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3년 이종현(李鍾現)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陰癸亥八月初七日 李鍾現 陰癸亥八月初七日 李鍾現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3년 음력 8월 7일, 족제 이종현이 비봉리 땅을 살펴보는 일에 함께 가 줄 것을 청한 간찰(簡札) 1923년 음력 8월 7일, 족제(族弟) 이종현(李鍾現, 小名 華三)이 선산의 땅인 비봉리를 살피러 가는 일에 함께 가 줄 것을 청하기 위해 쓴 간찰이다. 가을이 반이나 지났다며 서리 내리는 날씨에 상대와 일문(一門) 전체가 잘 계신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작년 10월 15일에 묘사(墓祀)에서 보았을 때와 상황이 같다고 인사하고 본론을 언급했다. 비봉리(飛鳳里) 땅을 살펴보는 일은 여러 유사(有司)들의 책임이지만 매년 정해진 일자는 추운 일자이므로 이달 28일에 신전리(薪田里)에 와서 함께 비봉을 살피러 가 줄 것을 청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20년 김영한(金甯漢)의 묘갈명 고문서-시문류-묘문 (昭和)9.7.1□ 金寧漢 李敎燮 (昭和)9.7.1□ 金寧漢 李敎燮 서울특별시 종로구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0년 4월 20일에 김영한(金甯漢)이 쓴 문경공(文景公)의 묘갈명 1920년 4월 20일에 김영한(金甯漢)이 쓴 문경공(文景公)의 묘갈명이다. 문경공은 이직(李稷)이다. 이직은 본관이 성주(星州). 자가 우정(虞庭), 호가 형재(亨齋)이다. 증조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이조년(李兆年)이고,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이포(李褒)이며, 아버지는 문하평리(門下評理) 이인민(李仁敏)이다. 가계(家系)와 탄생, 관직생활, 배위(配位), 자손, 성품 등에 관해 차례로 기술하고 마지막에 명(銘)을 적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1년 이홍순(李洪淳)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十月二十日 李洪淳 十月二十日 李洪淳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667_001 1921년 10월 20일, 종손 이홍순이 문중일의 진행상황을 보고하고 여비를 보내줄 것을 청한 간찰(簡札) 1921년 10월 20일, 종손(從孫) 이홍순(李洪淳)이 문중일의 진행상황을 보고하고 여비를 보내 줄 것을 청한 간찰이다. 문중일은 칠봉(七峯) 형님과 모두 상의하여 일하고 있다는 것, 극비리에 여러 수속을 하여 달라는 것, 과거 30년간 관계되었던 것이 오늘날 결과를 보게 되었다는 것, 자세한 내용은 훗날 만나고 말씀드리겠다고 적었다. 추신으로는 일반 관계서류와 여비(旅費)를 보내 달라고 했다. 지면에 기록된 연도는 없으나 일련의 간찰을 통해 문중 일에 몰두하고 있는 1921년으로 보인다. 국한문 혼용체로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冠省白門中事은 七峯兄主와 萬般을 協意ᄒᆞ야 做去ᄒᆞ기를 想定ᄒᆞ얏슴니다 極秘蜜裡에셔 諸手續을 ᄒᆞ여쥬도록 ᄒᆞ시요 幸히 成功이 되면天佑神助ᄒᆞ난거나 無異ᄒᆞᆷ이다過去三十餘年間 係事ᄒᆞ든 것이 其結果을 今日에 告ᄒᆞ게 된 秋이올시다 互相忍恕ᄒᆞ고 做事에 達算無ᄒᆞᆷ을 期ᄒᆞ기로 합시다 彼賊子놈들의 巧言妙說에 흔들이지 마고 十分大注力을 다 ᄒᆞᆸ시다그리고 子細온 日後에 面告ᄒᆞ것심이다餘萬不備 上候書十月二十日 從孫 洪淳 再拜上一般關係書類와 旅費을 보ᄂᆡ쥬시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김택경(金澤卿)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亥八月九日 金澤卿 李敎成 乙亥八月九日 金澤卿 李敎成 강원도 강릉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5년 8월 9일 김택경(金澤卿)이 삼씨(麻種)를 주선하는 일 등에 대해 주고받은 간찰(簡札) 1935년 8월 9일 김택경(金澤卿)이 삼씨(麻種) 주선 등을 위해 보낸 간찰이다. 