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비갈과 족보의 오류 시정 요청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조상들의 출신과 세거지 등에 관해 비갈과 족보상의 오류를 바로잡아 주기를 청하고자 작성하고 이를 수정한 간찰(簡札) 발신인과 수신인 기록이 없고, 이미 작성한 간찰 초본을 수정하고서 완성하지 못한 글로 보인다. 우리 선조 문열공, 문경공, 판서 정헌공, 참판 도은공 등 네 선생은 서울이나 경상도에서 태어나 전라도인이 아니다. 그 비갈에는 경기와 경상에 편입되어야 하는데, 호남에 들어간 것은 부당하다. 좌하도 이것을 모르는 것이 아닌데 물리치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우리 9세조는 광해조 때의 폐비 논란에 의연히 참여하지 않고 은거할 뜻으로 관모를 부숴버리고 바로 한강을 건너서 우산에 살다가 시천으로 이거하였다. 그 당시 첫째와 둘째 아들이 곧 웃어른을 모시고 처자를 거느리고서 살았으며, 후손들이 지금도 살고 있다. 셋째와 넷째 아들은 서울에 살고 있으며, 넷째 아들의 둘째 손자, 수곡공의 손자 묵암공이 또 떨어져서 보성 도곡에서 살았으니, 지금의 우리 파이다. 이러한 사실을 널리 양찰하고 바로 잡아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주자어류 출전 글 등의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주자어류 출전 글 등 잡다한 글 모음 주자(朱子)의 어류와 근사속록(近思續錄) 출전의 글, 우암(尤庵)이 지은 비문명, 출처를 모르는 글 등이 잡다하게 쓰여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癸丑 九月十五日 再從叔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由來畓 積年耕食是多可 相換次 寶城郡文田面可川村前古城坪 千字二斗落六卜庫乙 以再從叔由來畓馬山坪縣字四十七番二斗落負數十卜五束庫으로相換ᄒᆞ고 如是成文 日後若有相左之端則持文記憑考事此中舊文記亦 又相換 日后亦又憑考故 如是又書耳畓主 再從侄 鍾悅 [印]證 再從侄 鍾澈 [印]百戶〔兼務〕 里長 李鉦 [印]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0년 김시언(金時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咸豐十年 庚申 十二月初十日 畓主 閑良 金時彦 可川木廳稧中 前明文 咸豐十年 庚申 十二月初十日 金時彦 可川 木廳稧中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60년 12월 10일에 답주 김시언(金時彦)이 가천목청계중(可川木廳稧中)에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60년 12월 10일에 답주 김시언(金時彦)이 가천목청계중(可川木廳稧中)에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이 문서는 함풍 10년에 논주인 김시언이 논을 가천의목청계중에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자기가 매득하여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부득이하게 긴요한 일로 덕봉촌 앞 들판의 요자답(擾字畓) 3두락지, 부수 8복(卜)2속(束)을 임목(林木) 9주와 아울러서 전문 75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 김만종과 증인 문만종, 필 박정수의 직역과 이름, 수결이 있다. 박정수는 상을 당해 착압하지 않았다. 매득자는 가천에 있는 종중 본청의 계(稧)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十年 庚申 十二月初十日 可川木廳稧中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要用所致 伏在德峯村前坪 優字三斗落只負數八卜二束庫乙 柿木九株幷以 價折錢文七十五兩 依數捧上遣 右人前舊文幷以 永永放賣爲去乎 若有相左持〖之〗端 則以此文記告官卞呈事畓主 閑良 金時彦 [着名]證人 幼 文萬宗 [着名]筆 幼學 朴廷秀 [喪不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二年 丙戌 十二月初四日 前明文右明文事 由來畓累年捧禾是多可 要用所致 錢貳〔壹〕佰兩四利邊酌定 而十三斗落庫乙 幷新舊文如是典當是遣 且以明年十一月初十日爲限爲去乎 若過右期 則永永次只之意 如是成文事畓主 幼學 李瑞容 [着名]證筆 幼學 李容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67년 이생원댁노(李生員宅奴) 명복(命福) 패자(牌子)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丁亥 臘月卄二日 上典 李 奴命福處 丁亥 臘月卄二日 李氏 命福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227_001 1767년 12월 22일에 이씨댁(李氏宅) 상전(上典)이 노비 명복(命福)에 발급해 준 패자(牌子) 1767년 12월 22일에 이씨댁(李氏宅) 상전(上典)이 노비 명복(命福)에게 토지 매도를 위해 발급해 준 위임장이다. 명복는 이 패자를 가지고 사흘 뒤인 25일에 김별제댁(金別提宅)에 논 6두락을 95냥으로 받고 팔게 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비 명복에게. 