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李生員 下執事謹拜上候狀 謹封潦炎乖常 伏未審此際靜中體度 連享萬康 伏溯區區 不任下忱 査生親候 常多靡寜 焦煎中 少小憂故 層鱗無霽 苦悶何喩允郞無?善課耶 煎伻空還後 期自在逐日 額手尙孤望眼緣何其然 心甚躁㭗 卽當探候之不暇 而胤掣長霖 今玆送奚 愧歎何極 此便命送伏望耳 餘謹不備 伏惟下在甲午 六月 卄二日 査下 李溟鎭 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9년 한글 단자(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기사납월초오일 기사납월초오일 1929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497_001 1929년 12월 초5일 혼사에서 사용할 의복의 치수를 적어 보낸 한글 단자 1929년 12월 초5일 혼사에서 사용할 의복의 치수를 적어 보낸 단자(單子)이다. 한글 흘림체로 "뒤참 야답 치 넉넉, 긴동 네 치 닷분, 압참 다셧 치 어리게, 압깃 네 치 닷분 넉넉" 등의 치수가 쓰여 있고, 상대방에게 옷의 치수를 적어 보낸 단자이다. 피봉 앞면에는 '의망', 뒷면에는 '근봉'이라고 썼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4년 연길단자(涓吉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4년 10월 9일에 혼인 길일을 적어 보낸 연길단자(涓吉單子) 혼인 길일을 먼저 적고 납폐(納幣)와 전안(奠鴈)의 길일은 동일(同日)이라 적었다. 신랑이 혼삿날에 신부댁을 방문하여 폐백과 기러기를 드리고 나서 신부를 가마에 태워 신랑집으로 데리고 와 혼례를 거행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候書伏悵方切 卽拜惠下書 憑審暮春者調候漸得向和 伏賀不任區區之至 査下生 省奉姑保 私分萬幸萬幸 京報尙寂 必是歸虛 徒切咄嘆咄嘆 吉日迫頭 凡節想多速窘之端爲貢慮萬萬 渠者依敎奉送 而木籠 諺書中有如置之敎云 故不得已舍之 而對俟後日 持去亦非晩也 貴中油衫等物 方在爾染病之方中不未付呈 良可歎也 子婦無病安侍云 奇幸奇幸 而夏前未可治送否允友許 官梅箇付託 吾望間未得造來耶餘萬不備謝惟下察 謹拜上謝書白紙一束 雖無書示中付呈耳來使立促 未有諺書耳甲午 三月 四日 査下生 趙鎭翼 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조정복(趙廷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丑 九月 望日 査弟 廷復 拜 乙丑 九月 望日 趙廷復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349_001 1925년 9월 15일에 조정복(趙廷復)이 사돈에게 안부와 혼인, 사위 행로에 대한 염려를 전하는 간찰(簡札) 1925년 9월 15일에 조정복(趙廷復)이 성명 미상의 사돈에게 보내는 답장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위가 갑자기 도착하여 기쁘고 위안되는 마음 어찌 이루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삼가 서리 내리는 계절에 가족들의 안부와 대소 제절(諸節)이 모두 편안하심을 알았으니 우러러 제 마음에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요? 저는 쇠병(衰病)이 날로 심하여 괴로우나 여러 식솔은 탈이 없어 다행입니다. 말씀하신 연길의 날짜는 장애가 없으나 갖추어 준비된 것이 없어서 매우 근심스럽습니다. 사위가 돌아간다고 하는데, 응당 말을 보낼 계획이었으나 도보로 간다고 하니 만류할 수가 없습니다. 먼 길의 행차를 염려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企餘允郞奄到 欣慰之心 曷可勝喩 伏審霜令棣候珍重 大小諸節俱爲均安 仰慰何等區區 査弟衰病日深苦苦而諸率姑無遇頉 是幸也 禮日涓示 別無所碍而凡百掃如 愁亂愁亂 允郞告歸 終當騎送爲計 而決然徒步 不得挽執 遠路之行 不可弛慮耳 餘不備 伏惟乙丑 九月 望日 査弟 廷復 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조정복(趙廷復)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丑 四月 念二日 査弟 廷復 拜上 乙丑 四月 念二日 趙廷復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5년 4월 22일에 조정복(趙廷復)이 아드님의 용서를 청하는 간찰(簡札) 1925년 4월 22일에 조정복(趙廷復)이 아드님의 용서를 청하는 간찰(簡札)이다. 