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포충사(褒忠祠) 내의 충효당(忠孝堂) 미국계(薇菊契)의 규칙과 계원단식(契員單式)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포충사(褒忠祠) 내의 충효당(忠孝堂) 미국계(薇菊契)의 규칙과 계원단식(契員單式) 포충사(褒忠祠) 내의 충효당(忠孝堂) 미국계(薇菊契)의 규칙과 계원단식(契員單式)이다. 규칙은 모두 13조이다. 명칭, 위치, 자금, 강신(講信) 날짜, 취지, 시회압운(詩會押韻) 통보, 애사(哀事)에 지촉소례(紙燭小禮)와 만장으로 조의, 계원 상속, 계답지주(契畓地主) 명의, 출의금(出義金) 1원으로 결정, 계안 및 출의안 인출(印出), 규칙 갱정, 조직 등이다. 계원단식은 계원으로 가입할 때 제출해야 할 단자식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박하천(朴夏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朴夏天 李生員 敎成氏宅 朴夏天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5년 10월 16일에 박하천(朴夏天)이 상대가 부탁한 일에 대한 소식은 전하겠다는 내용으로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간찰(簡札) 1935년 10월 16일에 송정역에 사는 박하천(朴夏天)이 외조부와 숙부의 안부를 묻고 상대가 부탁한 일에 대한 소식은 돌아가는 즉시 전하겠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안정선(安釘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寅十月十五日 安釘善 李生員敎成氏宅 入納 戊寅十月十五日 安釘善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8년 10월 15일 안정선(安釘善)이 이교성(李敎成)에게 부군의 상에 애통함을 위로하고 부의금 5원을 우송한다는 간찰(簡札) 1938년 10월 15일 안정선(安釘善)이 보성군에 사는 생원 이교성(李敎成)에게 갑자기 부군의 상을 당한 애통함을 위로하고 기력을 보중하라는 조언, 길이 어긋나 조문하지 못하는 사정 등을 전하는 내용 및 부의금 5원을 우송한다는 별지와 회답을 간청하는 별지 두 장이 첨부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2년 임백순(林順白) 하기(下記) 고문서-증빙류-다짐 壬申 十一月二十一日 族 林順白 壬申 十一月二十一日 林順白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12년 11월 21일에 온 가족이 사망한 집의 자금을 사용한 내역. 1812년(임신) 11월 21일에 이모부(異母父)가 가족이 다 사망한 집의 자금을 쓴 내역을 설명하고 그에 대해 족인(族人) 한 사람이 해당 사실을 확인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임신년 11월 21일 하기. 부(夫) 자(字) 논 1두락을 방매한 것 내에 얼마를 모처에 사는 이모부 이정채(李正采)가 보인(保人)의 자금으로 맡아오고 있었는데 지난 경오년 3월에 집 식구들이 모두 돌아가신 뒤에 자손이 없게 됨으로 보인이 낼 자금을 면제할 때에 돈이 나올 곳이 없어서 논을 판 돈 10냥을 사용함. 족인(族人) 임순백(林順白)[착명].'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壬申 十一月二十一日 下記夫字畓一斗落只放賣內■■■異母父李正采資保擔當是如可 去庚午三月 家人盡死後 無子孫故 資保頉給時 出處無路 畓賣錢十兩用族 林順白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五年 庚申 三月二十六日 幼學 李正赫 前明文右明文爲放賣事段 矣身父主生時自起買得畓庚辰年分 願入佛糧於大原寺是如可 同大原寺中 他人處私自放賣之說 不勝其噴 還推耕食爲如可 切有用處 不得已 寶城文田面可川村前堂山員伏在 夫字畓一斗二升落只負數五負庫乙價折錢文參拾兩以 依數捧上爲遣 右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同生與子孫間 生謀雜談爲去等 持此文記告官憑考事畓主 閑良 林昺寬 [着名]訂人 閑良 崔昌郁 [着名]筆 閑良 金世杓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집암(執庵) 황승순(黃承順) 가법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집암(執庵) 황승순(黃承順)의 가법을 베낀 글 제목은 황집암교가서(黃執庵敎家書)이다. 