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格浦舟中望群山5) 【時艮齋先生在於此山】 幽人不識行舟事 秖信棹工捩柁閒兩岸潮聲風正急 中流月色夜猶寒茫茫海外疑無地 漠漠天涯更有山咫尺相望千里遠 烟波愁殺接雲端 정서본에는 "望君山"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는 "望群山"의 오기라고 판단되어 바로 잡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7년 10월 일 관문(關文) 崇德二年十月 日 關文 033 비변사가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형조정랑(刑曹正郞) 손필대(孫必大)의 상소에 대해 회계(回啓)하여 재가받은 내용을 살펴서 시행할 것.정축년(1637, 인조 15) 11월 3일 (도착).비변사가 소식을 알리는 일 때문에 보낸다."이번에 재가하신 형조정랑(刑曹正郞) 손필대(孫必大)의 상소 내용을 요약하면,74)'첫째는 곤수(閫帥)가 방군수포(放軍收布)하는 것을 통렬히 금지하는 일입니다. 신이 살펴보니, 삼남(三南)의 병사(兵使)와 수사(水使)가 상번(上番)한 군병을 사사로이 풀어주고 대신 번포(番布)를 징수하며, 첨사(僉使)와 만호(萬戶)가 있는 각 진보(鎭堡)에서도 모두 격례가 되었습니다. 징수하는 번포도 몹시 까다롭게 점검하여 퇴짜를 놓으므로 1필 대신 2필을 납부하는 사람도 있으니, 가난한 군졸들이 어떻게 감당하겠습니까! 도망하여 떠돌아다니는 군졸들이 계속해서 생겨나는 원인은 전적으로 여기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신이 또 들으니, 함경도의 곤수가 점고(點考)를 빼먹은75) 군병에게서 으레 벌목(罰木 벌금으로 징수하는 무명)을 징수하고 관서(關西)의 곤수도 방군수포한다고 합니다. 아! 국가가 군병을 설치한 것은 어디에 사용하려고 대비한 것이겠습니까! 장수가 지방의 통솔하는 직임을 받은 것은 무슨 일을 맡은 것이겠이겠습니까! 징수한 번포도 어디로 돌아가야는 것이겠습니까! 그런데 곤수 등이 군병들을 훈련시킬 생각은 하지 않고 공공연하게 착취하여 자기 아내와 첩이 쓸 자본으로 삼고 권세있는 신하에게 아첨하여 그들의 주머니나 채워주고 있어서, 이익은 사적인 소굴로 돌아가고 원망은 조정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이러한 군병들이 평상시에는 생계를 꾸려나갈 수가 없고76) 급박한 사태에 임해서는 싸우려는 마음이 생기지 않게 하였습니다. 이제부터 금지하는 법을 엄격히 세우고 곤수들이 매달 상번한 군병을 훈련시키는 일에 전념하게 하되, 방군수포하지 못하게 하시기를 신은 바랍니다.둘째는 신이 들으니, 바닷가 각 진보(鎭堡)의 입번할 차례가 된 수군으로부터 진장(鎭將)들이 높은 가격으로 번포를 징수한 뒤 헐값으로 고용하여 입번시키고 남는 이익을 떼어내서 자기가 차지하는 것이 그대로 관습이 되어버렸고 마침내 옛 규례가 되었다고 합니다. 여러 진보를 분명하게 신칙하여, 번포를 징수한 뒤 고용하여 입번시키는 폐단을 통렬히 금지해서 입방(入防)의 고통에 시달리는 수군을 소생시켜주기를 신은 바랍니다.셋째는 수령(守令)을 중시하는 것입니다. 수령이라는 직임은 관계된 것이 매우 막중한데, 지금의 수령들은 쇠잔한 백성을 착취하여 자신의 사욕을 꾀하는 자리에 불과하며, 군량(軍糧)을 사적으로 구비하고 군기(軍器)를 별도로 구비하며, 탐욕을 부리고 학대하는 수법을 마구 구사하고 만족할 줄 모르는 욕심을 실컷 부려서 선물이 이어지고 있으니,77) 아! 통분스럽습니다. 지금부터는 수령을 잘 골라서 제수하시기를 신은 바랍니다.넷째는 여러 도(道)의 감사(監司)를 반드시 강직하고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으로 골라서 임명하여 수령들을 엄중하게 염탐하고 사실대로 포폄(褒貶)하게 하며, 수시로 어사(御史)를 파견하여 여러 고을을 살피고 점검하게 하는 것입니다. 만약 다스리지 못하는 수령이 있는데도 감사가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두 중죄로 논한다면 규찰하는 방도와 격려하는 방도 둘 다 행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 상소에 의거하여 본사(本司)가 올린 계목(啓目)에 아뢰기를,'재가받은 문서를 첨부하였습니다.78) 곤수가 방군수포하는 일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한 사람들이 그 폐단을 거론해온 지가 오래되었습니다. 따라서 모두 혁파한다면 어찌 좋지 않겠습니까! 다만 예전부터 통렬히 혁파하지 못했던 이유는 몹시 마지못할 상황이 있어서였으니, 방군수포로 눈앞의 다급한 상황만 구제할 수 있어도 충분합니다. 그런데 탐욕스러운 무리들이 마음껏 착취하여 한편으로는 자기의 사욕을 마음껏 채울 기회로 삼고 한편으로는 권세있는 사람에게 아첨할 발판으로 삼습니다. 군졸들이 상관을 미워하는 것은 모두 여기에서 유래하니, 참으로 몹시 통분하고 악랄합니다. 이와 같은 무리들을 적발되는 대로 통렬히 징계해야 한다고 말한 사람이 본래 있었으니, 특별히 점검하여 신칙하라고 여러 도의 관찰사에게 공문을 보내 거듭 밝혀야 합니다. 바닷가 각 진보에서 재물을 긁어모으는 폐단과 수군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은 갈수록 더욱 심해지고 있으니, 전해 들은 말은 해괴하다고 하겠습니다. 똑같이 통렬히 금지하라고 여러 도의 감사, 병사, 수사에게 아울러 통지해야 합니다. 수령을 중시해야 한다는 말로 말하면, 군량을 사적으로 구비하고 군기를 별도로 구비하느라 해를 끼치는 것부터 탐욕을 부리고 학대하며 만족할줄 모르는 욕심을 부려 선물이 이어지는 폐습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다 논하였습니다. 해당 조(曹)로서는 적임자를 골라서 제수하고 감사로서는 전최(殿最)를 엄격히 하며 대간이 그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여 탄핵한다면, 자연히 잘못을 징계하고 폐단을 구제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감사를 잘 고른다면 수령들을 매우 엄중하게 염탐할 수 있을 것이며, 어사를 파견한다면 여러 고을을 살펴서 점검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한 말은 모두 절실한 말입니다.'라고 하니, 숭덕(崇德) 2년(1637, 인조 15) 10월 25일에 우승지(右承旨) 신(臣) 김휼(金霱)이 담당하여,'「아뢴 대로 윤허한다.」라고 재가받았다.'라고 판부(判付)하였다. 판부의 내용을 잘 살펴 시행하라. 그러므로 관문을 보낸다."숭덕 2년 10월 일.▶ 어휘 해설 ◀❶ 방군수포(放軍收布) : 입번(立番)할 의무가 있는 정군(正軍)을 풀어주고 대신 포(布)를 거두던 제도를 가리키며, 수포대립(收布代立)이라고도 하였다. 방군수포는 16세기에 들어 조선 초기의 진관체제(鎭管體制)가 붕괴되면서 관례화되기 시작하였는데, 그렇게 거두어들인 포는 병사, 수사, 첨사, 만호 등이 사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으로 전락되어 문제가 되었다.❷ 곤수(閫帥) : 외관직(外官職) 중 병권(兵權)을 가진 절도사(節度使), 통제사(統制使), 통어사(統禦使) 등을 가리킨다.❸ 포폄(褒貶) : 관원의 근무 실적을 평가하는 것, 또는 그러한 제도를 가리킨다. 관원의 근무 실적을 상등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褒)나 최(最)라 부르고 하등으로 평가하는 것을 폄(貶)이나 전(殿)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것으로, 포폄을 전최(殿最)라고도 하였다. 포폄은 시행하는 시기에 따라 해마다 전반기에 시행하는 춘하등포폄(春夏等褒貶)과 후반기에 시행하는 추동등포폄(秋冬等褒貶)으로 나뉘었다. 포폄을 시행하는 서울과 지방의 각 관사(官司)와 영문(營門)에서는 소속 관원의 근무 실적을 평가한 뒤 그 결과를 포폄계본(褒貶啓本)으로 작성하여 국왕에게 올렸다. 포폄계본은 전최계본(殿最啓本)이라고도 하였는데,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관원의 근무 실적을 4자나 8자로 평가한 문장을 적어 올리는 계본이고, 또 하나는 관원의 근무 실적을 상고(上考)·중고(中考)·하고(下考) 중의 하나로 등급을 매겨 올리는 계본이다. 관원의 근무 실적을 4자나 8자로 평가한 문장을 제목(題目)이라 하였고, 관원의 근무 실적을 상고·중고·하고 중의 하나로 등급을 매기는 것을 등제(等第)라고 하였다.❹ 전최(殿最) : 관원의 근무 실적을 평가하는 것, 또는 그러한 제도를 가리킨다. 관원의 근무 실적을 상등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褒)나 최(最)라 부르고 하등으로 평가하는 것을 폄(貶)이나 전(殿)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것으로, 전최를 포폄(褒貶)이라고도 하였다. 丁丑十一月初三日.備邊司爲知音事."節啓下敎刑曹正郞孫必大上疏內節該, '一曰, 痛禁閫帥放軍徵布. 臣觀三南兵、水使, 私放番軍, 徵捧價布, 僉萬各鎭, 皆成式例. 所捧之布, 極其點退, 或有一疋代納二疋者, 貧寒軍卒, 何以支堪! 相繼流亡, 職由於此. 臣又聞咸鏡閫帥, 軍人闕點, 例徵罰木, 關西帥臣, 亦爲放軍徵布. 嗚呼! 朝家設置軍兵, 待用何地! 將帥受任閫外, 所職何事! 所徵之布, 亦歸於何地耶! 閫帥等, 不思訓鍊, 公然剝割, 以爲自己妻妾之資, 媚事權貴之囊槖, 利歸私窟, 怨萃公朝. 使此軍, 平時則不能聊生, 臨急則莫有闘心. 臣願自今嚴立科禁, 令閫帥, 每朔番軍, 專意訓鍊, 而毋得放番徵布. 二曰, 臣聞沿海各鎭當番水軍, 鎭將輩, 高徵價布, 廉直雇立, 利其折出, 以爲己食, 因仍成習, 遂爲古例. 臣願明飭列鎭, 痛禁徵布雇立, 以蘇水軍之防苦. 三曰, 重守令. 守令爲任, 所係甚重, 今之守令, 不過剝割殘民, 自爲身謀, 而私備軍糧, 別備軍器, 肆貪虐之手, 縱無厭之心, 餽遺絡繹, 嗚呼痛哉! 臣願自今, 凡守令, 極擇除拜. 四曰, 凡諸道監司, 必以剛直不畏者選任, 使之嚴加廉察, 從實黜陟, 時遣繡衣, 按檢列邑. 