먼저 삼씨 주선을 위해 영서(岺西) 4~5개 군(郡)을 보름에 걸쳐 답사하고 돌아오니 당신의 간찰이 책상에 있었는데 뜯어보니 다른 사람에게 가야할 간찰이 잘못 넣어져 있어 웃었다는 것으로 시작하여, 삼씨는 지나번 간찰에 쓴 바와 같이 시기가 어긋나 일이 안될 것 같고, 지난번 곡성(谷城)의 남섭(南燮)에게 글을 보냈는데 답장이 없어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다고 하고, 피저(皮苧) 등에 대해서는 자신을 생각을 말하고, 여러 가지 일에 대해 가능한 한 속히 자세하게 회신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2년 김정진(金靖鎭)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壬午八月卄八日 金靖鎭 李雅士 壬午八月卄八日 金靖鎭 李雅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750_001 1942년 8월 28일 기하생 김정진이 귀문의 명예는 헛되이 않다는 등의 내용으로 이아사(李雅士) 모(某)에게 보낸 간찰 1942년 8월 28일에 기하생(記下生)인 김정진(金靖鎭)이 이아사(李雅士)에게 보낸 간찰이다. 보내주신 서찰을 받고 모두 위로되고 감사하며, 탕후(湯候)가 편안하지 않음을 알고 염려되는 마음 그지없다고 하였다. 기하생 자신은 예전처럼 잘 지내고 있으며, 영당(令堂)이 모두 매우 훌륭한 일을 보게 하였으니 귀문(貴門)의 명예는 과연 헛되이 전해진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1년 공교(孔敎) 김천분회의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孔子二千四百七十二年辛酉陰九月十二日 李敎達 孔子二千四百七十二年辛酉陰九月十二日 李敎達 인장1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1년 9월 12일에 공교(孔敎) 김천분회에서 고운 최치원 영정을 찾는 일에의 참여를 청하는 통문(通文) 1921년 9월 12일에 공교(孔敎) 김천분회에서 고운 최치원 영정을 찾는 일에의 참여를 청하는 통문이다. 문창후 최치원의 영정을 봉안한 곳이 합천 홍류동에 있었으나, 일찍이 본손이나 사림이 근처에 거주하는 자가 없어 영정을 도난당하는 변고가 일어나고, 빗장을 부서졌으며 궤탁은 엎어져있다. 이에 선현을 숭모하고 악속(惡俗)을 징계하는 도리로서 범인과 영정을 수색해 찾는 일에 대해 발문으로 고하니, 연명서를 도내 각처에 돌려 받아주기를 청하고 있다. 발신인은 진주 도통사(道統祠) 동문당(同文堂) 공교(孔敎) 김천분회이며, 발문과 회원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이병원(李秉元)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戌九月 李秉元 李舜九 甲戌九月 李秉元 李舜九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4년 9월 그믐에 이병원(李秉元)이 이순구(李舜九)에게 『칠서(七書)』 등 책 가격 및 매매 제안, 풍안(風眼) 가격 등을 전하는 간찰 1934년 9월 그믐에 이병원(李秉元)이 이순구(李舜九)에게 『칠서(七書)』 등 책 가격 및 매매 제안, 풍안(風眼) 가격 등을 전하는 간찰이다. 『칠서(七書)』는 가격이 50엔(円)인데 피차 의견이 너무 먼 정도가 아니니 이는 끝내자는 것이고, 『대전(大全)』은 여러분의 의론이 하나로 일치했다니 매우 다행이지만, 그 상태를 보는 것은 그만 둘 수 없다고 하고 등급에 따른 가격을 제시하고 있고, 『송서(宋書)』·『예의유집(禮疑類集)』과 『의례(儀禮)』 등은 다시 논의하자고 하였다. 풍안(바람과 먼지를 막기 위해 쓰는 안경)은 20엔이 결정된 가격이니 다음 달 초순에 갖다드리겠다는 등을 말하고, 나머지는 별지(別紙)에 있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8년 정봉태(丁鳳泰) 부의장(賻儀狀) 고문서-치부기록류-부의록 戊寅 十一月 二十九日 生 丁鳳泰 李敎成 座下 戊寅 十一月 二十九日 丁鳳泰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8년 11월 29일에 정봉태(丁鳳泰)가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부의장(賻儀狀) 정봉태가 이교영의 부친의 부고를 받고 보낸 부의장이다. 선대인의 흉변에 향촉(香燭) 대신으로 부의금 2원을 영연(靈筵) 앞으로 보낸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교성(李敎成) 납세장부(納稅帳簿) 고문서-증빙류-인증서 李敎成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189_001 이교성(李敎成)의 소유토지에 대한 납세(納稅) 장부 납세 관련 문서이다. 인쇄용지인데, 납세관리인, 주소, 씨명, 토지 소재, 자번호(字番號), 지목, 면적, 결수, 결가(結價), 세액, 적요 등의 항목이 있다. 189~192가 이어지는 문서이다. 주소는 가천리이며, 씨명은 이교성(李敎成)이다. 토지소재지는 가천리와 수월리, 덕봉리, 장동리, 율리이며, 각 항목에 해당 사항을 기재하였다. 토지 소재 끝에는 면적과 결수를 합계하고 그에 따라 세액이 결정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