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拜謝候 謹封三宵承誨 充然有得 從此有源源之續 則昨別奚以爲悵 謹問數謝棣候貞吉 寶眷錦安 區區不任仰祝 査弟奉歸無撓而盛稱姪婦之賢淑 一室相賀 私門慶千 何以加此 中心喜怡 不自勝容耳 餘謹不備 伏惟壬戌 臘月 十八日査弟 梁仁永 拜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9년 농서이씨문중(隴西李氏門中)의 내용증서(內容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大正八年五月五日 李炳熺 李炳驤 大正八年五月五日 李炳熺 李炳驤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9년 5월 5일에 농서이씨문중(隴西李氏門中)에서 문중 유사를 해임하는 건에 대해 내용을 증명해서 이병양(李炳驤)에게 통지한 내용증서(內容證書) 1919년 5월 5일에 농서이씨문중(隴西李氏門中)에서 문중 유사를 해임하는 건에 대해 내용을 증명해서 이병양(李炳驤)에게 통지한 내용증서(內容證書)이다. 문서명은 내용증서이며, 건명은 문중 유사의 해임 통지서이다. 문자는 국한문 혼용이다. 문중 유사는 시조 농서군공의 종중 재산을 관리하는 사람이다. 해임 사유는 농서군공의 후손 백중계 3파의 문중이 공유하는 재산을 관리하게 하였으나, 본년도부터 이우정과 이병일, 이종탁 등을 3파의 문중 유사로 선임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유사에게 전부 인계하여 주도록 한다는 종중 결의서를 첨부하여 이를 통지한다고 하였다. 발신자는 백파와 중파 대표 이병희(李炳熺)와 이교달(李敎達)이며, 수신자는 이병양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3년 고시익(高時翼)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癸丑 十月 十六日 高時翼 癸丑 十月 十六日 高時翼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3년 10월 16일에 고시익(高時翼)이 사돈이 될 상대에게 친사에 대한 감사와 옷의 견양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간찰(簡札) 1913년 10월 16일에 고시익(高時翼)이 성명 미상의 사돈이 될 상대에게 친사(親事)에 대한 감사와 옷의 견양(見樣)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혼인하는 일로 편지가 정중하시니 감사하며 하례 드리는 마음 진실로 깊습니다. 삼가 존장의 체후와 기거는 좋으신지요? 얼마나 위안이 되었는지요. 다만 사돈 맺는 일은 내달 16일에 행하기로 정하였고 옷의 견양은 말씀대로 편지로 올렸습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姻之故華翰鄭重 感荷良深 伏惟尊體 起居候萬相 何等仰慰 第親事 以來月十六日定行 而衣樣依敎書呈耳 餘續候不備 伏惟尊照 謹謝候上癸丑 十月 十六日高時翼 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8년 안명우(安命祐)의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道光十八年丁酉十一月二十日 安命祐 李箕文 道光十八年丁酉十一月二十日 安命祐 李箕文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38년 11월 20일에 답주 안명우(安命祐)가 논을 이기문(李箕文)에게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1838년 11월 20일에 답주 안명우(安命祐)가 논을 이기문(李箕文)에게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이다. 자기가 매득한 논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이매(移買)하고자 문전면 가천촌 아래 용보평 목자답(睦字畓) 3두락지 부수 14복(卜)3속(束)을 전문 80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안명우인데 자필(自筆)이며 직역은 유학이다. 증인은 유학 임경(任暻)이다. 이름 아래에 수결이 있다. 끝에는 구문기(舊文記)라고 쓴 것과 토지 소재지 및 면적을 쓴 쪽지를 붙여놓았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4년 이종협(李鍾浹)의 우편엽서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鍾浹 李冕容 李鍾浹 李冕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4년 5월에 이종협(李鍾浹)이 족보 간행의 일로 이면용(李冕容)에게 보낸 우편엽서 1924년 5월에 성주이씨보소의 이종협(李鍾浹)이 이면용(李冕容)에게 족보 간행에 관한 일로 보낸 우편엽서이다. 서두에서 안부를 묻고 보사(譜事)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각처에서 명단과 서류가 날마다 도착하고 있으며, 들어온 단자는 이미 합쳐서 옮겨 썼다. 그런데 귀 문중의 명단이 필사를 멈췄다. 족대부께서 문중을 독려해 단자를 올려보내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연길(涓吉) 단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신랑집에서 길일을 점쳐 정한 혼사 날짜를 신부집에 알려주고자 보낸 연길(涓吉) 단자 신랑집에서 길일을 점쳐 정한 혼사 날짜를 신부집에 알려주고자 보낸 연길(涓吉) 단자이다. 이 단자에는 혼사 날짜뿐 아니라 신랑과 신부의 생년, 납폐(納幣)·전안(奠鴈)·행례의 시간, 치함(寘函) 등의 방향, 주당살(周堂煞) 등도 아울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8월 24일 한글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팔월니십사닐 팔월니십사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8월 24일에 함양에 와서 본 집안 소식과 함께 수신자의 형 안부를 묻는 한글 간찰(簡札) 8월 24일에 함양에 와서 본 집안 소식과 함께 수신자의 형 안부를 묻고자 쓴 한글 간찰(簡札)이다. 오른쪽이 잘려나간 것으로 보이며, 내용이 뒷면에 이어져 있다. 함양 차를 타고 나니까 눈물이 앞을 가려 진정할 수 없었다고 하고 두 시에 함양에 와 내리니 정효가 나와서 반겼다. 집에 와보니 아버지가 바싹 마르고 진지도 못 잡수시니 볼 수가 없다. 병관 여러 남매도 궁색한 듯하고 며느리는 바싹 마르고 병이 나 누워있다. 네 형이 궁금해서 두어 자 써서 부친다고 하고, 또 정순과 외할머니 소식을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受證一金拾員也右金額文 京公位土分排金中으로 正正領受矣也丙寅 陰正月 卄九日星州李氏 譜所內領受人 李鍾浹平淳前에셔 領受홈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9년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己巳八月 己巳八月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69년 8월 날짜로 토지와 우척(牛隻)을 나누어준 분재기(分財記) 1869년 8월 날짜로 토지와 우척(牛隻)을 나누어준 분재기(分財記)이다. 사유와 조상관계, 피상속인, 문서작성 참여자 등과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없이, 전답과 대지·우척(牛隻)의 규모만을 기록해놓았다. 전답은 수동촌 초자답 등 14곳이며, 우척은 1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강재(剛齋) 서선생의 양촌계(陽村契) 서문 고문서-시문류-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강재(剛齋) 서선생이 지은 양촌계(陽村契)의 서문 강재(剛齋) 서선생이 지은 양촌계(陽村契)의 서문이다. 사람에게는 아름다운 일이 있는데 홀로 천양할 수 없어 동지들이 서로 응하여 함께 만든 것을 계(契)라고 한다. 근방의 선비들이 계 하나를 만들어 '양촌(陽村)'이라 이름 했는데, 양촌은 강재(剛齋) 서선생이다. 양촌은 충남 서천군 동지촌의 양(陽)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동지에 양이 생한다는 이치에서 취했다. 선생은 세도가 탕잔하고 이단이 횡행하는 당시에 음양이 소장(消長)하는 이치를 평생 조금의 소홀함이 없이 정성을 다해 궁구한 공덕이 있어 이 계를 만들게 되었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