다름 아니라 이집 전답은 5대에 걸쳐 승중한 제위답으로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석동촌(席洞村) 들에 있는 훈(訓) 자(字) 6두락(29부)에 대하여 거리가 너무 멀어서 거두어들이기 어렵기 때문에 금방 이매(移買)를 도모하기 위하여 네가 모처로 매도하되, 이 패자(牌子)에 따라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라. 정해년 12월 22일, 상전(上典) 이(李)[서압(署押)].'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0년 이교성(李敎成)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庚申 五月 七日 庚申 五月 七日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0년 5월 7일 이교성(李敎成)이 아우에게 성묘의 일과 비석 제작 및 신병의 증상 등을 알리는 간찰(簡札) 1920년 5월 7일 이교성(李敎成)이 아우에게 가족의 안부를 묻고 성묘의 일과 비석 제작의 진행 상황, 종로에서 족장을 만난 일 및 신병의 증상 등을 알리는 간찰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4년 이명진(李溟鎭)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午 三月 十二日 李懿鉉 拜 李生員 下執事 甲午 三月 十二日 李懿鎭 李生員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340_001 1894년 3월 12일에 이명진(李溟鎭)이 이생원에게 사주단자를 써 보내주기를 요청하는 간찰. 1894년 3월 12일에 이명진(李溟鎭)이 사돈을 맺을 사람 이(李) 생원(生員)에게 보내는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웃과 오래된 계인데 아직 한 번도 뵙지 못해 항상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사돈을 맺는 일은 집안사람인 행발(行勃) 씨를 통해 당신의 허락을 입었으니 매우 감사합니다. 사성(四星)을 써서 알려주십시오. 나머지는 이만 줄입니다. 삼가 존장께서 살펴 주시기를 바라며 편지를 올립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李生員 下執事謹拜上狀 [着名] 謹封隣鄕宿契 尙稽一拜恒庸景仰 伏惟尊履萬重 溸仰區區第親事 卽因宗人行勃甫 獲蒙盛諾 感荷良深 四星書示焉 餘謹不備 伏惟尊照 上狀甲午 三月 十二日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이다. 여기에는 많은 산소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아마도 성주이씨의 선산인 것으로 보인다. 몇 기를 들어보면, 이원댁(梨園宅) 산소, 광(光)자건(建)자 산소, 인(仁)자보(輔)자 산소, 인(仁)자보(輔)자의 비위 산소 등이 있다. 산의 표시로는 북동쪽에 운흥산(雲興山)이 보이고 동명(洞名)으로 남쪽에 수동(水洞)이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문열공 이조년(李兆年) 부인 정씨 묘소 산도(山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부인 정씨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문열공부인정씨산소도(文烈公夫人鄭氏山所圖)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부인 정씨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문열공부인정씨산소도(文烈公夫人鄭氏山所圖)이고, 문열공은 성주이씨 이조년을 가리킨다. 좌향을 나타내는 지지(地支)가 보이고, 풍수지리상의 용어로는 파(破)와 득수(得水)가 표시되었다. 그 외에 산 이름과 고개명 등이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김국환(金國煥)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丑 四月 九日 金國煥 再拜 外舅主前 上候書 乙丑 四月 九日 金國煥 外舅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5년 4월 9일에 조카 김국환(金國煥)이 외숙에게 자신의 소식을 전하며 가족들의 안부를 묻는 간찰(簡札) 1925년 4월 9일에 김국환(金國煥)이 자신의 외숙에게 소식을 전하는 문안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만나 뵙고 헤어진 뒤로 그리운 마음에 슬퍼하던 날이 이미 여러 날이 되었습니다. 부모님 모시는 체후와 여러 식구의 안부를 알지 못하였는데, 한결같이 평안하시고 여러 형제도 고르게 복됨을 알았으니 삼가 사모하여 제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저는 번거로움 없이 모시고 돌아왔으며, 조부모와 부모님 모시는 일은 옛날과 같으니 어찌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나머지는 안부가 때를 따라 강건하고 왕성하시기를 축원합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拜退軒屛 下懷伏悵 日已間矣 伏不審侍中氣軆棣候 一向萬康 諸覃均禧 伏慕區區 不任下誠之至 外甥無擾陪還 層省依昔 伏幸何達 餘伏祝軆候 若時康旺 謹不備 伏惟下鑑 上候書乙丑 四月 九日 外甥金國煥 再拜皮封謹封 外舅主前 上候書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