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교성(李敎成) 한글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敎成)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8월 10일에 복섬이를 팔았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복섬의 어머니에게 보낸 한글 간찰(簡札) 서두에 '복섬모보아라'에서 복섬의 어머니에게 보내는 간찰임을 알 수 있고, 문자는 한글로 썼다. 먼저 안부를 묻고서 복섬이를 전주 김인동 댁에 매매하였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곧 이 사람을 안동해서 보내라. 이 댁은 인심이 좋고 딸자식처럼 기를 것이니 염려 말아라. 부득이하여 팔았으나 골라서 보내는 것이니 염려 말고 보내라. 곧 보내지 않으면 댁의 모양만 창피할 뿐 아니라, 일이 단단히 있을 것이다. 만일 자리가 어떤지를 알고 싶거든 같이 와서 보라고 하였다. 날짜는 연도를 기재하지 않았으며, 발신인은 참봉댁이라 한 것으로 보아 발신인은 이교성(李敎成)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이교성(李敎成) 위장(慰狀)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癸酉 十二月 二十八日 李敎成 梁 碩士 至孝 苫前 癸酉 十二月 二十八日 李敎成 梁 碩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3년 12월 28일에 이교성(李敎成)이 양 아무개에게 보낸 위장(慰狀) 이교성이 양 아무개의 모친의 부고를 받고 애도하는 글을 보낸 위장이다. 선부인(先夫人)의 흉변에 애통해하며 집안이 얽매어 있고 자신은 병이 들어 달려가서 위문하지 못함을 살펴주기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七年 丁酉 三月初一日 幼學 朴祥文 處明文右明文放賣段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 移買次 伏在寶城文田面長洞村下坪 和字畓一斗五升落負數五卜九束庫叱 價折錢文肆十柒兩 依數捧上爲遣 右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相左之弊 持此文記憑考事畓主 自筆 幼學 朴昌赫 [喪不着]訂人 幼學 李萬孫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7년 종길(鍾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光武元〖二〗年 戊戌 十二月 日 畓主 喪人 鍾吉 右 前明文 光武元〖二〗年 戊戌 十二月 日 鍾吉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97년 12월에 답주 종길(鍾吉)이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97년에 논 주인 종길이 논을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유래해 온 논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이사해 살 일로 문전면 가천촌 앞 수반평의 육자답(陸字畓) 2두락지 4야미, 부수 9복(卜)1속(束)을 전문 350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상인(喪人) 종길이며 착압하였다. 필집이나 매수자 등의 기록이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元〖二〗年 戊戌 十二月 日 右 前明文右明文事段 矣身由來畓 累年耕食是多可 以移居次 伏在文田面可川村前水盤坪 陸字畓二斗落四夜味負數九負一束庫乙 價折錢文參佰兩 依數捧上爲遣 右前 以新舊文二章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携貳之端 則以此文記憑告爲乎事畓主 喪人 鍾吉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九年 甲戌 五月初九日 李生員奴再得 處明文右明文爲放賣事段 矣自己買得田 太種肆斗落只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要用所致 下字太種肆斗落只兩作負數四卜一束庫果 陣地八負八束庫乙 只〖伏〗在於文田面長洞村下柯馬坪是乎所 價折錢文貳拾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二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以此文告官卞正事田主 金鳴環 [着名]證筆 幼學 孔達文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四十九年 甲辰 十二月初五日 僧戒岑 戒元 宇寬 處明文右明文放賣事段 妻家衿得是在 伏在訓字畓六斗落只負數二十八卜庫伊 在於文田面席洞坪爲如乎 今方移買次 右僧處 折價錢文八十五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牌子一張幷以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或有生謀雜談之弊是去等 持此文記告官憑考向事畓主 自筆 李馥源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한천(寒泉) 등 소재 전답의 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고문서-치부기록류-수세문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한천(寒泉) 등 소재 전답에 지세(地稅) 부과를 위해 토지 소재지와 면적, 소유주 등을 기재해 놓은 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지세명기장의 공문서 용지를 사용하였고, 양식은 동리명(洞里名), 지번(地番), 지목(地目), 지적(地積), 지가(地價), 세액(稅額), 납기구분(納期區分), 적요(摘要) 등의 항목이 종렬로 구분되어 각 해당사항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동리명은 한천, 용암(龍岩), 덕치(德峙) 등이 보이고, 지목은 전(田)과 답(畓)으로 구분되었다. 