如有守令不治者, 而監司不爲處置者, 竝論以重律, 則紏察之方、激勵之道, 兩得之矣.'事據司啓目, '粘連啓下是白有亦. 閫帥之放軍徵布, 說者之稱其弊久矣. 一皆停革, 則豈不善哉! 而抑自前不能痛革者, 勢有所甚不得已, 則僅足以救目前之急可也. 而貪婪之輩, 恣意剝割, 一以爲封己之恣, 一以爲媚事之地. 軍卒之疾視長上, 皆由於此, 誠極痛惡. 若此之類, 隨現痛懲, 自有言人, 另加檢飭之意, 諸道觀察使處, 行會申明爲白齊. 沿海各鎭掊克之弊、水軍難堪之狀, 愈往愈甚, 所聞可駭. 一體痛禁之意, 諸道監、兵、水使處, 竝爲行會爲白齊. 重守令之說, 則凡其私備別備之貽害, 以至貪虐無厭饋遺絡繹之弊習, 論之盡矣. 爲該曹者, 擇其人, 爲監司者, 嚴殿最, 臺諫之論, 得其實, 則自當懲救爲白齊. 「擇監司, 可嚴加廉察, 遣繡衣, 可按檢列邑.」之說, 俱係切實爲白齊.' 崇德二年十月二十五日, 右承旨臣金霱次知, '啓, 「依允.」'敎事是去有等以. 敎旨內事意, 奉審施行向事. 合行云云."崇德二年十月 日.❶ 闕 : 저본에는 원문이 '干'으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0월 15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❷ 能 : 저본에는 원문이 '然'으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0월 15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❸ 啓目粘連 : 저본에는 원문이 누락되어 있으나, 전후의 문맥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❹ 可 : 저본에는 원문이 '何'로 되어 있으나, 전후의 문맥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❺ 可 : 저본에는 원문이 '何'로 되어 있으나, 전후의 문맥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❻ 依 : 저본에는 원문이 누락되어 있으나, 전후의 문맥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형조정랑(刑曹正郞) 손필대(孫必大)의 상소는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0월 15일에 수록되어 있으나, 비변사의 회계(回啓)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손필대의 상소에서는 9가지 사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였다. 저본에는 원문 '闕' 1자가 '干' 1자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0월 15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저본에는 원문 '能' 1자가 '然' 1자로 되어 있으나,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0월 15일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비변사의 관문에는 손필대의 상소 내용을 축약하여 옮기다 보니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구절들이 보인다. 그중 '군량(軍糧)을 사적으로 구비하고 군기(軍器)를 별도로 구비하며'의 원래 내용은 '〈수령들이〉 오래된 포흠(逋欠)은 거두어들일 생각을 하지 않고 도리어 군량을 사적으로 구비하며, 원래 비치해둔 군기는 수리를 하지 않고 군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일에만 힘쓰며'라고 되어 있고, '탐욕을 부리고 학대하는 수법을 마구 구사하고 만족할 줄 모르는 욕심을 실컷 부리며, 선물이 이어지니'의 원래 내용은 '전하께서는 백성을 측은하게 여겨 보살펴주시는 정치를 펼치고 계시나 수령들은 탐욕을 부리고 학대하는 수법을 마구 구사하고, 전하께서는 검약한 덕을 가지고 계시나 수령들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심을 실컷 부리며, 전하께서는 심지어 일상적인 반찬의 가짓수를 모두 줄이기까지 하셨으나 수령들은 선물이 이어집니다.'라고 되어 있다. 저본에는 원문 '啓目粘連' 4자가 누락되어 있으나, 전후의 문맥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洙泗言仁绿後 臼山先生嘗講論道理 每及仁說而嘆曰 近世學者 泛說求仁 而無眞實體行底工夫 故不能復心德之全 此提警李季潤金虞赞二友語也 而余在侍側 亦有所默喩者矣 余雖不敏 未嘗不欲事斯語 及先生之寓海山之間 下書有曰 顔冉樊遲問仁三章 子細玩繹 切實體行 以爲師弟 偕進之資也 余遂感極 而雖欲實體 己未易克而仁難復 則竊恐孤負先生親切付囑之至意矣 閒嘗類聚論孟庸學言仁處 編爲一冊 名曰洙泗言仁錄 卽南軒張子之所嘗編名者也 噫 學所以明理也 學不明 莫知仁之所以爲仁 而其所守所行 亦未免私意 故以學而時習爲篇首 儻不害於言仁之著題歟 私竊以爲 講明克己工夫 不爲利欲所拏 不爲異言所感 則庶幾復心德之全 己 未克 而利欲蔽前異言牽後 則仁不可終爲 而便陷於私欲矣 後之覽是書者 不可不知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精毅齋遺稿跋1) 有諸內者 必形乎外 觀其外則 內可知矣 其內也 敦厚而周愼 儉畧而節簡則 其外也 重毅而爲文也 精直少華 其內也 輕浮而躁疾 暴厲而誇獎則 其外也 肆敖2)而爲文也 滂沛富贍 人或以富贍爲美 而精直爲少 其昧乎 內外之辨也 審矣 向艮翁之値蠱上九 講學育英於旺華之間河腹 各充鍾鳴 隨叩人材蔚興 其以老成厚重 讜簡謹愼名者 精義齋李公也 顧余蔑學 亦與乎叩飮之列 同秉拂於三席之間 喩我以莊敬 掖我以謹信 其受賜 大矣 而遽然觀化矣 常懷不復蒙喩掖之賜日 公胤時澤 蒐輯其金玉爲二冊 將附棗梨 俾余相之奉讀 卒業詩過其半 而詩有離騷之意 文有菽粟之味 而精簡無篆鏤之餙 像想公平日厚愼節儉之儀則 宜乎有是3)精直之文也 何傷乎爲少書 此篇末 以寓驥蠅之願壬申夷則下澣 濟州 高東是 謹書 정서본에 "精毅齋私稿"로 나오는 것을 편의상 이렇게 "精毅齋遺稿"로 고쳤다. 정서본이 완성된 후 "外"를 이렇게 고친 흔적이 있다. "是"는 정서본이 완성된 후 누군가가 써넣은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丁酉年 月日 日記帳 己亥五月以後日記帳五月卄二日六百四十圓 白米四升価 完洙母卄六日 閏七月一日九百三十六圓 家屋稅 歲三四百圓出 區長持去 實八百四十四圓也六月一日苦草 二斤価 四百二十圓生苧 三斤価 千圓麻布 四尺価 五百二十圓 在龍處外上帒価 八十圓五日硫安 一叺価 三千八百圓蚊藥価 二百圓十三日白米 四升 六百二十圓十七日師親會費 二百圓卄一日髁麥一叺価 三千七百圓卄七日漢鍾고무履価 三百七月 三日生苧 三斤価 七百五十圓十日契金 二箇月 六百三十圓十三日軍警援護費 五百五十圓 朴憲慶持去사시価 二百五十圓帽子価 五十圓沔鹽二升価 百圓巡警家小祥弔問時 二百圓十五日鍾彦駄価 二百圓卄九日臺滿苧七斤価 二千圓八月 六日고무履価 五百圓成郞三甲草価 八十圓九日石魚一級価 六十圓巴山宅貸來錢 四百圓外上価草価 三十圓灰物価 十圓十一日米牟一斗三升価 六百五十圓粉価 百圓十四日正肉半斤価 三百圓石魚㱏給価 六十圓사시価 三百圓十六日忠州賻儀金 二百圓人村宅用卄四日石油一甁価 二百二十圓淸鹽二斤価 百圓成郞価 七十圓卄七日寫眞価 千六百圓米牟一叺価 四千七百圓草二甲価 百四十圓卄八九日里正稅 五百圓 朴憲慶九月 四日士凡 小祥時 百圓熺兒調査扶安五日변도価 四百圓鹽価 百五十圓十二日師親會費 三箇月 三百圓十五日고무履 巨伊価 六百五十圓鎌㱏柄価 百圓鹽価 五十圓皮磨子油工価 百四十圓十八日花井里金鍾泰弔問時賻儀金 二百圓卄一日豬肉価 四百圓草二封価 百二十圓葛五尾価 百八十圓滅魚価 百圓卄四日沙利大費 文成持去 三百圓 在百二十圓也卄五日고무履 二巨伊価 八百圓肥累価 五十圓淸鹽価 三百圓炭価 百五十圓卄六日壽源家賻儀金 三百圓 成三給十月六日石魚一給価 三百圓八日昌洙家濁酒一甁価 百四十圓九日展旁酒価一甁 百四十圓鍾甲酒価三甁価 四百二十圓在喆雇 二名 八百圓十日鍾子盖屋時 二名雇価 二千圓草二封価 百圓十三日趙淵奎竹価 三千五百六十圓 內 二千圓來十四草封二価 百圓十五日成郎一桶価 七十圓石油一甁価 二百六十圓木下新成宅貸米 二十二斤半給十六日元淑裳価 八百圓藥価 二百圓白木価 三百五十圓十九日師親會費 二箇月 二百淸鹽五十斤価 一千三百圓白鹽価 四百圓卄日學校軍人切手 四十圓白露価 二十圓卄一日永允出軍時路子 三百圓卄六日太二斗三升価 二千四百圓고무履価 五百圓角帶価 三百圓釖価 三十圓月㧧眞㧧二 百九十圓鹽徦 百五十圓鎰衡女兒婚姻時上衣価 六百圓卄九日茂長車費 七百五十圓十一月 五日車費高敞茂長 二百九十圓龍岩祠儒契金 千圓內在五百圓也十三日盧楏煥大人弔問時 百圓卄二日廣木 三尺価 四百二十圓庚淑 下裳 価七尺 二千圓戶籍騰本費 四百圓書留費 百圓珪洙路子 二百圓三十日張漢培月曆代 百圓李宅色租未報條 三石蓼村宅 木中 一石十二月 二日生郞価 六十圓四日國民寶鑑一卷価 千五百圓六日茂長金在煥 路子 五百圓七日産藿四片価 八百五十圓白露紙価 六十圓成郞肥累 百圓錢一尺五寸価 三百圓卄八日祭需錢 三千圓三百三十圓庚子 正月 卄五日 祭需錢記巴山宅 祭需錢 三百圓來祭需錢 千三百三十圓杏丁宅 白米 二升來人村宅 白米 四升來二十九日靑苧三斤価 千五十圓廣木五尺価 五百五十圓五學年冊四卷価 二百八十圓絲価 百五十圓契金 三百圓二月 二日鄕校路子 百七十遠里政稅 七百五十圓 憲慶持去鄕校酒価 三百圓師親會費 二箇月 二百圓冊価 百圓卄一日祭需錢 七百圓後洞畓 初耕 姜大九牛鍾甲家酒一升半価 百五十圓卄二日瑶玉洞畓四落初耕 姜大九牛鍾甲酒価 一升 五十圓卄三日茂長査家小祥賻儀金 千百圓三月九日祭需錢 千八百圓十六日淸鹽五十斤価 千三百圓廣木二尺価 三百六十圓사씨価 三百圓砂利代 四百九十圓 文成給卄一日床価 千八百圓卄六日廣木十尺 千三百圓又 十七尺 二千圓五月一日二千二百圓內 廣木価 千三百圓雜費 四百七十圓 軍警援護會費四百三十圓四月 三日高敞儒林契錢 五百圓 柳浩錫給四日軍警援護費 四百三十圓 憲慶持去五日大順家酒価 二百十圓內百圓給六日在龍廣木十尺 千三百在百圓卄四日杏丁宅米牟一斗価 九百圓 外上又 杏丁宅米牟 二升価 二百二十圓 外上又 太二升価 三百圓 外上四月二十六日垈地稅 四百七十圓 汶成持去五月二日酒幕酒価 百十圓六日師親會費 百圓又雜費 五十圓九日酒幕酒価 百四十圓草㱏甲価 六十圓十六日筆一柄価 二百圓十八日漢鍾고무靴価 二百八十圓十九日饌価 五百圓又雜費 六百圓卄五日酒幕 五百圓也卄七日初芸時草価 百二十圓酒価 二百四十圓 六月八日給裳衣五件価 五千三百草価 六十圓白鹽一升価 五十圓卅日◈◈玉燭散三貼価 三百六十圓六月 八日農◈価 百六十圓草四匣価 二百二十圓鹽二升価 百圓沙鰕鹽一器価 百六十圓外上酒価 二百五十圓九日査丁宅白米一升外上 二百十圓十日再芸時燒酒価 大姪家 二百五十圓 卅日給十八日◈価 百圓饌価 二百六十圓외価 五十圓成郎一桶価羅伊他石 九十圓太四升価 