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박승규(朴勝奎)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元月八日 朴撈奎 可川侍座下 丙子元月八日 朴撈奎 可川侍座下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6년 1월 8일 운곡의 박승규(朴勝奎)가 가천의 어른에게 새해 인사와 더불어 생밤을 보내준 것에 감사 인사하는 간찰(簡札) 1936년 1월 8일 운곡(雲谷)의 박승규(朴勝奎)가 가천(可川)의 어른에게 보낸 새해 인사와 더불어 생밤을 보내준 것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간찰이다. 동생분이 찾아와서 새해를 맞아 말씀을 전해 주시니 감사하다고 인사하고, 새해 인사를 드린다고 하였다. 다만 가는 사람은 명(命)이니 어찌하겠는가.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시라고도 하였다. 복중(服中)에 있는 자신은 오랜 병이 추위로 점점 심해지고 있어 약을 일삼아 먹고 있으나, 부모님은 그런대로 잘 지내시고, 생밤을 보내주어 감사한대도, 답례 물품을 보내지 못해 송구하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이병원(李秉元) 간찰(簡札) 3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戌十二月十四日 李秉元 甲戌十二月十四日 李秉元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4년 12월 14에 이병원(李秉元)이 상대방이 집안 손자를 일부러 보낸 것에 대해 답한 간찰(簡札) 1934년 12월 14에 이병원(李秉元)이 상대방이 집안 손자를 일부러 보낸 것에 대해 답한 간찰이다. 셈하는 일은 여러 번 말씀을 어겼으니, 저의 불민(不敏)이 매우 심하다. 마침 10엔(円)이 있어 보내니, 나머지 많은 것은 후일을 기다려 달라, 저를 오라고 한 말씀은 연말에 일이 너무 촉발하여 찾아뵐 수가 없다는 등의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도산서원 유사 이상호(李祥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祥鎬 李祥鎬 경상북도 안동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도산서원 유사 이상호(李祥鎬)가 퇴계문집 원집 등의 비용과 운송비 등에 관한 사항을 적어 보낸 간찰(簡札) 도산서원 유사 이상호(李祥鎬)가 퇴계문집 원집 등의 비용과 운송비 등에 관한 사항을 적어 보낸 간찰(簡札)이다. 원집 20권과 속집 4권 등의 지(紙)와 장비(粧費), 인비(印費) 등을 적고, 지가와 운송비 등에 관한 짤막한 용건을 적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대성학원창립사무소의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大正十五年十月 大聖學院創立事務所 李敎成 大正十五年十月 大聖學院創立事務所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6년 10월에 대성학원창립사무소에서 보낸 일종의 통문(通文) 1926년 10월에 대성학원창립사무소에서 보낸 일종의 통문(通文)이다. 제목이 경계자(敬啓者)이니 '공경히 아뢸 것'이라는 구어체로 썼다. 앞의 서문은 본원의 사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기(記)를 개진하니 살펴보기 바란다고 하였다. 기에는 3조가 수록되었는데, 지부의 지방유사와 장의 추천, 신입회원 신입서, 효열 표창을 위한 행장과 실적 송부 등에 관한 것들이다. 발신인은 대성학원창립사무소이며, 창립위원장 이하 위원들의 명단이 열거되었다. 창립위원장은 김중환(金重煥)이며 위원은 이승채(李升采)를 비롯하여 모두 8명이다. 상단에는 조선일보소사지국 기자 이백순(李百淳)의 명함이 붙어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유택(鄭逌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癸之至念五日 鄭逌澤 癸之至念五日 鄭逌澤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계년(癸年) 11월 25일에 동생 정유택이 근례(巹禮)가 순조로이 이루어지고 위재에 답서를 보냈다는 소식의 간찰 계년(癸年) 11월 25일에 동생인 정유택(鄭逌澤)이 보낸 간찰이다. 도중에 한 번 만난 것으로 저의 비루한 마음을 씻지 못하고 그리운 마음이 깊던 중에 뜻밖에 편지를 받고 놀라우며 마주 대하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위로가 되었다고 인사하고, 매우 추운 요즈음에 대석인(大碩人 모부인(母夫人))의 근력은 강녕하시고 형의 체도가 진흙 길에서 수고롭지는 않았는지, 가족들 고루 편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혼사로 어수선하여 몸이 쓰러질 듯한 것 외에 다른 일은 없고 날씨가 온화하여 근례(巹禮)가 순조로이 이루어져서 다행이라고 하고, 위재(危齋)에 답서를 보낸 것을 보았으면 환히 알 것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0년 정순택(鄭諄澤) 부의장(賻儀狀)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庚午 八月 十三日 鄭諄澤 李 碩士 座前 庚午 八月 十三日 鄭諄澤 李碩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0년 8월 13일에 정순택(鄭諄澤)이 이 석사에게 보낸 부의장(賻儀狀) 정순택은 자신의 백모의 부고를 듣고 상주인 이석사에게 보낸 부의장이다. 부의 물품 내역과 간략한 조위(弔慰)의 글이다. 부의 물품은 마포(麻布) 1필, 백지 3속, 문어 1축 등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윤재준(尹在準)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陰十月三十日 尹在準 李敎成 殿 陰十月三十日 尹在準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음력 10월 30일에 윤재준(尹在準)이 매부 이교성(李敎成)에게 약간의 의복과 돈을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의 간찰(簡札) 음력 10월 30일에 남원에 사는 윤재준(尹在準)이 보성군에 사는 매부 이교성(李敎成)에게 약간의 의복과 기타 물품의 대금이 부족하여 돈을 속히 보내달라고 요청하면서 차후 종원이 돌아가서 갚겠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9년 김낙규(金洛圭)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大韓光武三年 己亥 五月初四日 上典 金洛圭 前明文 大韓光武三年 己亥 五月初四日 金洛圭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160_001 1899년 5월 초4일에 김낙규(金洛圭)가 황참봉(黃參奉) 댁에 여자 종을 매도하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99년 5월 초4일에 김낙규(金洛圭)가 황참봉(黃參奉) 댁에 여자 종을 매도하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한 광무(光武) 3년 기해년 5월 초4일 아무개 앞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라. 형세가 부득이해서 전래받은 노비 점순(占順)의 여식 11세 복율(卜栗)을 250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황참봉(黃參奉) 댁으로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 만일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기로 증빙할 것이라. 상전(上典) 김낙규(金洛圭)[착명]. 증인 최중구(崔仲九)[착명]. 작성자 김정식(金廷植)[착명].'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三年 己亥 五月初四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勢不得已 傳來奴婢占順女息十一世卜栗是乙 折價錢貳佰伍拾兩 黃參奉宅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二說 則以此文記憑考事上典 金洛圭 [着名]證人 崔仲九 [着名]筆執 金廷植 [着名]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