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을유년(1945)】 酒箴 【乙酉】 술 주(酒)자에는 닭 유(酉)자 붙었으니 酒固從酉,이것은 숙살(肅殺)의 서쪽이네 肅殺西方,취할 취(醉)자에도 군사 졸(卒)자 붙었으니 醉亦從卒,이것은 죽어 없어짐이네. 是爲死亡.술잔의 잔(盞)자에는 창 과(戈)가 겹쳤으니 盞疊兩戈,의당 거기에 다쳐 상처 입겠지. 宜其見戕,술병의 호(壺)자는 악(惡)자의 몸 지녔는데 壺藏惡體,어찌 좋은 것 들어있을까? 豈得有臧?술잔의 치(巵)자는 위태할 위(危)자 닮았고 巵似危字,술잔의 상(觴)자는 다칠 상(傷)으로 풀수 있고 觴可訓傷.술통의 받침판에는 금계의 금(禁)이 있고231) 承尊有禁,옥술잔 가(斝)자는 무서울 엄(嚴)자의 머리이다. 斝則嚴頭.성인이 내리신 금계 聖人垂戒,간절하고 두루 미쳤는데, 旣切且周,어찌하여 대인 선비들이 如何人士,창졸간에 실수를 범하여, 造次失玆,수천 년 전 위무공(衛武公)도 千古衛武,후회의 시 지었을까?232) 亦有悔詩. 酒固從酉, 肅殺西方, 醉亦從卒, 是爲死亡。 盞疊兩戈, 宜其見戕, 壺藏惡體, 豈得有臧? 巵似危字, 觴可訓傷, 承尊有禁, 斝則嚴頭。 聖人垂戒, 旣切且周。 如何人士, 造次失玆。 千古衛武, 亦有悔詩。 술통……있고 의례을 거행할 때 술통을 받쳐 드는 기구를 금(禁)이라 부르는데(《儀禮‧士冠禮》), 이 금(禁)자의 본의는 '금계(禁戒)'이다. 《예기(禮記)‧옥조(玉藻)》에 의하면 대부는 어(棜 : 들것)를, 사(士)는 금(禁)을 썼다 한다. 수천 년……지었을까 춘추시대 위무공(衛武公)이 술에 취해 실덕(失德)하는 각종의 추태를 말하며 경계하는 시를 지었는데 그것이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빈지초연(賓之初筵)〉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