六百圓蕎麥二升価 二百圓卄二日鉛筆十二柄価 三百圓卄三日白米三升価 六百九十圓米牟九升価 五百四十圓靑苧十一斤価 三千二百圓더덕価 百圓葛魚四尾 百七十圓醋価 五十圓滅魚価 五十圓手巾三件価 二百五十圓米牟一斗価 前買 五百五十圓卄五日四芸時燒酒価 外上 二百五十圓 卅日給炳學子水死時義金 百圓卅日師親會費 二百圓六月三日家屋稅 八百四十四圓 文成持去 四百圓 鍾培當滅吳藥 베데싸土封価 千百圓葛魚価 百五十圓路子 百圓白露紙価 八十圓사씨価 百四十圓十四日重油一甁価 百五十圓成郎㱏桶価 七十圓肥累価 五十圓白鹽価 百四十圓卄三日大統領 尹潽善氏就卽位七月十一日고무履価 三百五十圓順女藥価 三百圓成郎価 七十圓鹽価 二百圓十五日鄕校路子來往 三百圓十九日고무履価 元鍾 六百圓魚価 百五十圓卄一日朴{沃/土}根泰洙來時酒価 二百圓 大順外上路子 五百圓努働服価 六百圓卅日加味藿香正氣散二帖価 三百圓 崔局八月二日人蔘一兩五戔重価 一千百圓九日人村宅 一千五百圓報給米牟六斗価 三千六百圓饌価 五百圓海菜 百五十圓松炭価 五十圓白米六斗放用 八千四百圓用六日師親會費 百圓冊価 百十圓十一日布一升価 二百十圓林檎価 梨価 百五十圓漢鍾服価 千五百圓사시二件価 五百圓上淑裳価 五百圓十九日油洞觀善次路子 五百圓九月 一日漢鍾師親會費 百圓化粧品 千百三十圓六日苦草三斤価 二千百圓고무신価 五百圓七日고草二斤 千四百圓나니타改修工価 七十圓나니타石人価 三千圓고무신価 四百五十圓又 五十圓冊価 五十圓炭価 五十圓白米六斗放用 八千四百圓用十七日洋灰一斤価 百圓色絲価 二百圓十八日漢鍾冊価 三百五十圓蒼水洞擇日送時路子 二百圓卄日鍾現路子 三百圓卄三日大蒜㱏接 三百圓卄四日金泰鉉弔問時 百圓冊褓二件価 二百圓卅日大學年冊三卷価 百五十圓十月二日五合箱子 千百圓四斗落三十三負打租十八叺出內八叺杏丁宅去七日師親會費 百圓淸鹽一叺価 二千二百圓十四日外上貸付肥料価 二千三百三千六圓 文成持去化粧品 五百六十圓褥감 八百圓사시 六百五十圓廣木四尺 五百六十圓色絲価 二百圓廣木絲価 四百圓黑色物価 二百圓月梳価 百圓사시元 又漢 千三百圓신価 四百圓卄日新基里弔問時賻儀金 三百圓卄八日赤斗一升 百七十圓色絲価 百圓十一月 五日師親會費 十一月 辛一月 一二箇月 二百圓솟솔 百圓白露紙 七十圓十二日石油価 三百圓十一月 二十二日 玄米皮實 百二十斤 良洙貸去豆腐四方価 百二十圓給卄七日大順酒価 三百四十圓十二月十四日赤十字會費 二百二十圓 洪成持去卄五日笠子◈価 四百圓人村宅給栗一升価 三百圓卄八日婚席㱏立価 一千六百圓高敞興德星內面橋洞高光漢女甲戌生十一月十五日巳時生高敞所聲面春水里全州李哥버줄宅女庚辰八月七日午時生蒼水洞人夫來時酒価 百圓蒼水洞人夫來時路子 二百圓卄九日고무靴三巨伊価 千六百圓洋襪二巨伊価 千二百圓石魚価 五百圓辛丑年正月 六日子婦親家去時路子 七百圓給十日四物湯一劑価 千五百圓師親會費 百圓十二日밥바구리価 然奎處 五百圓卄日庚淑去時淸酒一甁価 三百五十圓卄六日蓋屋時朴成安雇価 八百圓卅日衣服価 壹阡三百圓色絲価 五十圓二月四日師親會費 旧三月卄日地圖冊価 二百九十圓九日來大根価 百圓十日沙利代 五百圓海衣価 二百五十圓浮価七十圓饌価 二百圓愚東宅貸錢 六百圓十九日艮齋先生襄奉時賻儀金 一千圓玄洞來往路資 一千百圓全州顧齋弔問 二百圓卄日臨海金在俊大夫人初喪時賻儀 千圓三月六日新里盧允京夫人大祥時 百圓江古金元亨大人初喪時 三百圓木中田在淇祖母大祥時 五百圓卄六日師親會費 百圓卄七日고무신二巨伊価 九百圓調価輝發油 五百圓무아기価 三百圓빤써価 百五十圓蒼水洞在善來時酒価 二百圓蒼水洞在善來時路子 二百圓四月十二日帽子価 八十圓띰藥価 二百六十圓調工価 百圓◈価 百六十圓成郎価 肥累 羅伊他石 百四十圓十四日師親會費 百圓十六日網巾価 二千五百圓肥料九叺価 白米一叺四斗三耕時酒三斤価 三百圓卄一日瑶玉洞四斗落三耕時酒価 二百圓卄三日葛魚 石魚 六百五十圓解虫価 百五十圓眞荏価 百圓鹽価 百五十圓佐飯価 六十圓五月七日鍾培鍾祥出征時路費 千圓九日全州付書時切手価 四十圓十五日家屋稅 八百五十圓十八日 陰六月卄九日登錄時戶籍抄本手料 百圓五月卄九日龍回宅移種時雇価 三百圓給在三百圓木下宅移種時雇価 六百圓鄕洞宅移種時雇価 三百圓長橋宅移種時雇価 二百五十圓在升家고무신価 三百圓古等魚三尾価 二百圓肥累烟草紙価 百圓外上価 四百圓卅日龍回宅雇価在錢 三百圓給六月初三日元鍾身體檢査時全州路資 二千圓四日蚊布三尺価 百圓沙鰕鹽価 二百圓漢鍾下衣価 四百圓成郎二角 灰物 二十圓大順家酒価 七升七百圓 燒酒二百圓 合九百圓九日裳布布二件価 阡五百圓石油価 百圓燒酒五合価 展方 二百五十圓給又宗基燒酒価 二百五十圓 外上卄日揮發油価 百圓다마내기 五十圓白露紙 価 六十圓肥累価 五十圓고무履価 二百圓豬肉二斤価 七百圓卄三日鍾祥付書時切手価 四十圓卄四日肥料駄費餘錢吉同處 百圓七月四日雨傘価 二百五十圓茂長付書時切手価 四十圓六日各項用錢 一千六百圓鍾漢報給錢 四百圓八月二日釋奠大祭路子 百六十圓 百五十圓 朴在彦二日歸嫁時路子 百八十圓 族姪 德三當了昌水洞付時切手 四十圓草価 五十圓十一日石堤李鍾錫氏小祥 百圓九月一日加味五積散六貼価 三千圓又感氣藥二貼 二百圓六學年二期冊四卷価 四百七十圓洋藥価腫氣 二百圓十二日桶政修工価 질통 千圓桶政修坐桶 二介 오백圓全州付書時切手価 四十圓十八日豬肉二斤価 八百圓藥酒価 五百圓酒価 四百圓葛魚三尾価 二百圓卄一日匙筋二單価 千二百五十圓卄九日分家申請時 二百五十圓 鍾培用十月四日全州付書切手価 四十圓揚水박価 二百五十圓홑태価 三千圓 二十九日報六日鍾一雇価 三百圓漢鍾冊価 百五十圓菜種価 百五十圓十五日新基里金石潤大夫人小祥時賻儀金 五百圓淸鹽半叺価 千四百圓十九日揮發油価 五十圓족계価 千圓고무신価 五百■五十圓卄二日陽前坪水稅收稅合 八千五百圓卄八日後坪七斗落收得稅 一萬千九百七十圓肥料価 七千七百圓立稻先賣次資金五叺価 萬五千五百圓鹽価 千四百圓沙利代米価 二百五十圓巴山宅收得稅 五千九百八十圓菜種価 三百圓杏丁宅田稅 太五斗代租 七斗五升種子並利五斗 七斗五升卄三日鹽五十斤価 一千五百圓卄四日고무신価 三百八十圓成郎価 八十圓鐵鼎価 七魄圓叺바드価 千圓卄五日崔炯魯藥価 二千二百圓卒業寫眞代 九百圓三十日軍警費 八百圓十一月一日二淑上衣一件価 千四百圓四日함석동우価 八百圓사씨価 七百五十圓石油㱏甁価 二百四十圓족기価外上価 千圓七日外上酒価 豬肉一斤価 五百圓九日木中蓼村宅昏助金 五百圓子婦債金 本錢二千八百圓 四千六百圓報鷄藥価 二百圓족계価 元鍾 千五百圓狗価 二千圓싸씨価 漢鍾 六百圓玉洋木二尺価 六百圓宗洛女兒上衣 六百圓錢三尺価 九百圓十四日 家庭不平海里付書時切手 四十圓本村宅小祥時賻儀金 三百圓十五日木中豬肉二斤半価租 十五斤十二月元鍾宅陽李時玉大祥時 五百千圓淳昌宅道伊山去時 百圓人村宅婚姻時助金 二千圓卄二日筆五柄価 五百圓十一月二十九日朴鍾鎬大夫人初喪時賻儀金 二百圓成郎価 八十圓滄水洞金在喆路子 五百圓十二月一日洋服価 千三百圓金在喆路資 五百圓二日族孫根洙祖母杜氏初喪時賻儀金 二百圓十一日金吉東肥料代 白米一叺二斗 又二十斤에 利子 合三十斤部落大同契 白米 六斗金在仁契 白米 一叺宋漢福氏 一叺三斗出賣租 十一叺賭租七斗落 五叺學校租 七十二斤二日年曆価 百圓卄八日杏丁宅色租白米 四叺 報 在九叺六斗五升姜大九牛稅 五斗 租四斗五升里政稅 一斗二升月川宅牛稅 七斗五升杏丁宅 白米 四叺報 在九叺六斗五升三十日삿시上下衣価 二千圓洋燭㱏匣価 二百圓果實 六百圓石油㱏甁価 二百五十圓成郎㱏桶価 百圓海菜価 百圓洋襪二巨伊価 千百圓絲価 百圓饌価 千二百圓蔥価 五十圓黑色物価 百圓豆腐一方価 五十圓合計 五千八百五十圓也壬寅年正月二十五日豆腐一方 五十圓洪魚一尾価 二百圓石魚㱏束 四百圓果實 二百四十圓束次栗 百圓滅魚 百圓菓子 百圓豬肉一斤 四百五十圓酒価 百圓卄九日木中禎德小祥基賻儀 二百圓二月六日石油㱏甁価 二百二十圓七日正氣散二貼価 二百圓十日高敞柳斯文弔問時賻儀金 五百圓元鍾妻母小祥賻儀金 千圓子婦路子 二千圓十六日成郎価 八十圓揮發油価 百圓灰物価 百圓廣木四尺価 七百二十圓唐木絲価 百八十圓葛魚価 百五十圓崔正氣散二帖価 二百圓蜈蚣価十尾 二百十七日蓋屋時草価 五十圓酒価一升 前店 百圓又一升 前店 百圓鍾自雇価 千圓鍾培卄二日葱価 二千圓滅魚価 百圓草二匣価 百圓感寒洋藥価二十介 百圓卄三日林里姪婦路資 二百圓沙利代 二千圓 鍾培가里長계給卄五日家屋垈地消方稅三合 二千百五十四圓 鍾漢持去杏丁宅新行時義金 五百圓三月三日江古里金元亨家小祥時賻儀 二百圓七日人村宅石魚㱏束価 八百圓來泰洙祭需錢 二千圓來棗栗価 五百圓海衣 二百三十圓梨価 百三十圓果實価 千圓常魚価 六百圓石魚五尾 九百五十圓菜蔬 百四十圓酒価 二百圓沙鰕価 二百圓豬肉一斤 五百圓十一日栢浦崔墀洪価大祥賻儀金 二百圓草価 五十圓前坪耕地時康萬酒価 百圓十五日 白米二叺価三萬四十圓也豬肉価 五千四百圓棗価 八百五十圓 二.五百圓 授羅伊타石価 卄二日 五十圓卄三日漢鍾고무신価 三百圓卄七日二叔고무신 漢鍾運動靴 八百圓쑥떡布三尺 七百五十圓玉洋木三尺 七百五十圓廣木五尺 千圓솟솔 五圓中學冊価 千五十圓鉅価 二百圓四月 四日南山車費 二百圓七日車費甘橋 百五十圓고무신価 五百五十圓八日鎌㱏介価 二百圓元鍾上衣 四百圓漢鍾上衣 三百圓잠방이 百八十圓고초四斤買価 一千三百三十圓◈油짼工価 百六十圓九日後洞耕畓時酒価 百八十圓 大順家外上草価 百圓前坪耕畓時酒価 百八十圓學校敎師來時 百八十圓十日前坪耕畓時酒価 九十圓 一升十二日漢鍾紙価 三十圓十三日石油一甁価 二百三十圓十九日白米一叺色租新成宅出來 肥料価二萬圓內作錢萬七千五百圓給里長宗漢給後洞三耕時酒価 百八十圓卄二日미역価 十里谷宅 二百圓卄六日漢鍾사진価 二百圓 梅谷宅取來蛛谷理柳浩錫家弔問賻儀五百圓卄八日代錢酒店 二百圓 酒価都合 五百三十圓 五百三十圓給在三百圓也五月一日倭幼価 二十圓成郎価 二十圓二日帽子価 百圓甘藷一斗 水南宅 米彼二斗賣上 七百五十圓後洞써레時酒価 百八十圓 五月十日元兒給三日葛魚価 五百圓蟹価 三百圓滅魚価 百圓鐵釘価 百圓紙価 百圓芹菜価 二百圓六日寫眞価 漢鍾 八十圓十五日成郎㱏桶価 七圓白露紙二丈 三圓壬寅肥料外上貸付記陽三月八日硫安十一瓩 九百四十三圓重過石十瓩要腴素六瓩 九百三十八圓稍安七瓩鹽安八瓩卄五日硫安七瓩 過石 三十六瓩 鹽可十五瓩 敍培前陽五月三十一日要所三包十七日元鍾出征時路子 四百七十圓고무신二巨伊価 六十圓十八日황충어리価 八十圓陽六月卄三日重過石半叺 政府與卄五日前坪初芸酒価二升価 十八圓 前店午前三升 午后後洞初芸 二十四圓卅日高敞車費 二十圓 李三圭當茂長車費 十三圓 劉永萬當海里至高敞 二十圓 茁浦 二十三圓 金在煥當六月八日硫安肥料 二十六斤 鍾培貸去九日元兒答書時切手価 四圓十三日金在喆答書切手価 四圓封吐価十八日在喆答書時切手価 四圓元鍾答書時切手価 二圓滅魚藥価㱏甁価 二十圓農饌兵魚㱏米価 六十圓封草二封価 十五圓成郎価 二圓卄日고무신二巨伊価 四十圓衣価六件価 二十圓卄五日瑛洙衣価 十六圓下西省墓時來往車費 三十圓洪鍾煥路子 十圓當七月二日全州付書時切手 四圓七日成郎㱏桶価 七圓滅◈藥린뎅二甁価 百四十圓八日前店酒価 二百圓給人夫二十名雇価 㱏阡二百圓 鍾培給瑛洙生産申告費 十圓 鍾漢給十日삭가리価 一圓二淑裳나닐웅一벌価 二百圓杏丁宅불무기貸 二十圓十一日崔局加味臭散二貼価 四十圓 外上金泰均家燒酒価 二十圓 七月十八日給十九日聖德小麥碎粉工価 二十二圓杏丁宅불무기費 二十圓卄日奇宇列家菜釋価 八十圓內三十圓給在五十圓也 八月十九日五十圓給卄二日元兒付時切手 四圓卄七日鎌二加洛価 四十二圓紙価 百四十二圓二淑上衣価 二百圓 外上綿三斤工価 十八圓揮發油 十圓米牟二斗価 二百二十圓八月三日고무신価 四十圓石油㱏甁価 二十圓十日錢魚一級価 二十圓十三日漢鍾고무신価 二巨伊 五十圓瑛洙쌧써価 漢鍾二 四十圓石魚一束価 五十圓十四日全州單衣上下一件來封草六封 來海藿価 二十圓外上蠶種二種子価 