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七年 戊辰 十二月十五日 前明文右明文事段 流來畓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伏在本郡文田面可川村後馬山登坪 夫字二斗落負數八卜八束庫乙 價折錢文一百兩 依數捧上是遣 右前 新舊文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相左之端則持此文記憑考事畓主 自筆 幼學 李鳳潤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不有雪程 數舍走伻致書 足見盛意勤摯 承審寒峭尊體百福 仰慰良至 庚帖依敎書呈耳 餘不備 伏惟尊照 謹拜謝狀丙辰 十二月 四日高宅柱 拜拜皮封謹拜謝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참판공 장사택일기(葬事擇日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참판공의 장사를 지내기 위해 지관(地官)이 장례의 제 절차와 좌향, 기휘 등을 점쳐 적은 장사택일기(葬事擇日記) 참판공의 장사를 지내기 위해 지관(地官)이 장례의 제 절차와 좌향, 기휘 등을 점쳐 적은 장사택일기(葬事擇日記)이다. 오른쪽 하단에 작은 글씨로, 이 문서는 장동촌(長洞村) 뒤에 있는 참판공 산소의 택일지라 하고, 택일은 낙수(洛水) 이처사가 담당했다고 적고 있다. 이 문서는 부인과 제주(祭主), 손자의 사주 외에, 좌향과 입수(入首), 운명, 삼운(三運), 안장 길일, 하관, 개토, 파토, 분금(分金), 천산(穿山), 조명(造命), 발인 등의 길일과 방향, 기휘 등을 자세히 적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七〖八〗年 癸亥 正月十二日 裵尙一 處明文右明文爲放賣事段 矣父生時 自起買得田畓累年耕食爲如可 移買次 不得已 寶城文田面可川村前白豆山員伏在 陸字麥畓七升落只卜數一卜五束果北邊錦田太種一斗落只卜數二卜四束果 左右灰山幷以 價折錢文肆兩五錢以 依數捧上爲遣 右人處 本文記三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此後若有生謀雜談爲去等 持此文記告官憑爲乎乙事田畓主 喪人 李海元 [不着]訂參 閑良 崔昌郁 [着名]筆 閑良 金世杓 [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2년 배상일(裵尙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柒年〖八〗 癸亥 ▣▣(月)二十七日 畓主 閑良 裵尙一 金尙基 前▣▣(明文) 嘉慶柒年〖八〗 癸亥 ▣▣(月)二十七日 裵尙一 金尙基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Z037_01_A00269_001 1802년 모월 27일에 전답주 배상일(裵尙一)이 김상기(金尙基)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02년 모월 27일에 토지주인 배상일이 토지를 김상기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오른쪽 중간에 손상된 부분이 있다. 자기가 매득을 일으켜서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부득이한 일로 보성 문전면 가천촌 앞 백두산평원의 목자답(睦字畓) 7승락지, 부수 1복(卜)5속(束)과 북변 금전(錦田)의 태종(太種) 1두락지, 부수 2복4속, 좌우 회산(灰山)을 아울러서 전문 7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한량 배상일, 필은 한량 김성택(金成宅)이며 착압하였다. 매수자는 김상기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柒年 癸亥 ▣▣(月)二十七日 幼學 金尙基 前▣▣(明文)右明文事段 矣自起買得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寶城文田面可川村前白頭山坪員伏字〖在〗睦字麥畓七升落只卜數一卜五束庫果北邊錦田太種一斗落只卜數二卜四束庫果 左右灰山幷以 價折錢文柒兩依數捧上爲去乎 右人處 本文記四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此後若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告官印〖卞〗正事畓主 閑良 裵尙一 [着名]筆 閑良 金成宅 [着名]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이종길(李鍾吉) 시문(詩文) 고문서-시문류-시 大谷居 再從孫 鍾吉 拜上 李鍾吉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대곡(大谷)에 사는 재종손 이종길(李鍾吉)이 보낸 시문(詩文) 대곡(大谷)에 사는 재종손 이종길(李鍾吉)이 보낸 시문(詩文)의 일부이다. 시제(詩題)와 날짜는 기재하지 않았으며, 앞부분이 뜯겨 나가 일부 내용이 미상이다. 마지막 부분에 자손들이 다투어 헌수(獻壽)한다고 한 것으로 보아, 회갑을 송축하는 시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0년 이우용(李瑀容) 입안(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光武四年十一月日 掌禮院 光武四年十一月日 掌禮院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0년(광무 4) 11월에 이우용(李瑀容)의 입후(立後) 허락 청원에 장례원(掌禮院)에서 이를 승인하면서 발급한 입안(立案) 1900년(광무 4) 11월에 이우용(李瑀容)의 입후(立後) 허락 요청에 장례원(掌禮院)에서 이를 승인하면서 발급한 입안(立案)으로 계후(繼後)를 승인하는 문서이다. 