안부를 묻고, 윤함씨의 과거 합격 경사를 듣고 공손히 축하하였다고 하였다. 자신은 손자가 지난 3일에 우연히 어떤 증상을 얻었는데 여러 차례 위험한 지경이었다가 이제야 겨우 소생하였다. 아드님은 봄옷을 늦은 가을에 만들 것이니 이렇게 헛되이 세월을 보내면서 가르침을 어기는 것을 용서하는 것이 어떠냐 하였다. 피봉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候上 謹封便後間阻 悵昻更深 伏惟淸和棣中體事 連得珍衛 各節亦均安 仰溯區區不任 允咸氏科慶聞極聳賀 査齊姑依而孫兒去初三日 偶得無何之症 屢度危境 今纔蘇完 見甚悶憐 允郞春服秋晩成 際此曠日 違敎恕諒如何 餘不備 伏惟乙丑 四月 念二日 査弟 廷復 拜上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보성 문전면 소재 토지의 문기(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보성 문전면 소재 토지의 문기(文記) 토지문기이다. 토지 소재지와 크기를 적고 처분 관련 내용을 적은 듯한데, 하단의 망실로 그 내용을 정확히 알 수 없다. 토지 소재지는 보성 문전면 가천촌 뒤의 마등평 부자답(夫字畓)이며, 크기는 3두락 10복4속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대택(大宅) 등의 부채 장부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대택(大宅)과 동촌댁(東村宅)의 부채 상환 내역의 일부를 적은 일종의 장부 대택(大宅)과 동촌댁(東村宅)의 부채 상환 내역의 일부를 적은 일종의 장부이다. 대택과 동촌댁에서 갚은 금액이 적혀 있고, 가운데에 대문계(大門禊)와 사문계(私門禊)의 액수를 적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3년 석역(石役) 장부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癸丑年三月二十五日 癸丑年三月二十五日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3년 3월 25일 석동리 뒤의 산소와 등양동 산소 두 곳의 비(碑) 1건씩에 대한 석역(石役)의 비용을 기록한 장부 1913년 3월 25일 석동리 뒤의 산소와 등양동 산소 두 곳의 비(碑) 1건씩에 대한 석역(石役)의 비용을 기록한 장부이다. 3월 2일부터 5월 27일까지 날짜순으로 비용 소용처와 금액 등을 자세히 적었다. 또 그 이듬해 정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해당 사항을 적었다. 소용처는 식비와 마석역군(磨石役軍) 고가(雇價), 각자공가(刻字工價), 각종 물품구입비, 노자 등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拜上謝狀自觀德儀 向風馳神 何日可緩 而況新綠可染 好鳥相喚 此時懷想 更惹起一層 際玆惠翰忽墜 忙手奉讀 慇懃語帖 鑠客尺咫 如珍雖謂書不如面 其消釋鄙滯 慰瀉紆菀 不啻尋常萬萬 伏審軆棣動止 益膺神休 寶覃均迪 尤何等仰慰之至 生之庭慈候 粗寜幸也 而身子近作同福行 看赤壁 感古人之望美 豈勿染惜 今世之染俗 繼歎腐儒俗 卽誤染名境 坐雨戱間關累日 方還巢圉圉呼倩 不備 伏惟尊照 上謝狀乙丑 四月 卄六日 査生金漢翼 再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95년 종답(宗畓) 장부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乙未十月 乙未十月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95년 10월 종답(宗畓)의 식리(殖利)와 지출 현황을 적은 장부 1895년 10월 종답(宗畓)의 식리(殖利)와 지출 현황을 적은 문서이다. 금액과 택호, 출납 그리고 지출 내역을 적었다. 오른쪽의 날짜 하단에는 경산직치송(京山直治送, 서울 산지기의 노자) 등의 지출내역을 적었으며, 중간에는 대문답(大門畓)의 방매와 금액, 지출내역, 식리 분배사항 등을 적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연길(涓吉) 단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신랑집에서 혼인날짜를 적어 신부집에 보낸 연길(涓吉) 단자 신랑집에서 혼인날짜를 적어 신부집에 보낸 연길(涓吉) 단자이다. 혼인날짜는 임신십이월십구일(壬申十二月十九日)이며, 봉투에 연길이라 적었다. 대례(大禮)는 혼인의 별칭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