十二圓卄三日瑛洙寫眞工価 四十圓九月五日崔藥局四物湯二劑価 百六十圓 外上 十一月二十日給廣木十三尺価 三十圓九日훵새목낫価 二十五圓 二百五十圓廣木三尺価 六十圓鹽価 十圓十八日鹽一叺価 二百五十圓人絹上衣一件価 六十圓玉洋木上衣価 六十圓廣木五尺価 百圓卄四日麥作肥料価 四百七十四圓 四百圓在七十四圓 鍾培處貸錢四百圓也卄五日石油価 二十圓卄八日月㦊駄価 十圓金成八妻喪賻儀金 十圓十月六日元兒付書時切手価 四圓前坪稻六十九負四束也十四日前店酒価 百四十二圓 白米一斗給十五日新基里金石潤家大祥 五十圓十九日白玆三大人大祥助金 十圓二十六日 先妣葬禮時用記果實価 四十圓麻布三尺価 六十五圓葛魚㱏束価 四十圓石魚㱏束価 四十圓卄二日前坪畓稻六十九負四束後洞畓畓七十四負前坪收稻時豬肉一斤卄六日改葬時人夫鍾培鍾祥鍾現鍾默仁基龍基鍾甲鉉浩地師崔命烈酒二斗六升卄九日成朗㱏桶価 十圓鹽価 八十圓生◈半斤価 十五圓全州付書切手価 四圓十一月二日收得稅 一千三百一圓三日鍾培處貸錢四百圓也 三百圓給在百圓也八日全州付書切手価 四圓十日元兒付書時切手価 四圓瑛洙사씨価 五十圓 十一月一日給松鶴竹一巨伊 九十圓內二十圓在龍給十六日漢鍾신価 四十圓 外上鍮器食器価 三百三十圓 外上十七日東然雇価四名 二百四十圓十九日白米一叺価 一千七百八十圓炳太雇価 六十圓鍾玹二名半雇価 百五十圓組合租 一石価 六百二十圓鍾默二名雇価 百二十圓鍾祥二名雇価 百五十圓改葬時酒自 二百圓鍾培雇一名半 九十圓卄四日石油㱏甁価 二十圓本村宅大祥 鷄卵十介止止浦宅女昏 鷄卵十介二述子昏 鷄卵十介東演子 鷄卵十介朴鍾浩家小祥 鷄卵十卄五日年曆価 十圓草価 六圓卄八日鍾默사씨価 百十圓卄九日蓋屋時曺福同雇価 百圓蓋屋時曺福用雇価三名 百八十圓東鉉雇価先下 百圓豆腐二方価 十圓滅魚価 十圓三十一康萬저리価 租一叺十五斤十二月 一日在仁져리価 租㱏叺 묵시五叺二十斤良洙家租 三十一叺去根洙家小祥 鷄卵十介二日千石雇価 六十圓賢用雇価 六十圓二南雇価 六十圓東玹雇価三名 二百四十圓肥料価㱏租 二叺五十斤 完了四日洋燭㱏甲価 杏山宅初喪時 十圓契推斂錢 四十圓六日安京會妻大祥 二十圓十二日元兒未納切手価 八圓前店酒二升価 二十圓卄二日成朗㱏桶価 九圓色絲価 六圓揮發油価 五圓切手価 四圓唐木絲価 五圓卄五日고무신価 瑛洙姨母 三十五圓癸卯正月九日山內面馬上峙宋漢楚家大祥賻儀金 十圓癸卯正月九日宋炯植家弔問代 十圓卄日區長肥料価餘条 七十四圓給喜順債金 七十五圓卄二日全州金坰達路子 二十圓卄九日仁洙大祥賻儀金 二十圓양작이価 六十五圓卄四日石油価 二十圓酒価 二十圓海衣価 二十五圓栗価 十圓豆腐価 十圓卄八日金熙炳色租白米 一叺四斗給三十日前報料 工兵中大將元兒 四十九圓卄八日吉同駄価 三十圓二月四日家屋貸 一百七十五圓雜費餘条 五圓展方 外上 四十圓龍成宅酒家 三十圓五日宋漢朴色租白米 一叺利子四斗六十斤七日子婦親家去時路子 七十七圓十二日從姪婦李氏小祥時鷄卵十介 又白米二升十六日秋基先叺子八介価 一百七十六圓 捧元兒來十七日海里金在煥付書切手価 四圓燒酒価 三十圓菓子価 二十圓豬肉価 二月卄一日給大順 百四十圓奉費 二十八圓洋燭価 三十圓加沙価 二十五圓海衣価 二十五圓唐木絲価 十圓十日고무신価 三十五圓또뽑기価 二十二圓卄一日元鍾還隊時路子 四百圓卄三日崔秉喆家弔問時賻儀金 二十圓卄六日洋鐵盆改工価 四十圓卄一日新成宅豬肉価 百四十圓給海里金在煥付書時切手価 四圓三月四日石溪丈大祥賻儀金 三十圓다이싱価 紅蔘藥 三十五圓林樆 四圓八日豬肉二斤価 八十圓 外上石魚五尾 人村宅常魚一尾 巴山宅漢完理髮料 五圓十三日鑛耳価 五十圓田鋤三介価 六十圓石油価 二十圓又 六圓廣木価 百六十圓 外上四月三日廣木六尺価 二石二十圓沙鰕鹽価葱価 三十圓切手 昌水洞付書時 四圓洋灰物価 三圓마니승価 三十五圓人蔘価 百圓漢鍾고무신価 三十圓眞油二種子価 四十圓麥二斗価 五百圓五日硫安価 里長持去 七十一圓 在一圓七日前店酒価 三十圓八日白米七升価 米三升価 三百圓十五日草価 十二圓蓋庫時曺朴同一名吉同姪兄弟來卄日元兒答書時切手価 四圓閏四月十日肥料 四叺 外上來硫安 二叺 配合 二叺 合四叺也閏四月十七日移秧時斗玉雇価 八十圓又伊南雇価 八十圓酒価 五升中里宅 五十圓酒価 月燁六升価 六十圓農饌価 六十四圓移秧 一千五百十六坪 雇価 六百六十圓五月一日鍾兒付書時切手 四圓고무신価 六十圓唐木絲価 二十圓煇發価 十圓淸鹽価 二十圓고무繩 十圓鍾現雇価 六十圓六月一日初芸時永允四同雇価 百六十圓鍾玹 鍾祥 雇価 未給四日再耘人夫七名 五百六十圓白米四升家 二百十二圓葛魚価 八十圓草価 十二圓三日廣州付書時切手 四圓酒価午前 二升 二十圓七日新成宅含軍一柄価 十圓十一日下西省墓時路資 二十圓駄価 肥料 四叺 五十七圓眞末駄価 十三圓고무신二巨伊価 九十圓也三十圓 未給滅魚藥油二甁 三十六圓十四日鍾培白米一斗 來十四日瑛洙外家去路子 百圓十七日答元兒 切手価 五圓瑛洙삿시価 三十圓冊袱価 二十圓七月一日二淑寫眞価 七十圓鍾奎答書切手 五圓登記十圓四日昌水洞奉奎來時酒価 二十圓十一日完洙全州去時車費 戶籍抄本 七十二圓 庚兒婚姻申告也漢鍾母子戶籍抄本持去車費 二十八圓十四日二淑上下衣価 二百五十圓十九日鍾奎付書時切手 五圓人蔘価 三十圓昌水洞外家衣上下衣価 五十圓淳昌宅山內來時路子 二十四圓二淑裳衣価 百七十圓封吐価 十五圓肥累価 十圓二十四日白木五(八)尺価 八十圓 百圓唐木五尺価 百圓果◈六尺価 七十八圓葛魚㱏束 二十八圓石魚一級価 十圓洋灰物価 五圓鹽価 五圓八月八日朴氏譜錢 二千圓來千圓鍾默給九日元兒付書時切手価 四圓衾価 요価 四百四十圓고무履 三巨伊価 百八十圓海藿価 二十五圓洋蔑二巨伊価 百圓栗一升価 四十圓石魚一束 兵魚三尾 百五十圓葛魚一束価 四十圓成朗 十圓唐木絲価 三十圓十四日長兒錢 三百圓來沙利代十四箱半額 八十圓四圓十六日菜藥価 十五圓卄四日答鍾奎切手 四圓答元兒切手 四圓九月一日肥料価 二百五十六圓 永植持去五日鍾奎付書時切手価 四圓鍾珍付書衾価 衾袱価 二百二十圓也 在百八十圓肥累価 二十圓十一日甘藷三叺 六百八十圓也 硫安一叺価 六百十圓給 在二二百圓全州 京 軍 三處付書切手 十二圓昌水洞金在喆付書切手 四圓十三日後洞刈稻上家子婦來十七日在龍處廣木一匹価 千三百五十圓 外上灰物価 十圓홧대 袱価 井邑女子 二百五十圓十八日삿씨十里洞宅 二百六十圓삿씨花田宅 二百三十圓卄五日收稻時雇軍記金在哲 金炳太 趙千石 鍾玄京戴道 廣州郡中部面壽進里文忠鎬子文太奉査돈文忠鎬甲辰十一月十九日生文太奉壬午生十月十七日廣州五人路資 三千圓又 二千圓二十日木中宅興植家弔問賻儀金又 二十圓鹽価半叺価 三百圓 駄価十五圓井邑車費五人 九十圓京城車費 八百六十圓廣州車費 百十圓路子 八十圓酒価五桶 八百圓各項費用 八百圓又 五百圓洗水盤 百九十圓洋襪六八巨伊 六百五十圓可放価 二百五十圓車費 五百六十圓十月卄九日收得費 一千八百五十二圓租四叺檢査費 八圓駄価肥料価東連 八十圓東之雇価 八十圓 又 八十圓止止浦宅雇価 八十圓斗玉雇価 八十圓朴龍雇価 二名 百六十圓千植雇価 八十圓福同雇 二百圓草価 六圓立石宅明紬五尺価 百五十圓十二月二十八日卄九日金鳳奎氏路子 百圓金在環路子 百圓崔炯魯人蔘 一兩重來崔炯魯藥価 四百圓漢師洋服価 五百圓果實 二百十圓菓子 六十圓洋燭価 四十五圓海一◈ 四十圓葱 五十圓洋藥 六十圓元兒去時路子 二百圓 又 二百圓在喆路子 二百圓甲辰正月九日升葛湯三貼価 茁浦崔局 九十圓十四日鎖価 菓子価 三十圓十九日齒磨粉価 十圓卄日元兒付書 二兒付書 切手 八圓崔局藥価餘錢 十圓給李尙根弔問賻儀金 四十圓 花田洞栗価 十五圓棗価 十五圓梨価 二十圓林樆価 二十圓眞油価 三十圓乾柿一串価 三十圓卄五靈信丸価 九圓卄九日漢鍾削髮料 七圓盧奎源弔問賻儀 二十圓陽三月卄日家屋世 百五十七圓 朴尙根給二月八日瑛洙病院藥価 二百圓 外上卄四日十日肥料価 百二十圓 外上淳昌宅藥三貼 外上 九十圓 卄四日十一日淸鹽七斤価 二十八圓十四日二淑付書切手 四圓十七日生沙鰕一升価 二十圓十九日貸與米駄価 二十圓石油㱏甁価 三十圓石魚価 七十圓崔炯魯藥価 百圓牟佐飯価 三十圓海衣五十張価 三十圓林樆価 十圓沿筆価貸與米駄価 二十圓水郞宅貸來石油㱏甁 三十圓卄九日成朗価 十五圓徐正燮饌価 五十圓三月二日初耕時卷煙価 六圓酒価 三十圓 卽給五日人蔘一兩重 百圓水蔘価五戔重 五十圓 又五戔重価 五十圓六日元兒付書切手 四圓心止価 五圓七日高敞郡古水面獐頭里朴炳現 字允玉 密陽人 辛巳生 八十四歲八日祭需米杏丁宅 白米二升人村宅 白米二升 眞米一升完洙 白米一升 又 豬肉半斤巴山宅生石魚五尾 百圓長兒 來十六日答金在喆付書時切手 四圓理髮料 七圓秧板肥料十五斤 百十八圓來 在八圓十七日再耕時酒価 大順家 三十圓外上又午后 十五圓十九日全州申㱏叺 三千必百圓全州白米㱏叺來 錢四千五百圓也淳昌宅昌水洞路子 三十圓卄五日裳価 百五十圓絲価 十圓卄九日答元兒書切手価 四月卅一日石油㱏甁価 四十圓子婦고무신価 五十圓唐木絲価 十願徐正燮貸來錢 百圓給路子 五月鍾現雇価二名半 二百圓給永允 雇価 八十圓給朴松來工価餘条 九百圓四月一日金炳鎬代錢 百圓給里長爲先 二百圓給十日鄕校路子新來宅 二人 四十四圓草価價 六圓菓子価 十圓來時 路子 四十四圓 門中十五日診斷書料金 五十圓電報料 五十圓 四十九圓鎌一柄価 三十五圓礪石価 十五圓李在龍 玉洋木 二尺 喜賜十八日帽子価 十圓卄二日花井里 小祥時 賻儀金 百圓卄四日成郞価 十七圓卄七日三耕時酒價 二升 四十圓 外上五月二日漢鍾고무신価 六十圓也 三十圓在也 □□六日生日全州次孫德洙饌価 二百圓來八日吉童處貸錢 百圓報給十日答元兒切手価 四圓十二日容萬雇価 移種時 百二十圓鍾祥 鍾黙 未給十一日楨仁水死政府賜金 五百圓, 卵新學校敎師金 百圓 六百圓來″ ″ 二名十七日初耘時硫安一叺 過石 一叺 合二叺 外上區長持來鍾現 鍾黙 童春 三名農饌価 五十五圓卄二日淳昌宅고무신価 七十五圓成郞価烟子価 二十圓農藥三甁 除草価 二百十圓答順女木浦切手 四圓卄四日全州去路子 七十圓六月十二日全州來路 長兒當 七十圓十四日昌泳路子 三十五圓고무신価 二巨価 百六十圓藥価 三十圓塩価 三十五圓신価子婦 六十五圓絲一斤価 百四十圓卄五日元兒歸隊時路子 二百五十圓給又 六十圓鷄価 七介七月四日二淑付書切手 四圓臺滿苧二斤価 百二十圓六日漢鍾굿본싹 三十圓九日子婦上衣価, 淳昌宅上衣 : 井邑七人 外上 三百三十圓石油価 三十圓塩価 四十圓白米一升価 賣価 二百九十圓 來十日二叔家去時車費 二百十六圓″ 來時 ″ 二百十六圓 四百三十二圓卄八日答元兒切手 四圓八月十一日廣州付書切手 四圓井邑女子外上価 二百五十圓給 在八十圓十四日漢鍾猪肉一斤 八十圓巴山宅正閱一魂來上家子婦白米 三升持來長兒正肉一斤海魚一尾 持來十八日新米一斗価 甫玄子婦 三百五十圓 來十九日子婦高敞去時路子 百圓九月一日成郞価 十圓烟草価 十圓葛魚 五十圓塩価 三十圓柿価 十圓乾柿 三接 石堤宅 一接吉同一接 □川 一接□山宅 一接福同 二接五日沙利土箱子 百六十五圓 在五圓萬姓譜価 二百圓 大田朴聖洛封草価 六圓八日朴壽根死亡時 百圓十九日淸塩一叺 四百八十圓駄価 二十圓卄六日答元兒切手 四圓封草価 六圓酒価 七十圓猪肉一斤 八合価 百六十圓稻入荷人夫記永允 百二十圓鍾黙 百二十圓元述 百二十圓永植 百二十圓卄七日石油価 三十五圓고무신二巨伊 百五圓衣服価 百三十圓삿시사価 百三十圓十月六日金大亨갈크価 五十圓十三日牛坤子 六斤価 二百七十圓草六封価 三十六圓蔥価 十圓成郞価 十圓葛魚八尾 百圓蒜価 二十圓干 一斤 十圓味元 十圓塩価 百五十圓白米 二斗価 六百四十六圓十四日金洛雄家大祥時 三十圓十五日 門生契時酒価 七十圓新來宅酒価 七十圓下記 四百十七圓十六日瑛洙菓子価 十圓卄日花井大祥時賻儀 五十圓卄三日白鐵鼎一介価 三百圓褥衣 価 三百圓外上肥料二叺価 九百五十圓肥料現物価 九百三十九圓部落改衡工価 六十圓白米一叺駄価 四十圓白米一叺価 三千五十圓 來卄四日道山金日西初喪時賻儀金 三十圓姜大九子仁基新行時 五十圓 又十三圓卄九日收得稅一叺三十七 