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제천의 임간송134) 호철 을 방문하다 ○9수 公州濟川訪林澗松【浩喆○九首】 독락정135)에서 구산옹136)을 함께 모신 지가 獨樂亭中陪臼山어느덧 사십 칠년 세월이 흘렀구나 忽焉四十七年間어찌 생각했으랴 봄바람 속에 함께 앉았던 이들이 豈料同坐春風伴오늘 아침엔 둘 다 늙은 얼굴로 서로 마주할 줄을 相對今朝兩老顔용사의 액137)을 고하매 갑자기 태산이 무너지니138) 龍蛇告厄遽頹山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양쪽 다 비통하였네 私痛公悲徹兩間현재 무함하는 무리들이 어지러이 날뛰니 脚下紛紛誣衊輩훗날 저승에서 뵐 때 무슨 면목으로 대하리오 他年歸拜作何顔근심의 끝이 우뚝한 남산과 가지런할 뿐만 아니니139) 憂端不啻屹南山목숨 바쳐 스승께 보답함이 우리가 어찌 다르리오 致死報師吾豈間평생 밝게 분변하는 뜻이 한결같고 지성스러우니 斷斷生平明辨志위로 아래로 부끄러울 게 없어140) 당당히 고개 든다오 無慙俯仰正擡顔천리 흐르는 시냇물이 깊은 산중에서 나오고 澗流千里出深山축축 늘어진 소나무가 눈 속에 우뚝 서 있네 落落蒼松立雪間지조와 절개가 원래 저와 같이 드높으니 志節元來高似許마침내 부헌이라 쓴 재실 편액을 본다오 孚軒終見作齋顔구산옹이 부헌이란 이름을 지어 주셨으니141) 嘉錫孚軒自臼山초당의 현판 사이에서 광채가 나는구나 草堂生色揭楣間교화가 돼지와 물고기에까지 미치는 날을 기다려야142) 待看化及豚魚日비로소 사문에 부응하여 공안143)을 기약할 수 있다오 始副師門期孔顔장대한 뜻이 처음엔 아홉 길 산144)을 기필했는데 壯志初期九仞山은근한 가르침을 또한 함장145) 사이에서 받았다오 叮嚀亦受丈函間지금 와서 결국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가 今來竟作如何狀후창이란 두 자가 너무도 낯부끄럽게 하는구나146) 二字後滄堪愧顔돌아가는 길에 아스라한 상당산147)을 바라보니 歸路迢迢上黨山석별의 정이 아득히 운수148) 사이로 들어가누나 別懷杳入樹雲間집이 멀어서 생각만 할 뿐이라고149) 하지 마소 莫言室遠相思地만년의 절조를 서로 닦아 다시 만나야 하니 晩節交修更接顔백발에 푸른 눈으로150) 서로 만난 옛 사림의 벗이니 白髮靑眸舊士林일찍이 근심이 많았건만 아직도 시름 속에 있구나 曾經憂慮尙欽欽백육 만나151) 도를 잃으니 자신을 해친 듯하였고 道喪百六如戕己삼천리 강토를 회복하니 마음이 다소 위로된다오 疆復三千稍慰心목석 사이에 은거하며 맑아지기를 기다릴 만하니 且可待淸居木石시속과 섞여 살며 금란의 교분152)을 말한 필요 없다오 未須混俗說蘭金서풍은 날마다 수시로 성대하게 불어오는데 西風日競無時定어찌하면 제민153)들이 바른 복식으로 돌아오려나 安得齊民返正襟사문에 아무아무 자들이 수풀처럼 많지만 斯文某某積如林사람에게 흠모의 정을 생기게 하기 어렵구나 難得令人起景欽책방과 같고 자잘한 말을 하면서도154) 부끄러움이 없었고 書肆說鈴曾沒恥높은 관 넓은 띠를 착용하면서155) 도리어 마음을 속이누나 峨冠博帶反欺心아우와 형이 어찌 차마 창칼을 수선하면서156) 弟兄何忍修戈戟의리와 이욕을 모두 잊은 채 쇠와 금을 분변하랴 義利都忘辨鐵金다만 자신이 외려 그 속에 있을까 염려스러우니 但恐自家還在裡은나라 거울157)을 가지고 내 옷깃을 여며야 하리라 可將殷鑑整吾襟 獨樂亭中陪臼山, 忽焉四十七年間.豈料同坐春風伴, 相對今朝兩老顔?龍蛇告厄遽頹山, 私痛公悲徹兩間.脚下紛紛誣衊輩, 他年歸拜作何顔?憂端不啻屹南山, 致死報師吾豈間?斷斷生平明辨志, 無慙俯仰正擡顔.澗流千里出深山, 落落蒼松立雪間.志節元來高似許, 孚軒終見作齋顔.嘉錫孚軒自臼山, 草堂生色揭楣間.待看化及豚魚日, 始副師門期孔顔.壯志初期九仞山, 叮嚀亦受丈函間.