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정호(李禎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禎鎬 李敎成 殿 1935 李禎鎬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이정호(李禎鎬)가 이교성(李敎成)에게 봉선 소식을 전하고 군산항에서의 참석 여부를 묻는 간찰(簡札) 모년 나주에 사는 이정호(李禎鎬)가 보성군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광주 역전에서 잠깐 만난 봉선을 통해 소식을 들은 일을 전하고, 이달 그믐쯤 군산항에 갈 예정인데 참석 여부의 회답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이공우(李孔雨)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寅二月初四日 弟 李孔雨 李仁兄 敎永氏 戊寅二月初四日 李孔雨 李敎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8년 2월 4일에 이공우(李孔雨)가 이교영(李敎永)에게 부탁한 일은 수행하기 어려운 형편을 전하는 간찰(簡札) 1938년 2월 4일에 고창군에 사는 이공우(李孔雨)가 보성군에 사는 이교영(李敎永)에게 보내는 답서로, 상대가 방문하고 서간까지 보낸 것에 답례하는 인사말과 부탁한 일은 현재 본인은 호서 좌협을 다녀온 여독이 남아 있고 아들은 집에 없어 수행하기 어려운 형편을 전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古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秋月山中 迤邐仁尋巖下路 樵人謂我踏山人前後溪聲方過雨 兩三禽語正逢春漸次升高微徑斷 緣崖攀木幾逡巡努力一躋峯面坐 汗晴喘止氣能伸直登上頂徘徊立 向拜封塋如見親拔除雜草空揮淚 自恨無誠到不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二星韻 冬日今朝占斗建 天時至臘歲將除白雪暎窓疑月滿 靑烟點水驗川平冠襟齊會期先定 揖讓周旋禮可執牢愁長憶罇前破 安處何憂棧上危詩律每多與客成 風光難盡以吾收於此留人竹牖開 笑他獨樂門深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十八宿韻 每惜光陰倚枕角 靜觀易理龍潛亢居民淳俗超羌氐 治世良臣進杜房欲吐新詩違錦心 思傾美酒釀藍尾東邦禮法言稱箕 南國文章才數斗富術栽花尙墨牛 端儀對鏡窺紅女還嫌志滿每從虛 能保身安不入危屋漏眞工看暗室 山林佳景緣蒼壁自負當如人薛奎 所言皆是士齊婁俄者飮茶香潤胃 已而待月影分昻雲鎻銀河掩兎畢 曉催玉漏唱雞觜閒梧種柏接成參 近水鑿池通似井夜雪明凉無哭鬼 陽春和暖多舒柳推占列宿驗昏星 持贈佳期問夕張拜退北堂雙袖翼 踏來實地曳方軫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2년 김윤문(金允文)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拾壹年陰拾壹月晦日 金允文 許順烘 大正拾壹年陰拾壹月晦日 金允文 전북 정읍시 [印] 3개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1922년 음력 11월 그믐날에 김윤문(金允文)이 허순홍(許順烘)에게서 빌려준 정조(正租) 1석(石)을 받고 써 준 영수증(領收證). 1922년 음력 11월 그믐날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김윤문(金允文)이 허순홍(許順烘)에게서 빌려준 정조(正租) 1석(石)을 받고 써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본문에는 3년 전인 1919년 음력 2월에 정조를 빌려 준 이후 이자를 받은 내력이 자세하게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현묘경(玄妙經) 玄妙經 玄妙經 고서-자부-술수류 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고서 원문 玄妙經 성책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정읍 영원 여산송씨가 갑술년(甲戌年)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옥산(宋玉山)이 도교(道敎) 관련 자료들을 정리하여 필사한 책 갑술년(甲戌年)에 정읍군(井邑郡) 이평면(梨坪面) 청량리(靑良里)에 사는 송옥산(宋玉山)이 도교(道敎) 관련 자료들을 정리하여 필사한 책이다. 풍수지리가(風水地理家)로 활동하였던 송옥산이 자신의 관심사들을 한데 묶어 정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지에 "玄妙經 地理書"로 적은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李致朋【可樂甲子 二首】7) 知君少我十餘年 豈意今朝遽作仙客散草堂寥德器 夜深繡枕斷琴絃四孫皆可前程理 一子猶能後事傳白首故人無恨淚 臨風灑墨自成聯嗚呼先我君何去 此別偏傷老大年衰病末由親執紼 遙望星洞淚懸泉 정의재가 이 "輓李致朋可樂"이라는 詩題로 지은 시는 두 수이다. 물론 모두 칠언 율시이다. 그런데 두 번째 시를 보면 七言絶句로 되어 있다. 정서하는 과정에서 14글자가 누락된 것이다. 석판본 정의재유고도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崔【益洪 乙丑】 同鄕同病又同聲 孰料君先作此行如就芝蘭常自愛 幸承瓜葛更多情令子令孫傳後事 宜兄宜弟樂平生遠送丹旌悲白首 鳳山秋色摠愁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樂要堂金友【洛進 己酉】 齋曰樂要諱洛進 碧苔山下是幽居上堂問候兼箴子 在野明農又讀書芝蘭院落春常滿 風月湖窓客不虛乃生乃化惟天命 勿恨今朝就彩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朴文爀 【炳夏】 惟君志潔身淸閒 熏炙淵翁擗咡閒必琢必磨多少玉 分我餘輝莫韞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柳景肇源模慕安重根忠義韻 【二首】 丈夫懷劒誓心行 未報深讎自不平霜刃忽翻風電急 海東秋色滿天橫靑天白日一雷鳴 萬國悚然聽義聲忠義東邦如子幾 其仁可謂殺身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警 丹心臺上丹心翁 自保丹心方寸中莫謂丹心無所用 丹心亦在飭修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錦山水心臺趙重峯先生祠宇重修韻 【二首】 先生遺迹昭然明 當亂秉忠擧義聲依舊水心臺宛在 臨風對月見眞情忠烈昭昭日月明 事功不啻繼家聲至今猶有餘風在 多士慕昻各盡情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