kg十日月四日月谷外從嫂去路子 四十圓宋斗女兒昏姻時 七十圓六日答元兒切手 四圓十三日石油価 四十圓釰価 四十五圓十五日門中賭租 六百五十斤大九畓耕価 百三十斤契租自當 百斤杏丁宅田稅 百斤去年賭租 五百斤 合十一叺 五斗完了新旧合一千一百五十斤完了十八日火順宅白米四斗利一斗六升報給十九日 得病 藥価加味保元湯 二貼価 六十圓完洙給加味□回湯十貼価 三百圓 外上全州宅兒加味十全大補湯一齊來卄九日白米七十五(六)斤 五合 五斗一斤 朴鍾已給十二月六日曆書価 二十圓十一日元鍾歸隊時路子 四百圓徐廷燮貸錢 三百圓 給徐廷燮歸家炭価 二百圓 巴山宅給十九日고무신 六十圓石油一甁価 四十圓石魚一伋価 百四十圓林檎 十介 五十圓梨 三介 三十圓菓子価 百四十圓白米一斗価 四百二十圓用乙巳正月十三日外山金東春弔問時賻儀金 五十圓十五日元兒海里路子 百圓十六日瑛洙姨母來新林面鍮店金光洙金光洙婦人路子 五十圓猪肉一斤菓子一斤瑛兒洋말一件林檎一箱子藥酒一甁卄一日白一叺門中色米回利卄一日色租門中白米一叺四利 出來卄五日 先考諱辰巴山宅錢 百圓 白米二升人村宅 白米 三升石油価 三十五圓成郞価 十圓紅魚価 百二十圓北魚一尾 三十圓滅魚価 十藥価 外上 百圓二月四日北魚二尾価 五十圓常魚一尾価 三十圓猪肉半斤 五十圓草価二封価 十二圓淸塩価 百圓絲価 二十圓六日麥肥代 四百六十五圓 外上安寬會大祥賻儀 三十圓草価 六圓七日 盖屋曺福同雇価 二百圓卄日財産稅 百六十七圓麥肥価 百六圓卄七日徐正燮飾価 百三十圓, 順女貸錢 百五十圓, 正燮貸錢 三十圓 正燮□卄八日初耕時酒価草八封 四十八圓三月九日先妣忌日人村宅 白米 三升完洙母錢 百圓又白米 二升巴山宅 白米 二升又錢 錢 百圓猪肉一斤 百圓生石魚六尾 百六十圓菓子 三十五圓 又三十圓梨, 林檎 六十圓燭 一介 十五圓乾柿一串 二十五圓長兒猪肉 一斤又 正肉 一斤泰洙 正肉 一斤十二日再耕 酒價 三十圓卄五日□玹雇価 盖屋時 百三十圓藥価 百圓四月七日曺奉基宅大祥賻儀 三十圓八日淳昌宅二淑家去時路子 三百圓又 百圓고록価 百圓卄二日金二煥大夫人小祥賻儀 五十圓 旺林卄三日三耕酒價 三十五圓草価 六圓卄六卄□漢錄 고무신価, 瑛洙 고무신価 八十六圓食刀 二十圓五月四日肥料価 四百四十圓 里長給印鑑手料 元體 二十圓六日 生辰日廣州付書時切手 四圓女兒 白米 六升 足衣 二巨 伊正肉 一斤 襪 二巨 伊海苔 一葉□瑛洙上衣 四十圓完洙母白米 三升俊魚 二尾菓山宅 俊魚 二尾泰洙 俊魚 二尾全州封草長兒 五封十五日移種肥料 三叺入十八日洋藥 亂狂 狂亂 百圓刈蔘卄日移秧雇価 七斗落 千六百五十圓單雇価 二千三百八十圓 在二千八十圓 推尋価卄二日淸塩 一叺価 二百八十圓駄価 二十圓成郞価 十圓사시価 百圓石油一甁価 三十五圓 (이상) 四百四十五圓用鷄一首賣価 三百二十圓鷄卵十介 八十圓畓鋤 논호무 六十圓羊 □ 二介 十圓庚叔路子 四十圓 人村宅貸來錢卄三日中里宅酒価 百七十圓 百二十圓給在五十圓巴山宅貸錢 百二十圓完洙母 白米 六升持來 奉親卄九日 初芸肥料 三叺入初芸時 午前 酒価三十五圓葛魚二尾価 六十圓午后酒二甁価 七十圓六月一日高等魚三尾 泰兒持來三日元鍾고무신価 七十圓倭釘価 十圓泰洙全州市廳書記入去十日兄弟호탁질 二日再耘了役六月十三日 乙巳六四年度沙利未納五十六圓六五年度沙利貸 二百圓〃 貸與米運任 二十五圓鼠藥価 十圓六四年度收得稅運任 四十圓六五年肥料貸 三千九百七十圓內 三千圓 外上貸度夏穀里政稅 百二十圓以上都合皆會計六月十三日乙巳區長前後會計라六四年度沙利未納五十六圓六四年度收得稅運賃四十六圓六五年度沙利代二百圓貸與米運賃二十五圓六五年度肥料貸三千九百七十圓內三千圓 外上鼠藥価 十圓六五年度夏穀〃 里政稅百二十圓以上都合皆會計也十七日廣州付書切手 四圓卄一日田斯文夫人大祥 百圓卄三日鷄一首賣価 三百二十圓卄四日姜九大九牛品八名 入去 又卄六日 一名 合九名入去五月二十日杏丁宅田稅躶麥六斗 給六圓卄七日 中伏晴 淳昌宅 尙今不來康萬牛品 一名去卄九日廣州未納書付七月初一日三芸호탁질家族了役三日貸與米 百五十斤持去大麥四芸了役 호탁질淳昌宅來 八十三日二淑五月十三日生女예産後別症人死出生五日躶麥五斗買來価七百二十五圓又 二斗価 二百九十圓六日卯山黃判植小祥 賻儀 三十圓十日肥料価 五百九十圓十五日胃藥価 十五圓丸藥価 五圓肥累価 十圓烟草価 三圓十八日重油一甁価 三十圓又 十圓成郞価 十圓雜用 六十圓陽山集紙與印刷八十帙限하고価은五萬圓卄二日蚊藥価 四十五圓洋裁器価 五十圓五芸了役兄弟호탁질卄五日答金在環切手 四圓三十日徐正燮節価 瑛洙母 四百圓給午鷄㱏首価 百圓鷄卵十一介 百圓來八月四日쌋시 価 十里谷宅 外上 八十圓齒솔二介 価 六十圓齒藥価 二十圓首油価 三十五圓五日徐正燮節価 順女 八百圓在 千六百四十五圓也頭巾価 八十圓八月十一日全州付書切手二叔戶籍抄本 四圓고무신三巨伊価 瑛洙漢鍾 克□王人 二百圓洋灰物一斤価 四十五圓元鍾洋服下衣価 四十圓十二日 新穀執 三束金二述家白米三升 持來十四日完洙母猪肉一斤杏丁宅 白米二升洋말二介価 百三十圓멸치価 三十圓栗 一合半価 五十圓梨 林檎 四十五圓石油一甁価 三十五圓成郞 価 十圓石魚十尾 兵魚二尾 二百圓全州長兒正宗 一甁正肉 一斤十七日堂山里許基順卷烟一甲持來卄一日新米一叺 三千五百九十圓得用□莅一升価 四十五圓□油工価 五十圓麵一斤価 四十五圓厚魚価 六十五圓躶麥十斗価 一千四百圓 □田也肥料価 九十九圓麥一叺価 一千四百圓 □郞宅卄六日鎌二柄価 八十圓棉탄工価 三十圓咳藥価 百圓卄七日順女草二封 草二封持來禮村宅 封草一封持來九月初二日徐正燮 一千六百四十五圓付送駄費 八十圓海狸査夫人車費 百圓七日臺滿苧 三斤価 二百二十五圓十二日옴박지, 단지 合価 七十圓 子婦買瑛洙腫藥価 六十圓注射価 百圓十六日미역二片価 六十圓也在 三十圓揮發油価 十圓미역価 三十圓卄二日葛魚二束価 九十圓卄七日元鍾▣고무신 二百十圓 又 고무신 漢鍾 二百六十圓成郞 十圓石油 三十五圓瑛洙삿시 六十圓又 四十圓十月三日淸塩一叺価 二百四十圓七日 稻入荷猪肉二斤 二百二十五圓酒二升 七十五圓人夫宋希栢金炳彦鍾鉉元鍾漢鍾四五名十九日時計修繕工価 百圓卄三日甘橋洪鍾煥路子 二十圓卄六日曺福同盖屋雇価 二百圓卄八日大王頓一甁価半額 三百圓卅日 門生契下記猪肉二斤 二百圓수렴이一斤 五十圓冷麪一斤 三十圓멸치 三十圓玉가시 七十五圓새비 八十圓葛치五尾 五十圓太 二升 七十圓生干 三十五圓烟紙 十圓삭가이 五圓酒天甁 二百十圓 外上烟草六甲 六十圓合九百五圓也十一月九日石油価 四十圓成郞 十五圓燈盞 十五圓絲価 六十圓掌甲 三十圓十一月十一日大王頓価 六百圓 辛正夏 領收證有十二日農藥価 三百十三圓 宋永植持去十四日産藿片価 百圓元鍾內衣価 三百圓果子布十二尺価 三百五十圓十五日門中賭租 六百五十斤〃 色租白米 㱏叺四斗女子契白米㱏叺 四斗宋永植 〃 七斗 七斗十八日杏丁宅色租白米代金 三千圓給杏丁宅色租白米十八日杏丁宅色租白米一叺代金 三千圓田稅 白米 五斗卄二日李甲祿大人小祥賻儀金 五十圓卄九日요소㱏叺 千二百五十圓十二月 一日枳實宅債金並本利 二千圓內 百圓減水郞宅太一斗一升五合 三百七十圓巴山宅太二升 七十圓裳価 四百八十圓 子婦用四日瑛洙衣価 百六十圓成郞価 十二圓草二封価 十二圓五日海里付書切手 六圓七日南面里孫永洙宅賻儀 五十圓十日石油価 三十五圓瑛洙上衣価 二百圓鐵鼎一座価 七百圓瑛洙고무신 三十圓石魚一級 百五十圓栗 二升 百圓曆書 二十圓虱藥 十圓十三日猪肉一斤価 巴山宅送 九十圓鼠藥価 二封 十二圓十八日元兒感氣藥価 四十圓十九日赤十字會費 百圓木下朴元泳賻儀金 五十圓狗雛㱏首価 三百五十圓 外浦宅卄五日任淑上衣 一件価 三百五十圓梨価 五十圓林檎 三十圓丙午正月九日松丁去時猪肉一斤価 百圓당주巳価 三十五圓石油㱏甁価 三十五圓十三日金吉同大祥賻儀金 四十圓瑛洙注射金 三十圓海東文獻錄納單文憲公, 執義公, 司直公, 小心需公, 桐塢公, 僉樞公, 稽古亭上梁文 單金九千四十圓丙午正月十三日尹皇后薨十六日花田洞李尙根宅大祥 五十圓二十五日 先考諱辰巴山宅 白米二升猪肉一斤人村宅眞米三升上家子婦 白米二升二月六日安官會家大祥賻儀 五十圓酒価 五十圓海東文獻錄單金 三千圓路子 二百圓成郞価 十二圓煙草紙 十圓十三日全州付書 切手 九圓十八日肥料価 五百四十二圓內 三百三十圓 給 在二百 十二月 完納卄日石油価 三十圓卄八日泄瀉藥価 小兒 十五圓妻松丁去時 母喪路子 二百圓契中麻布一匹 六百四十圓酒㱏尊 三百圓吊旗一件 七十圓卅日財産稅 二百三十六圓子婦海里 路子 百二十圓三月四日元鍾海里路子 三百二十圓七日元白再訓練路子 三百圓十四日 色租婦人契米 一叺宋永植 一叺十七日全州付書切手 七圓手巾価 九十圓□□器価 一百五圓洋自器価 七百圓卄日十斗落所耕時草価 六圓卄一日瑛洙고무신価 五十圓揮發油価 十圓成郞価 十五圓奇生員宅外上価 十五圓卄六日鑛耳, 揷, 自久 三百三十圓生干半斤価 五十圓草価 六圓卄八日後洞所耕時草価 六圓閏三月三日後洞畓져리仁基 白米三斗五升卄一日前価畓耕再時草価 六圓又封草価 六圓□□삿시価 七十圓瑛洙삿시価 六十五圓卄九日白沙三器 九十圓四月二日電燈価 二十圓又 十八圓冒子 二介 五十圓五日後坪再耕酒価 三十五圓卷烟価 六圓七日□鷄一首価 三百圓揮發油 十圓麥米一斗 三百圓十五日後洞再耕時酒価 三十五圓麥米一叺 千四百圓卄日前坪三耕酒価 三升百五圓後洞쎄려질 草価 六圓十三日坰達大夫人小祥賻儀金 一百圓路子 百圓五月八日廣木二十尺価 八百圓麻布五尺価 二百圓나이타石 十圓成郞二桶価 十八日葛魚 三十圓猪肉二斤 百八十圓運動靴 百五十圓고무신 八十圓瑛洙신 四十圓洋灰物 四十圓심지 三十圓十三日長魚一尾 百五十圓元鍾 漢鍾 子婦 고무신 二百六十圓十八日田鋤一介 三十圓門布三尺 百二十圓六月初八日苗代肥料 本畓用肥料 合計四千九百二十五圓也 外上代付二千圓ᄒᆞ고餘条二千九百二十五圓卽出沙利代春期 一箱子 二百二十五圓代糧穀運任 二十五圓代與米 九十□九日人蔘一兩重 百三十圓重油回器価 百二十圓卄八日加味調氣湯二貼加 百圓□干加 二十圓七月六日成郞価 十三圓綿탄工価十一斤 百七十五圓答廣州女兒付書時切手 七圓十一日鍾浩家農藥 四百二十圓靑苧二斤 百九十圓絲 価 五十圓鷄 一首 四百二十圓又 門中一首 二百圓十五日梅谷宅米牟二斗価 四百圓淸塩二叺価 三百二十圓八月十九日筆六柄価 又 一甁上得 合七甁 百二十圓卄日米牟二叺価 三千五百圓新米一叺 三千八百圓 買用九月五日手車늬악구価 五千三百圓十三日石油価 三十圓고무신 瑛洙고무신 百十五圓元兒下衣価 百圓卄七日白朮散二貼価 百圓丙午十月初六日 ― 丙午十月初六日杏丁宅色租八石報給 脫債淸算水稅 地稅 合 一石十斗成郞価 十五圓肥累 三十圓 軍人不文十月卄四日鍾培妻米牟一叺 一千六百圓給卄六日門中賭租九百斤給 無理地稅 二叺四斗八升卄五日四物同材料分一斤 八百圓曲子価 四十圓草価 五十圓卅日太二斗価 千圓 八百二十五圓市用 千圓十一月卄六日珪洙昏姻時送金八百圓路子 二百圓丁未年四月卄五日成郞一桶価 二十圓漢鍾고무신価 百圓瑛洙신価 六十圓삿시 百三十圓五月一日밥바구리価 三百圓三日肥料四包來四日蠅藥一甁 四十圓廣耳二加路価 百六十圓白鐵鼎価 二百五十圓葛魚壹束価 百三十圓廣木三尺 百四十圓사리마二介 百六十圓포삐로 百七十圓裳価 三百三十圓食桶 百五十圓又 四百圓밥구리 三百圓十四日成郞 十五圓揮發油 十五圓나이타 百三十圓石油一甁 三十五圓다마내기 二十圓大파마를蒜 二百圓淳昌宅고무신 七十圓十七日長魚一尾 百五十圓葛魚一級 七十圓卄四日味元 四十圓卄九日葛魚一束価 七十圓裳価 二百六十圓六月十四日元兒衣価 四百五十圓十九日黑發一甁 四十圓揮發油価 十五圓卄三日加味暑湯二貼価 百圓咳嗽藥価 八十圓沙糖価 五十圓七月卄七日漢鍾사시価 四百五十圓藥価 五十圓米牟一叺 千七百五十圓七月初四日活命水価二甁 四十五圓草価 百二十圓九日昌泳去時路子 六十圓十一日眼藥価 十圓瑛洙上下衣価 百三十圓쌋시 価 九十圓沙糖価 十五圓삿시 百三十圓十二日宋希栢出軍時路子 五十圓十五日人蔘一兩重価 百七十圓十六日卜債 