집암은 이름이 승순(1652~1718)이며, 도암(道庵)의 문인이다. 가법은 한 집안의 행동이나 생활에 지침이 되는 교훈이다. 가계(家誡)·정훈(庭訓)·가규(家規)·가헌(家憲)·가의(家儀)·가학(家學)·가법(家法)·가범(家範)이라고도 한다. 가정의 윤리적 지침으로서, 가족들이 지켜야 할 도덕적인 덕목을 간명하게 표현한 것이다. 한 예를 들면, 악소(惡少)한 무리에게는 성내지 말고 꾸짖는다고 하였다. 모두 27조이며, 한 조마다 두 구가 대구를 이루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拾六年 庚寅 十一月十二日 李始瑞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食尼〖是〗多可 勢不得而〖已〗 以要用所致 伏在寶城文田面校村之前坪 隨字畓七升落負數二卜庫乙價折錢文四十兩 依數捧上爲遣 以新一丈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相左之端則持此文記 告官卞呈事畓主 林成烈 [着名]證人 幼學 黃昌錫 [着名]筆執 幼學 金顯國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7년 이교영(李敎永) 성조택일기(成造擇日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丁丑 七月己丑朔三十日甲午 幼學 李敎永 丁丑 七月己丑朔三十日甲午 李敎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146_001 1937년 이교영(李敎永)이 집을 새로 짓기 위해 택일한 성조택일기(成造擇日記) 이교영(李敎永)이 집을 새로 짓기 위해 택일한 문서이다. 이 문서는 집자리의 형국(甲坐)과 방형(庚向)을 비롯해 터를 닦는 것, 기둥을 세우는 것, 상량 등의 시간과 방위 등을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장사지낼 때의 길흉을 점쳐 택한 일시를 적어놓은 장택기(葬擇記) 장사지낼 때의 길흉을 점쳐 택한 일시를 적어놓은 장택기(葬擇記)이다. 장사지낼 때에 각 절차의 길흉을 점쳐 택한 일시를 적어놓은 문서이다. 크게 입택(入宅)과 사과(四課), 천정(穿井)을 적어놓았다. 입택은 관을 유택(幽宅)에 들이는 것이며, 사과는 망인(亡人)이 타고난 사주인 연월일시(年月日時)를 가리킨다. 천정은 무덤의 광을 파는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五十年 乙巳 二月二十七日 朴枝興 前明文右明文事段 上典宅 切有緊用事 買得耕食是在 安山草山面勿項洞還沙隈伏在 淡字六百九十七分畓壹斗伍升落只參卜伍束庫果 同字六百九十八畓壹斗伍升落只壹卜八束庫乙 欲爲放賣計料爲去乎 願買人處 此牌子導良 錢文肆拾兩捧上納宅爲遣 本文記貳丈牌子三丈並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同生子孫中 若有雜談之獘 則持此文記以告官卞定事畓主 李生員宅奴 先才 [左寸]證人 崔順奉 [着名]申貴金筆執 幼學 李聖載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초기(草記)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작자와 작성일자 미상으로, 연재, 우옹, 주자, 필원 등을 언급하고 있는 어떤 글의 초기 작성자와 작성일자 등이 미상인 글이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 태어남에 우옹(尤翁)은 후손이 있게 되었고, 재성(在成)이 태어남에 연재는 후손이 영영 없게 되었다.', '임씨가 태어남에 선비의 기상이 의지할 곳이 있게 되었다', '우옹을 평하는 자들은 장차 서까래를 더할 때는 거의 만에 하나 도움이 되었던가.' 라고 하였다. '심(心)과 리(理)는 하나의 자연으로 발하는 것이며, 모두 사(私)가 없다.', '무릇 우리 유자(儒者)가 후세에 잊혀도 되는가?', 주자가 임종을 맞아 제자들에 한 말, 필원(筆院), 호남 3성(城) 3군(郡) 등이 언급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下書 伏審秋暮頤養氣力 一向康健 伏慰協祝 族侄慈候依寜 伏幸 下敎墓祀事 是何等重大 而等視泛聽也十四日承書命 十六日專告此意於斗谷 則反責以變亂由來舊規 欲生事於無事云 且以新改山直 爲責曰 前直之遞出 以不能承祀時之凡節爲言矣 今旣擇新而猶不能擔任耶 以此意已爲書 奇於谷城門中云 故不能對而歸 當卽進拜達而身爲匏繫 未得遂誠 今玆替告 伏惟下鑑 上謝書瓦子已與琮來受諾 而今見存者 無土窟瓦 故將待更燃之窟 則今歲內 期於入送 伏計而卜軍 則校村德西兄弟擔去耳庚申 九月 二十四日 族侄 敎川 二拜 上書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