장례원경 조정희(趙定熙)의 명의로 발급되었는데, 보성 유학 이면용(李冕容)의 적첩(嫡妾)이 모두 자식이 없어 그의 동생제(同生弟) 우용의 아들 교성(敎成)을 후사로 삼고자 하는 청원을 승인한 것이다. 보성 유학 이우용은 그 가문의 문장(門長) 진사 이병용(李秉容)과 함께 올린 소사(訴辭)가 모두 적실하고, 경국대전 입후조를 상고하니 관련 규정이 수록되어 있어 그 허락을 요청하였더니 광무 4년 11월 28일에 아뢴 대로 하라고 하여 입안을 발급한다고 하였다. 왼쪽의 상중하단에는 담당자들인 경(卿), 장례(掌禮), 주사(主事) 2명의 날인이 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11년 이철용(李喆容)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辛亥三月 日 全羅道寶城 化民 李喆容志容圭容 安山官 辛亥三月 日 李喆容 安山郡守 ○ ○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1년 3월에 이철용(李喆容)이 위답에 대한 입지(立旨)의 성급(成給)을 청원하고자 보성군수에게 올린 소지(所志) 선산이 초산면 물항동에 있는데, 묘지기를 정해서 여러 대에 걸쳐 수호하였으며, 시제(時祭)의 위답(位畓)으로 본동 황사우 담자 697분답 2두5승락 부수 6부5속을 사두었다. 민(民) 등이 모두 천 리 밖에 살아 원근의 족속이 혹 훔쳐 팔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이를 헤아린 후 엄하게 입지(立旨)를 밝혀 성급해서 멀리서 사는 민이 향화(香火)가 끊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청원한 것이다. 입지는 소지에 뎨김(제사)을 기재한 공증문서이다. 왼쪽 상단에는 군수의 수결이 있고, 하단에는 제사(題辭)가 있는데 3개의 도장을 찍었다. 제사에는 '자손이 각처에 흩어져있어 자주 와서 성묘할 수 없으니 원근의 족속이 혹 훔쳐 팔 염려가 있다. 이에 입지를 성급한다.'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式 料外伻到 忽伏承下書 憑審寒令服中起居候 一向康寜 子婦亦得安侍 伏慶賀不任 區區下忱 査下生 伏當讐月 非此亡子之祥期 先考忘日 感焦之懷難抑耳 況又不忍 當之日乎 一寸之腸 實難支保 惟以玆候之安 私可萬幸 委伻專問 始知親査之厚誼感賀不得容口 餘只冀隨序萬安不備謝 惟下照 謹拜上謝書壬辰 九月 卄五日 査下生 趙鎭翊 上謝書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상제(李喪制) 수신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喪制 李喪制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가천의 상주 이 아무개에게 조의와 감회를 적어 보낸 간찰 가천(可川)의 이상제(李喪制)의 상주에게 조의(弔意)와 감회를 적어 보낸 간찰이다. 보내주신 글을 받고 마음이 놓였다고 하면서 조의를 표하고, 관련하여 '눈앞에 쓸데없는 것은 없고, 마음에 깨끗하고 깊음이 있으며, 조용한 마음에 건곤(乾坤)이 크고, 한가한 중에 일월이 길다.'는 등의 감회를 적었다. 피봉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1년 윤병호(尹秉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丑 正月 九日 尹秉浩 拜 辛丑 正月 九日 尹秉浩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1년 1월 9일에 윤병호(尹秉浩)가 사돈을 맺을 사람에게 연길 날짜 등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간찰(簡札) 1901년 1월 9일에 윤병호(尹秉浩)가 성명 미상의 사돈을 맺을 사람에게 연길 날짜 등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편이 있은 지 오래되었는데 다시 안부가 좋으시다니 우러러 위안됩니다. 길한 날짜에 연길을 올리는 것은 장애가 없는지요? 옷 또한 감사합니다. 치수를 알려주는 것이 어떠한지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便後有日 更伏請體上萬休 仰慰倍品 就吉辰涓呈 儅無牽碍耶衣亦謝也 尺示之如何 餘留 不備尊照謹候狀辛丑 正月 九日尹秉浩 拜皮封謹候狀上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2년 양인영(梁仁永)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壬戌 臘月 十八日 梁仁永 壬戌 臘月 十八日 梁仁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2년 12월 18일에 양인영(梁仁永)이 사돈에게 가족의 안부와 조카며느리의 현숙함을 칭찬하는 간찰(簡札) 1922년 12월 18일에 양인영(梁仁永)이 성명 미상의 사돈에게 가족의 안부와 조카며느리의 현숙함을 칭찬하는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흘 동안 가르침을 받고 충분한 얻음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이후로 편지가 계속 이어졌으니 작별한들 어찌 슬픔으로 여기겠습니까? 삼가 묻건대 여러 밤이 지났는데 체후는 좋으시고 식구들의 안부도 편안하신지요? 우러러 축원하는 마음을 견디지 못하겠습니다. 저는 어려움 없이 부모님 모시고 잘 돌아왔는데 조카며느리의 현숙함을 모두가 칭찬하여 집안에서 모두 축하하니 집안의 경사가 무엇이 이보다 더하겠습니까? 마음속의 기쁨을 형용할 수가 없습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