百圓卄一日市用經文時 千一百五十圓注射価 八十圓井邑金仁述 二千四百圓雜費 三百圓酒価 百圓草価 百圓八月□□海里切手 十圓廣州切手 十圓三日市用 三百圓木中馬浦宅雇価 百二十圓六日腫藥価 二百圓八日芳會農藥価 三百三十圓金氏藥価 三百五十圓十二日栗 八十圓柿 五十圓米牟 一斗 三百八十圓又 六十六圓又石魚 四百三十圓海苔 四十圓海□ 五十圓十七日腫藥価 元兒 二百圓活命水価 四十圓卄三日淳昌宅上衣 二百四十圓九月卄四日腰痛藥価 二百圓十月五日瑛洙兄弟洋襪二巨価 百三十圓又 百七十圓元兒上衣価 五百圓十二日化同宅債金 二千二百圓報給十七日盖屋時金種子雇価 三百草価 十圓酒価 三十圓又 五圓卄日瑛兒신価 八十圓元兒신価 四十圓婦兒신価 百圓蒜一接価 二百二十圓生干一斤 二十圓卄八日 門生契下記猪肉 二斤 三百圓 又 百五十圓林檎 一貫 百三十圓菓子 百圓沙肥 七十圓滅魚 三十圓葱, 菜 五十圓唐根 十圓冷麵 八十圓味元 七十圓草価 八十圓十一月四日藥四貼価 參蘇□ 二百圓元兒下衣 二百五十圓妻 신고무신 六十圓十五日사씨価 五百二十圓太 二斗価 千百圓赤豆二升 百五十圓卄二日宋永植色租並利子一叺 四斗給□帳卄五日셰타価 淳昌宅 千四百五十圓十二月 八日石油一甁価 三十五圓阿鮫価 二十圓小盤藥価 三十圓揮發油 十五圓鍾玉女兒昏姻時義金 百圓十二日漢□価雙珠湯四貼価 二百四十圓漆価 三百圓 三十圓戊申正月十六日계셰다庚淑 三千四百圓, 饌価 五百圓 庚兒出卄四日先考諱辰祭需 三百圓二月三日艮翁墓閣建築時義助金 二千圓給五日加味□□湯二貼 百圓表靴 二巨価 六百圓淸塩一叺 三百圓淸降湯 二貼 百二十圓南浦燈価 五十圓崔亨老吊問 五十圓七日加味淸降湯 二貼価 百四十圓吉童小祥 助金 五十圓菓子価 四十圓藥 二貼価 百四十圓九日朴炳甲藥二貼価 百八十圓十一日揮發油一甁価 七十圓石油一甁 価 三十五圓加味補養湯二貼 百五十圓十八日□도치一介価 三百五十圓沙器十四介 二百二十圓生干価 四十圓滅魚 四十圓絲 五十五圓腰帶 三十圓羅伊改修価 四十圓林檎 二十圓卄一日松丁里賻儀金 五百圓安陽洞賻儀金 百圓宋永植家吊問時 五十圓卄四日고치改修工価 二百圓揮發油一甁価 七十圓卄七日堂山里許基順吊問時賻儀 百圓三月二日朴炳甲定喘湯 二貼 百八十圓 外上四日朴炳甲定喘湯 二貼 百八十圓 外上柿天湯 二貼 外上고무신 三巨□ 三百三十圓五日朴炳甲補□湯 二貼 外上六日朴炳甲補□湯 四貼 外上揮發油一甁 七十圓先妣諱辰生石四尾 百四十圓八日香丁宅□□□ 百五十圓人村宅白米 二升巴山宅生石魚□尾 完洙 二升香丁里白米 二升茅山宅 白米 一升十日朴炳甲藥価 外上価 五百圓漆価 三百三十圓十三日漢鍾徵兵登錄費 六十圓身體檢査費用 五百圓十九日朴炳甲藥価 外上五百圓給尹玄守祖母小祥賻儀金 五十圓卄日中登墓祀果實価 五百圓石魚五尾価 二百卄四日兄弟下衣価 五百五十圓光根신価 五十圓三十日 喘氣發朴炳甲局補元湯四貼外上棗価 四十圓干価 二十圓四月二日朴局加味地黃湯二貼価 百四十圓外上三日淸肺散二貼生脉散二貼価 三百圓外上李鍾祿家吊問賻儀金 五十圓金穴合葬□苧五斤価 百五十圓四日朴局補益湯 二貼 外上六日朴局補益湯 四貼 外上十四日全州付書切手 十圓 完洙廣州切手 十圓洋藥価 三百圓朴炳甲藥外上価皆沒給一千二百圓牟米一斗壽 四百九十圓十六日井邑市用 五百三十六圓十八日全州電話料 四十圓昌水洞金鳳奎饌価 千圓再耕酒価 百〃 五十圓卄四日卜債 百二十圓辛亥年 正月小盤商金順明弟順基南原人宋漢弼債金壹千圓 五利出給丁未六月初一日光州金在祿泰洙丈人洞中肥料十叺 二百圓金東燁白米四叺 百六十圓丙午九月二十三手車駄価金在石李時澤李遠勳手單金炳菴田□□二李精毅參日本大坂市□田尹泰順文物刊所此時行人莫離家此日丁寧不久雨壬癸南風終日吹戊己坤風忽地起丙丁東南風亦然庚申南風不暮雨甲乙東風明日雨 戊己西風雨三雨古阜后人李時澤再拜哭輓虛名芝雲平生實踐形後多餘慶古家文獻不應使䕺蘭萬世榮百年歸輓章李尙根李弘根苫前甲辰正月二十日李時澤再拜 疏上可恕諒否餘不備小祥病未得行步故以書替告或道理之當然也去十日月日得萬伏望時澤躬進哭慰哀寬抑無致傷孝之地千痛奈何罔極奈何伏願節尊先府君喪死其所罔極哀區辰前後會計餘条二百七十八圓陰二月卄四日白山面平橋申京道元鍾同伴已上合文二千圓也鍾憲 二十圓鍾九 五十圓花田宅 五十圓朴壽根 三百圓金在喆木花 三十一斤乙 千五百八十圓也二述鷄卵 十介德洙 五百圓徐正燮 五十圓本村宅 四十圓東燁 肥累一丈高敞宅 百圓杏丁宅 百圓金宗洛 二百圓又上衣一件扶安宅 白米一斗新成宅 百圓人村宅 四十圓井邑宅 三十圓瑤洞宅 二十圓止止浦宅 三十圓止谷宅 五十圓巴山宅錢 三百圓癸卯十月十七日 婚姻時晦庵先生十悔詩不事父母死後悔不睦宗族疎後悔不待賓客去後悔不治墻屋盜後悔富不節用貧後悔色不謹愼病後悔少不勤學老後悔醉中妄言惺[醒]後悔春不耕種秋後悔貧不思難敗後悔□人十一介 八十圓姜大九 二十介 百圓 又六百七十五圓也金鎰鎬 四十介 三百圓 又七十五圓長城宅 二十圓白雲里人竹二十人 百圓二述鷄卵 十介完洙 ″ 五十圓人村宅路子 五十圓二十九日元兒去時三月八日元鍾休暇來壬淑 二十圓鍾培 百圓止止浦宅 二十圓片月□路子 五十圓來癸卯二月卄一日 元鍾休暇再去時路子李鍾洙 十六日, 李鍾漢 十一日 李賢龍 七日 아슨품沃溝郡大野面山月里 李生來茁浦牛浦里 金泳棕高敞郡上下面石南里 朴憲容茁浦中學校師새우一升価 百圓油果 四十章価 七百五十圓石魚 五尾価 千四百圓麯 一斤価 百圓海衣 一束価 百圓蔥 一束価 四十圓水飴 五斤価 千圓路子 二千八五0圓전어五束二千八百圓運任 二百圓송魚 五尾価 四千六百五0원鷄卵 四十介 価 千二百圓수리미一斤 価 百八十圓林檎卄二介 価 千三十圓梨 五介 価 三百三十圓菓子四斤 価 六百八十圓乾柿㱏接 価 五百圓栗 二升 価 千二百圓棗 㱏升 価 八百五十圓石魚九級 価 六千六百圓兵魚五尾 価 二千圓文魚五尾 価 四百圓常魚二尾 価 二千三百五十圓洪魚二尾 価 三千三百圓牛肉二斤 価 千六百圓猪肉十二斤 価 五千四百圓壬寅年三月二十日 下西祭羞用鍾培 二百圓鉉浩 三十圓盧成德 五十圓姜大九 二十圓來淳昌母 二百圓給金東演 十圓來, 巴山宅 五十圓來 金用基 五十圓來 完洙 百五十圓來 合四百六十圓也壬寅五月十七日出征時路子來記韓順五桶商 南原金鳳奎 義城人 上西面蒼水洞金元瑞 扶安人 院村金贊瑞 扶寧人 內洞院村金永化 扶安人 辛卯生 德林里金先益 義城人 丁亥生 上西面 油洞里長子三友堂子孫也 義城人上西面 蒼水洞婿金在哲金慕齋先生播種大忌也后稷諱辰日子父母妻忌日耕作犂丁亥丁未乙巳癸巳 甲寅右五日은崔聖基網巾工匠 梨坪面陽根橋高齊彦 加平里十三日 種子稻 五斗 來仝月初九日 白米貳叺 杏亭宅에서 來三月初八日 白米壹叺 杏亭宅에서 來庚子年十一月十日在仁契穀白米一叺來一叺來 杏亭宅 七叺 五斗庚子年十二月十七日宋漢福氏宅에서 白米食厚蒙天祿敬修人職頤貞則吉大慾斯窒苟非其力愧不甘一椀之盛百夫所成戴君父師戒貪嗔癡艮齋先生食時五念金鳳圭 上西 蒼水洞總收穫 20石肥料 三叺 二叺 色麥 三叺代租四叺(都合拾九石)稻租 七百斗 面貸麥 壹叺 稅四叺半田栢淇 壹叺 利資 壹叺 半 配給肥料価 二叺杏亭宅 白米五叺 利資七叺 半叺인데利子二叺包함七叺 五斗 이 未納二月十八日에 一叺 四月十日에 一叺 都合五己亥年에利子은갑고 本租三叺하고 庚子年五斗은戊戌年門中稻租로白米三叺五升杏亭宅持去(未納白米七叺豆壹斗白米로三斗都合二叺六斗白米四斗五升田稅大豆五斗에서로白米壹叺八斗과석■五包代로庚子年十月二十六日에 硫安代慶尙道咸安趙斯文元{王+奎}氏來訪耳杏亭宅 四月二十五日 硫安三包面貸麥 百升 三月二十一日 來杏亭宅 白米 拾斗 四月十一日 來田栢淇 白米 拾斗 旧条田栢淇 白米 參拾斗 旧条杏丁宅白米拾斗 來 二月十八日庚子二月十八日 色租記前坪畓 一千二百坪″ 一千四(五)百三十六坪後洞畓 番地七百八十六坪分作梁鎬京 江古里金東煥 井邑梨坪面道溪里賭租 三石六百斤米牟代租九十一斤租收得稅 一石四斗八升月川宅 米牟十斗 白米六斗報田栢淇 白米十斗 利五斗報宋漢福 白米十五斗 幷利二叺給杏丁宅 三石 利子一叺五斗給己亥年色租記黃承雲 朴聖洛 大田吳邦煥泰三子 龍水里成正燮 紙所 塔亭趙淵奎 竹物匠 上仝盧允京 癸未生 新里李地奉 新里鄭寅澤 聲星內內律里 松江后金炳允 靈光郡郡南面大德里 道蚕綠勤務奇泰鎭 長城黃龍面鵝谷李日奉 〃 大靜邑仁城里李泰珍 〃 中文面中文里李致良 濟州大靜邑下摹里李光烈 仝李相範 仝 月峯村李泳範 星內面漢井里金淳炳 丁酉生 醫員 井邑市 上里鄕校近上金大鉉 面掌議 牛浦陽池村崔秉哲 扶安殿校金又贊 松山卞鍾烈 元京子卞元京 茁浦金益煥 外從弟 內禮洞李元明 月峯村許聖在 墨房山徐元局 井邑金永植 仝金洪斗 馬伊嶝韓道元 新店李炳文 達川里高光允 仝高云彩 仝高觀彩 仝高敬彩 江古金君中氏 八十四歲 上立石金云洙 上西支石里金炯錫 上西支石里閔士眞 甘佛全北南原郡西〔東〕面西武里徐正燮篩商金振洙 仝權泰圭 馬伊嶝朴寧述 艾堂里金敏述 學京庚寅生金洛文 武兼丁亥生李春秀 蒼水洞金安述 牛浦金東柱 馬下里孫聖奎 石山金東浩 晴湖里崔在洪 白石里崔會明 馬古垈崔再榮 栢浦曺仁兼 高敞面溫水洞尹容求 井邑金百述 仝金炯斗永七氏 愚磻里閔士振 甘佛崔益煥 仝崔今哲 富谷崔秉鮮 新月里金元述 仝金洪斗 馬伊嶝尹相大 英田成信赫 社倉朴譜上卷 六十七丈二卷 二十九丈〃 二十二丈三卷 四十二丈長文 二十九丈孫錄 五十五丈又 二十五丈金鳳喆 仝金學京 禮洞沈仁燮 牛磻里沈和燮 判谷具贊益 仝魯鎭澤 仝李在赫 巴山李浩然 巴山金得春 禮洞金泓梓 瓮井姜孟熙 金堤白山面南山里金炳梓 扶安邑 瓮井金學潤 仝面 社倉金敬父 仝金永哲 保安面万石洞金淸汝 全州市金東仁 仝金東漢 仝閔蘭汝 仝朴敬彦 仝金聖裕 扶安邑內札洞鄭益中 仝鄭益修 保安面判谷黃鳳▣…黃熙燮 古阜面江古里韓台鎬 扶安殿校許秉黙 城山里蔡奎泰 仝 松丁里柳尙迪 舟山面葛村金泰先, 金殷局 木下里柳濟旭 高敞面月谷李容範 仝 仝李元範 仝 仝李亨範 仝 仝李海範 星內面漢井里賓朋錄文成 一封水南宅 一封白▣ 二封元鍾 二封在▣ 二封▣▣ 二封▣▣ 二封▣▣ 二封▣▣ 一封▣▣ 二封鍾培 一封▣根 一封完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8년 7월 4일 관문(關文) 崇德三年七月初四日 關文 074 호조가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중군(中軍) 황후헌(黃後憲)에게는 종과 말의 양식까지 아울러 교동부(喬桐府)에서 지급하고 회감(會減)할 것.무인년 7월 7일 도착.호조가 살펴서 시행할 일 때문에 보낸다."이번에 도착한 경기수사(京畿水使)의 관문(關文) 내용을 요약하면,'본영(本營)의 중군(中軍) 전(前) 첨정(僉正) 황후헌(黃後憲)에게는 종과 말의 양식과 급료까지 아울러 교동부(喬桐府)에서 지급하고 회감(會減)하게 해주시기 바랍니다.'129)라고 하였다. 보내온 공문대로 시행하라."숭덕(崇德) 3년(1638, 인조 16) 7월 4일. 교동부의 민호(民戶) 고득효(高得孝)를 줌.130) 戊寅七月初七日到付.戶曹爲相考事."節到付使關內節該, '本營中軍前僉正黃後憲, 奴馬糧料, 幷以喬桐府以, 放料會減.'事關是置有亦. 依移文施行向事."崇德三年七月初四日. 府戶高得孝授. '068 나덕헌의 관문' 참조. 경기 수영(京畿水營)의 중군(中軍)으로 임명된 황후헌(黃後憲)에게 지급할 종과 말의 양식과 급료를 교동부(喬桐府)의 민호(民戶)인 고득효(高得孝)에게 부담시킨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9년 5월 3일 관문(關文) 崇德四年五月初三日 關文 114 의정부(議政府) 사인사(舍人司)가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숨김없이 직언(直言)을 바치라는 주상의 전교를 살펴서 시행하고 각 진포(鎭浦)에도 알릴 것.