세액과 납기구분은 기재된 사항이 없다. 적요에는 토지소유주로 보이는 사람의 이름이 보이는데, 이교섭, 이종후 등이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이다. 여기에는 많은 산소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아마도 성주이씨의 선산인 것으로 보인다. 몇 기를 들어보면, 이원댁(梨園宅) 산소, 휘 규명(奎明)과 부인 파평윤씨 산소, 휘 인보(仁輔)와 부인 양주최씨 산소 등이 있다. 어떤 산소는 좌향(坐向)과 표석(表石) 유무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산과 도로 표시로는 북동쪽에 운흥산(雲興山), 북쪽에 도현(桃峴), 전석현로(磚石峴路) 등이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이다. 여기에는 많은 산소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아마도 성주이씨의 선산인 것으로 보인다. 몇 기를 들어보면, 이원댁(梨園宅) 산소, 규명(奎明)과 비위(妣位) 파평윤씨, 인보(仁輔)와 비위 양주최씨 등이 있다. 어떤 산소는 합조(合兆)와 표석(表石) 유무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산과 도로 표시로는 북동쪽에 운흥산(雲興山), 북쪽에 도현(桃峴), 전석현(磚石峴) 등이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원공(敬元公) 이포(李褒) 묘소 산도(山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원공(敬元公) 이포(李褒)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경원공산소도(敬元公山所圖) 경원공(敬元公) 이포(李褒)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경원공산소도(敬元公山所圖)이고, 경원공은 성주이씨 이포를 가리킨다. 그 묘소 위로 인민(仁敏)의 묘가 있고 고총과 가리이총(加利李塚)이 있다. 좌향을 나타내는 지지(地支)가 보이고, 풍수지리상의 용어로는 파(破)와 득수(得水)가 표시되었다. 그 외에 산이름과 고개명, 마을 이름 등이 보인다. 이포는 본관이 성주(星州). 아버지는 예문관대제학 이조년(李兆年)이다. 아들로는 이인복(李仁復), 이인임(李仁任), 이인미(李仁美), 이인립(李仁立), 이인달(李仁達), 이인민(李仁敏) 등이 있다. 벼슬은 검교시중(檢校侍中)에 이르렀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하여졌다. 성품이 순박하고 예의가 바른 사람이었다고 한다. 1372년 왕이 손수 이포의 초상화를 그려서 아들 이인임에게 내려주는 영예를 입었다. 시호는 경원(敬元)이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09년 송병순(宋秉珣) 기문(記文)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9년 3월에 송병순이 지은 「매국정기(梅菊亭記)」로 정자가 지어진 계기와 이름의 유래를 설명한 기문(記文) 1909년 3월에 송병순이 지은 「매국정기(梅菊亭記)」로 정자가 지어진 계기와 이름의 유래를 설명한 기문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5년 유원규(柳遠奎)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之閏月 初四日 柳遠奎 拜拜 乙之閏月 初四日 柳遠奎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95년 윤5월 4일 유원규(柳遠奎)가 동료에게 안부를 전하며 한 번 방문해주기를 청하는 간찰(簡札) 1895년 윤5월 4일 유원규(柳遠奎)가 과거의 동료에게 자신의 소식을 전하는 편지이다. 을 자가 들어가는 해는 을미년이며, 윤달은 윤5월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러러 그리워한 지가 이미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뵙지를 못해 서글퍼 하던 차에 꽃이 피는 요즘 안부가 좋으신지요? 우러러 그리운 마음으로 제 마음을 견딜 수 없습니다. 저는 여러 날을 병으로 누워 고통으로 신음하며 지내고 있고 읍의 일은 갈수록 더욱 얽혀서 바로잡을 기약이 없으니 이 때문에 안타깝습니다. 한번 왕림해주셔서 회포를 펴주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