〈동지 다음날 솜옷을 입고 짓다〉 등이다. 첫 번째 시에서는 '우리나라 삼천리는 다시 따뜻해질 것이니', '움츠리고 펴지는 것은 날이 있으니 모름지기 여유로워라'라고 하였다. 〈동지음〉에서는 동지의 모습과 감상을 적었고, 세 번째 시에서는 동지에 비로소 솜옷을 입고는 '소설(小雪), 소한(小寒)도 두렵지 않은 옷', '모름지기 예의(禮義)도 배로 지키게 할 옷'이라고 하면서 솜옷을 입는 기쁨과 그 효과를 묘사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4년 문경공파보(文景公派譜) 간행통고서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甲子二月 李敎雄 甲子二月 李敎雄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4년 2월에 성주이씨 교웅(敎雄) 등이 종중의 족인에게 보낸 문경공파보(文景公派譜) 간행통고서 1924년 2월에 성주이씨 교웅(敎雄) 등이 종중의 족인에게 보낸 문경공파보(文景公派譜) 간행통고서이다. 문경공의 사토(祀土)를 지키지 못하였다가 1,060여 평의 미답(美畓)과 6백여 평의 양전(良田)을 매수하였는데, 지난 정월 기신일에 문경공파보 간행이 발의되어 이를 추진코자 하니 협력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어서 응행조규(應行條規) 12조가 열거되었다. 그중에는 항렬도가 있으며, 수단(收單) 기한, 승낙서, 족손의 범위, 책가(冊價), 수취소 주소 등이 수록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一笻試出石門邱 五鳳山前直向頭 數朶黃花今日景 千尋碧海舊時流 閒情自悅江東里 世劫頻驚漢北州 君唱我酬傾所歷 幾年空費運心舟殘年一別不能留 况是難堪落木秋 夢寐或形難可情 心肝相照未應休 芝椷入手眞驚書 華什開眸强拙酬 適此冬喧那旨形 停書遙望倚山樓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2년 통상위체금(通常爲替金) 수령증서(受領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明治)45.3.12 筏橋郵便所長 (明治)45.3.12 筏橋郵便所長 전라남도 보성군 振出日附印 : 筏橋所 45.3.12 前 6-12, 印: 筏橋郵便所長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622_001 1912년 3월 12일에 벌교우편소장이 발행한 통상위체금수령증서로 경성동대문을 통하여 일금 10엔을 받았다는 수령증서. 1912년 3월 12일에 벌교우편소장이 발행한 통상위체금수령증서로 경성동대문을 통하여 일금 10엔을 받았다는 영수증이다. 앞면에 우편소인(筏橋 45.3.12)과, 기호번호(朝兼す00九二九), 지불국소명(京城東大門通), 금액(一金 拾円也)이 적혀 있다. 그 다음 좌측에 '이상의 위체금의 영수를 증명하기 위해 본 증서를 교부한다'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다. '벌교우편소장'이라는 직함과 직인으로 원형주인(圓形朱印)이 찍혀 있다. 뒷면에는 본 수령증에 관해 주의할 점과 위체료에 따른 우표 요금표 등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通常爲替金受領證書振出日附印 : 筏橋所 45.3.12 前 6-12記號番號 : 朝兼す00九二九拂渡局所名 : 京城東大門通一金拾円也右爲替金額領收ノ證トシテ本證書交付候也筏橋郵便所長[印: 筏橋郵便所長]遞信省昭和四十二年二月印刷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1922년 본다증시(本多增市)의 제출서류 통지서(通知書) 고문서-첩관통보류-고지서 本多增市 李敎成 本多增市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565_001 1922년 11월 6일 본다증시(本多增市)가 이교성(李敎成)에게 이명동인 증명서 등을 요청하는 통지서 1922년 11월 6일 본다증시(本多增市)가 이교성(李敎成)에게 신청서류 등을 알려주는 통지서이다. 요청하는 신청서류는 인감증명 1통, 이명동인(異名同人) 증명 2통, 호적등본 2통, 제거주원(除居住願) 2통 등이다. 글자체는 한자와 일본어 혼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죽촌리 338번지의 지적도(地籍圖)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576_001 토지소재지와 면적, 평면도 등이 수록된 지적도(地籍圖) 토지소재지와 면적, 평면도 등이 수록된 지적도(地籍圖)이다. 토지소재지는 전라남도 나주군 금천면 죽촌리 338번지이며, 면적은 663평이다. 이 지적도는 관련문서에 첨부된 지적도와 같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