기묘년(1639, 인조 17) 5월 10일 도착.의정부(議政府) 사인사(舍人司)가 직언(直言)을 구하는 일 때문에 보낸다."숭덕(崇德) 4년(1639, 인조 17) 5월 2일에 동부승지(同副承旨) 신(臣) 박수홍(朴守弘)이 공경히 받은 전지(傳旨)에 이르기를,'다음과 같이 전교(傳敎)한다.「왕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아! 하늘의 이치와 사람의 이치는 털끝조차도 용납할 틈이 없을 정도로 긴밀하여 사람이 사특한 짓을 행하면 하늘이 반드시 위엄을 보여 경고하니, 북채로 북을 치면 곧바로 소리가 나는 것이나 형체가 있으면 곧바로 그림자가 나타나고 소리를 지르면 곧바로 메아리가 울리는 것으로도 하늘의 빠른 반응을 비유하기에 부족하다.235) 내가 외람되이 백성에게 군림한 지 이제 17년이 되었는데, 항상 삼가고 두려워하여 마치 썩은 새끼줄로 여섯 마리의 말을 모는 것처럼 위태롭게 여겼다.236)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해 근면할 수 있는 일이라면 가능한 최선을 다하였으나, 학문은 나아갈 방향을 몰라 기질(氣質)의 성품을 변화시킬 수 없었고,237) 마음은 정욕(情慾)에 가려져서 통치의 주요 방도에 통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보니 하늘을 공경하였지만 하늘의 분노는 그치지 않았고, 백성을 위해 근면하였지만 백성의 원망은 날이 갈수록 불어났다. 재앙이 보고되지 않는 때가 없었으나 나는 여전히 죄를 몰랐고, 화란이 지금 세 번이나 발생하였으나 나는 여전히 잘못을 고치지 못하였다. 그러니 깊은 연못에 임하고 엷은 얼음을 건너는 것처럼 아득하여 끝이 없다.238) 지금 내게 위로는 삼공(三公)과 경사(卿士), 아래로는 노복(奴僕)과 집사(執事)로부터 재야의 벼슬하지 않는 선비에 이르기까지 모두 나의 부족한 점을 서로 바로잡아 주지 못하여 끝내 망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면, 이것도 배를 같이 타고 가는 사람이 앉아서 구경만 한 채 구원하지 않아 서로 빠져 죽는 지경에 이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239)지금 큰 난리를 겪고 난 뒤에 큰 재앙들이 거듭 발생하였는데, 작년에 있었던 가뭄의 참혹한 피해는 근래에 없었던 변고였다. 공적으로나 사적으로 비축해놓았던 비용은 진휼을 논의할 때에 벌써 바닥이 나서, 겨우 살아남은 가엾은 우리 백성만 아직도 도로에서 굶어 죽고 있으니, 나의 마음이 마치 질병을 앓는 것처럼 몹시 아플 뿐만이 아니다. 그나마 양맥(兩麥 보리와 밀)이 다소 무성한 것을 다행으로 여기고서 날마다 수확하기만 바라고 있었는데, 5일이나 비가 내리지 않고 10일이나 비가 내리지 않더니 벌써 40여 일이나 되었다. 그리하여 이삭이 이미 팬 것은 열매를 맺지 못하였고, 아직 이삭이 패지 않은 것은 말라서 다 죽었으며, 땅에 심은 오곡(五穀 쌀, 보리, 콩, 조, 기장)은 땅이 갈라져서 터졌고, 아직 파종하지 않은 온갖 곡식들도 쟁기질을 멈추고 파종을 포기하였다. 백성의 굶주려 죽은 시체가 골짜기에 가득 찰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니, 미약한 나 한 사람이 또 누구를 의지할 것인가! 이러한 지경에 이르고 보니, 나는 살고 싶지가 않다.침전(寢殿)을 피해 거처하는 일, 평소에 먹던 반찬의 가짓수를 줄이는 일, 술을 마시지 않는 일 등은 이미 거행하기는 하였으나, 이런 것들은 자신을 수양하고 성찰하는 방도에 있어서 그저 말단적인 일일 뿐이니, 이런 것들도 어떻게 하늘의 뜻에 감응하여 재앙을 그치게 할 수 있겠는가! 그래도 다음과 같이 바란다. 임금을 사랑하고 나라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끓는 물에 빠지거나 타는 불길에 휩싸인 것처럼 다급한 나의 상황을 가엾게 여겨서, 그대들의 진실한 마음을 펼쳐 보이고 각각 원대한 계책을 힘껏 세워서, 출구가 막힌 나에게 길을 열어주고 길을 잃고 헤매는 나에게 길을 가리켜 주라. 나의 과실이나 정치의 하자와 관계된 것들을 숨기지 말고 정직하게 지적하고 할 말을 다하라. 그리하여 우매한 자질을 가진 내가 바로잡아 주는 그대들의 힘에 의지하여 조금이나마 깨달을 길을 찾아서 개과천선할 수 있다면, 아마도 하늘의 마음을 다소나마 기쁘게 할 수 있을 것이고 백성의 원망을 다소나마 누그러뜨릴 수 있어서 은택이 내리기를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와 근심을 함께하는 묘당(廟堂)의 한두 신하들은 나의 지극한 뜻을 깨닫고서 서울과 지방에 반포하여 모두 들어서 알게 하기 바란다.」라고 의정부에 내려주라.'라고 하였다. 전지의 내용을 잘 살펴서 시행하되, 도내 각 진포(鎭浦)에도 알려주라. 그러므로 관문을 보낸다."숭덕 4년 5월 3일.240) 議政府舍人司爲求言事."崇德四年五月初二日, 同副承旨臣朴守弘敬奉傳旨, '「王若曰. 於戲! 天人之理, 間不容髮, 人之作慝, 天必動威以警之, 桴鼓影響, 不足以喩其疾. 予之忝臨兆民, 十有七年于玆, 兢兢業業, 凜凜乎若朽索之御六馬. 凡所以敬天而勤民者, 靡所不用其極, 而學未知方, 無以變氣質之性; 心有所蔽, 不能通治道之要. 敬天而天怒未已; 勤民而民怨日滋. 災沴靡辰不報, 而予猶不能知罪; 禍亂今已三作, 而猶不能改轍. 茫茫然若涉淵氷, 其無津涘. 今我上而股肱卿士, 下而陪僕執事, 以至草野韋布之士, 不能交修不逮, 終致淪喪, 則亦何異同舟之人坐視不救而載胥及溺者哉! 卽今大亂之餘, 大孽荐作, 上年旱魃之酷, 近古所無之變. 公私儲積, 已竭於議賑, 而哀我孑遺之民, 尙有道路之餓莩. 予心恫瘝, 不啻若疚疾. 惟幸兩麥稍茂, 日望登場, 而五日不雨, 十日不雨, 已至於四十餘日. 已秀者, 不能成實, 未秀者, 枯損且盡, 五種之入土者, 已龜坼矣, 百穀之未播者, 又輟耒矣. 民之塡壑, 若執左契, 眇眇予一人, 又將疇依! 到此地頭, 予欲無生. 如避殿、減膳、禁酒等, 旣已擧行, 而其於修省之道, 直是末務, 亦何能應天弭災哉! 尙望愛君憂國之人, 肯恤予湯火之急, 敷爾腎腸, 各盡訏謨, 開予茅塞, 指予迷途. 凡係予之闕失、政之疵纇, 直斥極言, 縻有所諱. 俾予愚昧之質, 賴爾匡救之力, 稍尋一分開悟路經得以遷改, 則庶幾天心可以少豫, 民怨可以少紓, 而膏澤之降, 或可望矣. 惟我一二廟堂同憂之臣, 體予至意, 布告中外, 咸使聞知.」爲只爲, 下議政府爲良如敎.'傳敎事是去有等以. 傳旨內事意, 奉審施行爲乎矣, 道內各鎭、浦良中, 亦爲知悉向事. 合行云云."崇德四年五月初三日. 『논어집주(論語集註)』 「자장(子張)」의 주(註)에 인용된 사씨(謝氏)의 말에 '부자(夫子)께서 국가를 얻으셨다면 백성을 고무시키고 감동시키는 교화가 북채로 북을 울리면 곧바로 소리가 나는 것이나 형체가 있으면 곧바로 그림자가 나타나고 소리를 지르면 곧바로 메아리가 울리는 것보다 빠르다.[夫子之得邦家者其鼓舞群動捷於桴鼓影響]'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서경(書經)』의 구절을 인용하여 임금으로서 인조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서경』 「우서(虞書)」 〈고요모(皐陶謨)〉에서는 고요(皐陶)가 우(禹)에게 '안일과 욕심으로 제후(諸侯)들을 가르치지 마시어 삼가고 두려워하소서![無敎逸欲有邦兢兢業業]'라고 하였고, 『서경』 「하서(夏書)」 〈오자지가(五子之歌)〉에서는 하(夏)나라의 태강(太康)이 안일과 향락에 빠졌다가 후예(后羿)에게 폐위당하였는데, 태강의 다섯 아우가 우(禹)임금의 훈계를 인용하면서 노래하기를, '내가 수많은 백성 위에 임하는 것은 마치 썩은 새끼줄로 여섯 마리의 말을 모는 것처럼 조심스러우니, 백성의 윗사람으로 있는 자로서 어떻게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予臨兆民懍乎若朽索之馭六馬爲人上者奈何不敬]'라고 하였다. 중국 송(宋)나라의 장재(張載)는 인간의 본성을 악이 없고 순전히 선만 있는 본연지성(本然之性)과 선도 있고 악도 있는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었다. 본연지성은 모든 사람이 본래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착하고 평등한 천성(天性)을 가리키며, 기질지성은 형체가 갖추어진 뒤에 생긴 정욕(情慾)이 포함된 본성을 가리킨다. 따라서 기질지성을 잘 수양해야만 본연지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학설은 이후 정이(程頤)와 주희(朱熹)로 이어지면서 성리학(性理學)의 대표적인 이론이 되었다. 『張子全書』 卷3 「誠明篇」 第6; 『性理大全』 卷5 「正蒙」 〈誠明〉.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소완(小宛)'에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깊은 연못에 임한 것처럼 하고 얇은 얼음을 밟는 것처럼 하였다.[戰戰兢兢如臨深淵如履薄冰]'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시경』 「대아(大雅)」 〈탕지십(蕩之什)〉 '상유(桑楡)'에 '어찌 선할 수 있겠는가! 서로 빠져 죽고 말뿐이로다[其何能淑載胥及溺]'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승정원일기』 인조 17년 5월 2일에도 동일한 인조의 전교(傳敎)가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9년 6월 1일 첩정(牒呈) 己卯六月初一日 牒呈 115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이 경기관찰사 겸 순찰사 이행원(李行遠)에게 보낸 첩정(牒呈) : 청(淸)나라의 칙사(勅使)가 나올 때 일을 잘 알고 자급이 높은 군관(軍官)이 교동부사(喬桐府使)를 대신하여 접대하게 해줄 것.명령을 받는 일 때문에 보냅니다."5월 27일에 성첩(成貼)하여 6월 1일에 도착한 경기관찰사의 감결(甘結) 내용을 요약하면,'심양(瀋陽)에 파견된 재신(宰臣)의 장계(狀啓)를 받아보니,241)「칙사(勅使) 3명의 행차가 6월 초순에 출발하여 나옵니다.」라고 하였다. 접대하는 일들을 등록(謄錄)에 따라 미리 조치해두었다가 명령이 내리면 즉시 시행할 수 있도록 대비하라.'