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4년 조정복(趙廷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子 九月 二十五日 趙廷復 甲子 九月 二十五日 趙廷復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4년 9월 25일에 조정복(趙廷復)이 사주단자를 요청하면서 보낸 간찰(簡札) 편지 내용이 간단하다. 안부를 묻고 아우의 혼사는 늦었다고 하지만 다행히 혼인을 의논하게 되었다. 경첩(庚帖, 사주단자)을 편지로 알려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7년 송철헌(宋哲憲) 위장(慰狀)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丁未 正月 初二日 孫子 宋哲憲 李 碩士 座前 丁未 正月 初二日 宋哲憲 李 碩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7년 1월 2일에 송철헌(宋哲憲)가 이 아무개에게 보낸 위장(慰狀) 송철헌이 이 아무개의 부친의 부고를 받고 애도하는 글을 보낸 위장이다. 발신인은 자신을 손자라고 칭하였다. 돌아가신지 벌써 소상(小祥)이 지났다고 하면서 위문하고 애감(哀感)이 지극하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이맹선(李孟先)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光緖參年 丁丑 正月十七日 畓主 幼學 李孟先 光緖參年 丁丑 正月十七日 李孟先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77년 4월 26일에 이맹선(李孟先)이 아무개에게 논 1두 3승락을 6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77년 4월 26일에 이맹선(李孟先)이 아무개에게 조상으로부터 전래된 논 1두 3승락을 6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광서(光瑞) 3년 정축 10월 24일 유학 아무개에게 주는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라. 내가 조상으로부터 전래된 논을 여러 해 갈아먹다가 형세가 부득이해서 요긴하게 쓸 일로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장동(長洞) 들에 있는 화(和) 자(字) 논 1두 3승락(5부 9속)을 60냥에 가격을 작정하여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에게 신·구문기(新·舊文記)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일 서로 어긋나는 단서가 있거든 이 문기로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유학 이맹선(李孟先)[상중으로 착명하지 않음]. 증인 유학 이흥렬(李興烈)[착명]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參年 丁丑 正月十七日 幼學 前明文右明文事段 流來畓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要用所致 伏在宝城文田面長洞村坪 和字畓一斗三升落只負數五卜九束庫乙價折錢文六十兩 依數捧上爲遣 右前 新舊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相左之端 則以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幼學 李孟先 [喪不着]訂人 幼學 李興㤠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明治四十五年 六月二十八日 前明文右明文ᄯᅡ은 自己買得家垈 累年居住이가 以要用所致로 伏在寶城郡文田面加川里本里坪千〖千字〗一二一番壹升落結數壹負ᄭᅩᆺ을 價折錢文七拾兩을 依數捧用이고 以新文壹張으로 右前에永永放賣ᄒᆞ거온 日後에 若有相左之端 則以此文記憑考事家垈主 文田面加川里 梁元用 [印]證人 仝面仝里 金水乭 [印]可川里 李敎成 殿追히 舊文은 明治四十四年三月十六日의 的確히 閪失ᄒᆞᆫ고로 未納홈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한천(寒泉) 등 소재 전답의 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고문서-치부기록류-수세문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한천(寒泉) 등 소재 전답의 지세(地稅) 부과를 위해 토지 소재지와 면적, 소유주 등을 기재해 놓은 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지세명기장의 공문서 용지를 사용하였고, 양식은 동리명(洞里名), 지번(地番), 지목(地目), 지적(地積), 지가(地價), 세액(稅額), 납기구분(納期區分), 적요(摘要) 등의 항목이 종렬로 구분되어 각 해당사항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동리명은 한천(寒泉), 용암(龍岩), 덕치(德峙) 등이 보이고, 지목은 전(田)과 답(畓)으로 구분되었다. 세액과 납기구분은 기재된 사항이 없다. 적요에는 토지소유주로 보이는 사람들의 이름이 보이는데, 이교섭(李敎燮), 이종률(李鍾嵂) 등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한글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혼사 날짜 등을 전하는 한글 간찰(簡札) 동한이네와 삼남매 등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고 있다. 용건은 혼인에 관한 것인데, 혼인이 정해졌으니 날짜는 동짓달 열아흐레로 하고 신행은 섣달 열이틀 날이라 하였다. 이면에는 한문으로 쓴 간찰이 있는데, 날짜나 발신자·수신자 등의 정보는 기재되지 않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伍十五〖四〗年 己酉 十一月十四日 李生員宅奴 福才 處明文右明文放賣事段 矣契中衿得耕食是如可 以移買次 本郡文田面席洞員伏在 訓字畓六斗落只負數二十八卜庫乙 價折錢文 陸拾貳兩 依數交易捧上爲遣 右處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幸有雜談是去等 將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自筆 柳光輟 [喪不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한천(寒泉) 등 소재 전답의 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고문서-치부기록류-수세문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한천(寒泉) 등 소재 전답의 지세(地稅) 부과를 위해 토지 소재지와 면적, 소유주 등을 기재해 놓은 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지세명기장의 공문서 용지를 사용하였고, 양식은 동리명(洞里名), 지번(地番), 지목(地目), 지적(地積), 지가(地價), 세액(稅額), 납기구분(納期區分), 적요(摘要) 등의 항목이 종렬로 구분되어 각 해당사항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동리명은 한천(寒泉), 용암(龍岩), 덕치(德峙) 등이 보이고, 지목은 전(田)과 답(畓)으로 구분되었다. 세액과 납기구분은 기재된 사항이 없다. 적요에는 토지소유주로 보이는 사람의 이름이 보이는데, 이교섭(李敎燮)뿐이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대사헌공(大司憲公) 묘소 등의 산도(山圖) 원도(原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대사헌공(大司憲公) 묘소 등의 산도(山圖) 원도(原圖) 산도는 묘소의 풍수지리를 표시한 그림이다. 묘소는 4기가 상하로 일직선상에 있는데, 가장 북쪽에 대사헌공(大司憲公)과 부인 성씨의 묘소, 그 아래에 사평공(司平公)과 숙인 죽산안씨의 묘소, 사과 이연(李摙)과 영인 여흥민씨 묘소가 있다. 그 좌우로 또 다른 묘소가 표시되어 있다. 남쪽으로는 도봉산과 삼각산이 있고, 북서쪽으로는 천보산과 부도암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성주이씨의 조상 중 양주 소재의 분묘에 대한 산도인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비인복종형(庇仁伏鍾形) 그림과 설명문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충청도 비인현에 소재한다는 풍수지리상의 제일 명당인 비인복종형(庇仁伏鍾形)의 그림과 설명문 도선국사의 ?옥룡자유산록(玉龍子遊山錄)?에서 제일갑지(第一甲地)라고 언급한 혈자리이다. 월명산(月明山) 아래의 이 혈자리에 대한 좌향과 입수(入首)를 설명하고, 혈의 좌우에 여러 큰 무덤이 있는데 공후장상(公侯將相)이 나온 땅이라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대맥동신영침당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梁文)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김인후가 지은 '대맥동신영침당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梁文)'의 전문을 옮겨 적은 잡문 모년 성명 미상의 필자가 하서 김인후가 지은 '대맥동신영침당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梁文)'의 전문을 옮겨 적은 잡문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