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이교성(李敎成)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亥十一月四日 李敎成 乙亥十一月四日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5년 11월 4일에 이교성(李敎成)이 아들을 진찰한 김길중(金吉中)의 소식과 비자판에 대해 부탁하는 간찰(簡札) 1935년 11월 4일에 이교성(李敎成)이 자신의 아들을 진찰한 김길중(金吉中)의 소식과 비자판에 대해 부탁하는 간찰이다. 전달 25일 당신의 글을 받고 답장을 쓰다가, 반도 못 썼을 때 김길중이 왔다. 반갑게 영접하고 아들을 살펴보게 하고 어찌하면 좋을지 자세히 묻자, 돌아가서 연락을 주기로 했는데 지금 초 3일이 지났으나 아직 소식이 없다고 하면서, 당신도 과연 아직 보지 못했는지 물었다. 그러면서 만약 보았다면 당신이 어찌 나를 위해 서찰을 보내지 않았겠는가, 백여 리 밖에서 믿을 사람은 당신이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인척 조카인 나씨를 혹시 보았는지 묻고, 소식을 듣고 싶은 것이 길중과 같다고 하였다. 기장(奇丈)과 박우(朴友)의 안부도 물었다. 비자판은 사람을 보내 도모하게 해달라고 하고, 당신의 아들과 형제에게도 안부를 전해달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율곡선생 유적보존회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辰四月日 李鍾文 李敎成 戊辰四月日 李鍾文 李敎成 이종문[인], 오국동[인], 김익신[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8년 4월에 율곡선생 유적보존회에서 이교성(李敎成)에게 관련 자료를 부탁하고자 보낸 간찰(簡札) 1928년 4월에 율곡선생 유적보존회에서 이교성(李敎成)에게 관련 자료를 부탁하고자 보낸 간찰이다. 율곡선생 유적보존회에서 은병정사(隱屛精舍)에 존안을 정리하고 있는데 관련 자료를 송부해주기 바란다고 하였다. 율곡선생 종손 이종문(李種文)과 보존회장 오국동(吳國東), 장의 김익신(金益新)의 명의로 보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이병원(李秉元) 간찰(簡札) 4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戌臘月二十一日 李秉元 甲戌臘月二十一日 李秉元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4년 12월 21에 이병원(李秉元)이 상대방의 독촉하는 글을 받고 보낸 답장 1934년 12월 21에 이병원(李秉元)이 상대방의 독촉하는 글을 받고 보낸 답장이다. 자신의 소관 일이 급하지만 어쩌겠는가, 형은 그리 심하게 군색하지 않은데도 이처럼 하지만, 자신은 그간 수백 수천 번 시도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오늘에 이르렀으니, 더 이상 할 만한 것이 없다. 더욱 불민한 자신을 책망하지만, 인편의 독촉에도 빈손으로 보낼 수밖에 없어, 바다 같은 도량을 바라기도 어렵다고, 자신의 심경을 말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시조 이하의 사손(嗣孫) 단자(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성주이씨의 시조 이하의 사손(嗣孫) 명단과 그 이력 및 족보에서 누락된 인물의 처리 관련 기록을 적어놓은 단자(單子) 성주이씨의 시조 이하의 사손사손(嗣孫) 명단과 그 이력 및 족보에서 누락된 인물의 처리 관련 기록을 적어놓은 문서이다. 시조 이순유(李純由)로부터 34세 이교인(李敎寅)에 이르기까지 사손(嗣孫)의 세대수와 성명을 열거하였다. 상단의 난외에는 시조와 일부 사손에 대해 정(正)과 신(新)자를 써넣었다. 이어서 이원굉(李元綋) 등 6명의 이름과 그 상하에 각각 원본(元本), 부족재(不足載)라 쓰고 이 6원은 살펴보고 처리하라고 했다. 그 아래에 또 4명이 같은 양식으로 기록되었다. 마지막의 이사룡은 '성주이씨보에 없다'고 썼다. 다음 장에는 성주이씨의 시조로부터 이장경(李長庚), 이조년(李兆年) 등을 거쳐 이교인까지 사손의 자호(字號), 관직, 가계, 과거, 행적 등 간단한 이력을 적어놓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대성학원창립취지서(大聖學院創立趣旨書)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孔子誕降二千四百七十七年丙寅九月 大聖學院創立事務所 孔子誕降二千四百七十七年丙寅九月 大聖學院創立事務所 서울특별시 종로구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6년 9월에 대성학원창립사무소에서 보낸 대성학원창립취지서(大聖學院創立趣旨書) 1926년 9월에 대성학원창립사무소에서 보낸 대성학원창립취지서(大聖學院創立趣旨書)이다. 취지문과 발기인 명단, 규칙 등으로 구성된 문서이다. 취지문은 '성인의 학술과 사도를 닦고 예의를 익히며 풍화를 돈독히 하면 사회풍조 작은 도움이라도 될 것'이라면서 이 뜻에 찬동한다면 다행이라고 하였다. 발기인은 김중환(金重煥)을 비롯하여 모두 21명이다. 규칙은 모두 8조인데, 본회의 조직 기준, 목적과 사업, 재단법인 등기, 회비, 임원, 사무소, 보조기관, 본회의 인계 등에 관한 규정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五年 庚午 三月十一日 幼學 高時旭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畓 移買次 文田面可川前乭彌坪伏在 受字畓外變三斗落負數十一卜八束庫果 內邊三斗落卜數八卜九束庫價折錢文壹百貳拾五兩 依數捧上爲遣 右處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日後良中 雜談是去等以 此文記相考卞正事自筆 畓主 幼學 趙鎭基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拾玖年 甲戌 四月初四日 林爾章 處明文右文爲放賣事段 矣亦夫妻祭位畓 載錄是在 累年耕食爲如可 生道爲難仍于 勢不得已 文田面可川村前林內坪員伏 在夫字畓壹斗玖升落只內下邊壹斗貳升落只庫負數伍卜庫乙 價折錢文貳拾柒兩以 依數捧上爲遣 右人處 本文記段 他田畓幷付仍于 不給爲去乎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若有雜談爲去等 此文相考告官卞正事畓主 故李時白妻 張氏 [右掌]筆 同姓六寸 幼學 李時華 [着名]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