라고 하였습니다. 해당 칙사를 접대하는 일들을 살펴보아, 보수해야 할 것은 보수하고 새로 준비해야 할 것은 새로 준비하겠습니다. 다만 지난 정축년(1637, 인조 15)에 칙사가 나왔을 때,'현재의 교동부사(喬桐府使)가 예전 청나라에 사신(使臣)으로 파견되었을 때 힐문한 일이 많았으므로242) 역참(驛站)에 나가서 서로 만나는 것은 불편할 것 같으니 어떻게 해야겠습니까?'라고 낱낱이 거론하여 도(道)에 첩정을 올려 보고하였습니다. 그 첩정 내용을 보고한 경기감사의 장계(狀啓)에 의거하여 연접도감(延接都監)이 회계(回啓)한 뒤 그 결과를 알려준 관문(關文) 내용을 요약하면'회계하기를,「교동부사가 직접 외부의 장소에 영솔해오는 일이기 때문에 청나라 사람들이 들어서 알 우려도 있습니다. 일을 잘 알고 자급이 높은 군관(軍官)이 영솔해와서 점검하고 신칙하는 것이 편리하고 합당할 듯합니다. 이러한 뜻으로 공문을 보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라고 하여 재가를 받았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모두 회계 결과를 알려준 관문처럼 자급이 높은 군관을 골라 정해서 접대하게 하였습니다. 연접도감의 원래 관문을 아울러 첨부하여 보고하니, 도에서 속히 주상의 결정을 받아 분부하여 시기에 임박해서 말썽이 생기는 사태가 없게 해주소서. 그러므로 첩정을 보냅니다."기묘년(1639, 인조 17) 6월 1일. 순영(巡營)에 보고함. 爲行下事."五月二十七日成貼, 六月初一日到付使甘結內節該, '卽接瀋陽宰臣狀啓, 「勅使三行, 六月初生, 起馬出來.」是如爲有置, 接待諸事, 依謄錄豫爲措置, 以待朝令夕發.'事甘結是置有亦. 同勅使支待諸事相考, 可爲修補者, 則修補, 新備者, 則新備事是在果. 去丁丑年勅使時, '府使, 曾前淸國使臣時, 多有詰問之事, 出站相見, 似爲非便, 何如?'事, 枚擧牒報道敎是狀啓據延接都監回啓關內節該, '「府使, 親自領來於外處事, 故淸國之人, 或不無聞知之患爲白置. 解事秩高軍官領來檢飭, 似爲便當. 以此意行移, 何如?」'事關是去乙. 一依回啓關貌如, 秩高軍官, 擇定支過爲有如乎. 延接都監元關, 幷以粘報爲去乎, 道以速令定奪分付, 俾無臨時生事之患爲只爲. 合行云云."己卯六月初一日. 報巡營. '심양(瀋陽)에 파견된 재신(宰臣)'이란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이 심양에 볼모로 잡혀갈 때 함께 따라가거나 추후에 파견된 재신을 가리킨다. 현재의 교동부사(喬桐府使)는 나덕헌을 가리킨다. 나덕헌은 인조 12년(1634)에는 추신사(秋信使)로, 인조 14년에는 춘신사(春信使)로 후금(後金)에 파견되었다. 그중 나덕헌이 춘신사로 파견되었을 때 후금이 청(淸)으로 국호(國號)를 바꾸고 황제로 칭하였으며, 우리나라에 보내는 국서(國書)에도 황제가 신하의 나라에 사용하는 어휘를 사용하였다. 이때 청나라에서는 춘신사 나덕헌과 회답사(回答使) 이확(李廓) 등에게 청나라 황제에게 예를 갖추도록 강요하였으나 두 사람이 끝내 거절하고 따르지 않았다. 두 사람은 돌아올 때 청나라가 인조에게 보내는 조서(詔書)를 가지고 오다가 그 내용을 베껴서 보고하고 조서를 버렸다. 이러한 일이 있었던 나덕헌이 겸직인 교동부사(喬桐府使)의 자격으로 청나라의 부칙사(副勅使)를 접대하게 되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대행하게 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025 비변사의 관문' 참조. 『승정원일기』 인조 12년 11월 13·14일, 13년 1월 2·3일, 14년 2월 4·9일, 헌종 6년 10월 1일; 『인조실록』 14년 4월 26일(경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제사(題辭) 제사(題辭) 116 경기관찰사 겸 순찰사 이행원(李行遠)이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제사(題辭) : 군관(軍官) 중에서 근면하고 일을 잘 아는 사람으로 잘 골라서 교동부사(喬桐府使)를 대신하여 칙사(勅使)를 접대하게 할 것.서목(書目)에 써서 보낸 제사(題辭).243)"보고한 대로 예전처럼 시행하되, 군관 중에서 근면하고 일을 잘 아는 사람으로 각별히 잘 고르고 충분히 엄중하게 신칙하여 무사히 접대하게 하라. 그리고 여러 역참(驛站)에 나가 대령하는 수령들과 상의하여 포진(鋪陳), 기명(器皿), 찬품(饌品) 등의 물품을 절대로 더 낫게 마련하려고 경쟁하지 말고 차이가 없게 마련하여 말썽이 생기지 않도록 하라고 충분히 타일러서 보내라. 영접도감(迎接都監)에는 정축년(1637, 인조 15)의 문서를 아울러 첨부하여 공문을 보냈다. 살펴서 시행하라." 書目題送."依所報, 如前施行爲乎矣, 軍官中, 各別極擇勤幹解事之人, 十分嚴飭, 無事支待爲旀. 且與諸站守令相議, 鋪陳、器皿、饌品等物, 切勿務勝, 使無異同, 毋致生事, 十分敎飭以送爲乎矣. 迎接都監良中, 丁丑年公事, 幷以粘連移文爲去乎. 相考施行向事." 교동부사(喬桐府使) 나덕헌이 경기관찰사 겸 순찰사 이행원(李行遠)에게 첩정(牒呈)을 올릴 때 서목(書目)을 함께 올렸는데, 이행원이 그 서목에 제사(題辭)를 써서 보낸 것이다. 따라서 이 제사는 '115 나덕헌의 첩정'에 대한 이행원의 처분이라고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39년 6월 4일 관문(關文) 崇德四年六月初四日 關文 117 경기관찰사 겸 순찰사 이행원(李行遠)이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에게 보낸 관문(關文) : 일을 잘 알고 자급이 높은 군관(軍官)이 교동부사(喬桐府使)를 대신하여 칙사(勅使)를 접대할 것.기묘년(1639, 인조 17) 6월 8일 도착.경기관찰사 겸 순찰사가 살펴서 시행할 일 때문에 보낸다."이번에 도착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관문 내용을 요약하면,'본도(本道)가 원본을 첨부하여 보고한 경기수사(京畿水使) 겸 교동부사(喬桐府使)의 첩정(牒呈) 내용을 요약하면,「일을 잘 알고 자급이 높은 군관(軍官)이 영솔해와서 점검하고 신칙하는 것이 편리하고 합당할 듯합니다.」244)라고 하였다. 정축년(1637, 인조 15)에 주상의 결정을 받은대로 시행하라고 통지하여 시행하라.'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관문을 보낸다."숭덕(崇德) 4년(1639, 인조 17) 6월 4일. 성첩(成貼)함. 己卯六月初八日到付.兼巡察使爲相考事."節到付迎接都監關內節該, '本道粘報兼喬桐府使牒呈內節該, 「解事秩高軍官, 領來檢飭, 似爲便當.」事牒呈是置有亦. 依丁丑年定奪施行之意, 知委施行向事.' 合行云云."崇德四年六月初四日. 成貼. '115 나덕헌의 첩정' 참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1년 이당(李鐺)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丑九月念三日 再從姪 李鐺 李敎成 辛丑九月念三日 李鐺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025_001 1921년 9월 23일에 재종질(再從姪) 이당(李鐺)이 자금(資金) 200원을 임시로 차송해 주시면 빚을 갚을 수 있다는 내용으로 숙부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내는 간찰(簡札) 남평(南平)으로 여행중인 몸이 왕성하심을 알았다. 재종질인 자신은 동서로 분주하게 다니며 하나도 이루는 것이 없고 양식이 떨어져 죽으려고 해도 죽을 곳이 없고, 집안 식구들도 어깨를 움츠리면서 지내니 만약 집안에 자금(資金) 200원을 임시로 차송해 주시면 빚을 갚을 수 있다. 이것은 하늘을 오르는 것보다 어려운 듯하다. 그믐날 안에 집에 있으면 왕림해 주시는 것이 어떠냐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711년 김창집(金昌集)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卯五月卄六日 金昌集 辛卯五月卄六日 金昌集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11년(숙종37) 5월 26일에 김창집(金昌集)이 아드님의 죽음을 알았고, 자신은 병이 날로 심하지만 말씀하신 일은 마땅히 주선하겠다는 소식을 전하는 간찰(簡札) 1711년(숙종37) 5월 26일에 김창집(金昌集)이 뜻밖에 편지를 받아 아드님의 죽음을 알았고, 자신은 병이 날로 심하지만 말씀하신 일은 마땅히 주선하겠다는 내용이다. 뜻밖에 편지를 받고 무더위에 평안히 지내시고 또 아드님의 죽음을 만났다는 것을 알고서 놀라고 슬펐다. 자신은 병이 날로 심해 공사(公私)도 가리지 못하고 지내며, 말씀하신 일은 마땅히 삼가 주선하겠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양전(梁琠)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月念七日夕 梁琠 李敎成 □月念七日夕 梁琠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4년 11월 27일에 양전(梁琠)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세금 독촉장과 납부 방안을 논의하는 내용의 간찰(簡札) 1934년 11월 27일에 논산군에 사는 양전(梁琠)이 보성군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납부 기한이 촉박한 세금 독촉장을 받은 일과 납부할 방안을 논의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청위산(淸胃散) 약방문(藥方文)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청위산(淸胃散)을 만들 때 사용하는 약재 이름과 분량을 기록한 약방문(藥方文) 청위산(淸胃散)을 만들 때 사용하는 석고・목단・황연초・승마・감초 등의 약재 이름과 넣는 분량을 기록한 약방문(藥方文)으로, 청위산은 위(胃)에 열이 쌓여 발생하는 구강 내의 통증에 처방하는 약재이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