今來竟作如何狀, 二字後滄堪愧顔.歸路迢迢上黨山, 別懷杳入樹雲間.莫言室遠相思地, 晩節交修更接顔.白髮靑眸舊士林, 曾經憂慮尙欽欽.道喪百六如戕己, 疆復三千稍慰心.且可待淸居木石, 未須混俗說蘭金.西風日競無時定, 安得齊民返正襟?斯文某某積如林, 難得令人起景欽.書肆說鈴曾沒恥, 峨冠博帶反欺心.弟兄何忍修戈戟, 義利都忘辨鐵金?但恐自家還在裡, 可將殷鑑整吾襟. 임간송(林澗松) 임호철(林浩喆)로,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경선(敬善), 호는 간송이다.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인이다. 《後滄集答 卷6 答林敬善》 독락정(獨樂亭) 공주(公州)의 동쪽 30리쯤 되는 삼기촌(三岐村)에 있는 정자이다. 임호철의 선조인 임목(林穆, 1371∼1448)이 정자를 건립하고, 송대(宋代)의 명상(名相) 사마광(司馬光)의 원명(園名)인 독락(獨樂)을 본떠서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 정자는 금강팔경(錦江八景) 가운데 하나로 일컬어질 만큼 주변 경관이 뛰어나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17 忠淸道 公州牧》 구산옹(臼山翁) 간재(艮齋) 전우(田愚)로, 구산은 그의 호 가운데 하나이다. 용사(龍蛇)의 액(厄) 사람이 죽는 액운이 든 해를 말하는데, 흔히 현인의 죽음을 비유한다. 후한(後漢)의 정현(鄭玄)이 병으로 관직을 그만두고 집에 돌아와서 지내는데, 하루는 꿈에 공자가 나타나서 "일어나라, 일어나라. 올해는 용의 해이고 내년은 뱀의 해이다.[起起, 今年歲在辰, 來年歲在巳.]"라고 하였다. 꿈에서 깨어 참술(讖術)로 맞추어 보고 자신의 목숨이 다할 줄 알았더니, 실제로 그해 6월에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後漢書 卷65 鄭玄列傳》 태산(泰山)이 무너지니 공자(孔子)가 어느 날 노래하기를 "태산이 무너지겠구나. 대들보가 쓰러지겠구나. 철인이 시들겠구나.[泰山其頹乎! 梁木其壞乎! 哲人其萎乎!]"라고 하였는데, 그로부터 병이 나서 7일 만에 별세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禮記 檀弓上》 태산이 무너졌다는 것은 선사(先師)의 죽음에 대한 비유로 쓴 말로, 여기서는 후창의 스승인 전우(田愚)의 죽음을 가리킨다. 근심의……아니니 당(唐)나라 두보(杜甫)의 〈자경부봉선현영회(自京赴奉先縣詠懷)〉 시에 "근심의 끝이 종남산과 가지런하여, 끝없는 근심을 걷을 수가 없어라.〔憂端齊終南, 鴻洞不可掇.〕"라고 한 것을 원용한 표현이다. 《杜少陸詩集 卷4》 위로……없어 《맹자》 〈진심 상(盡心上)〉에 "위로는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아래로는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 번째 즐거움이다.[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이름을 지어 주셨으니 원문의 가석(嘉錫)은 아름다운 이름을 지어 주었다는 뜻으로,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황고께서 나의 초년 시절을 관찰하여 헤아리사, 비로소 내게 아름다운 이름을 내리셨으니, 나의 이름을 정칙이라 하시고, 나의 자를 영균이라 하시었네.[皇覽揆余于初度兮, 肇錫余以嘉名. 名余曰正則兮, 字余曰靈均.]"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교화가……기다려야 원문의 화급돈어(化及豚魚)는 《주역》 〈중부괘(中孚卦)〉의 단사(彖辭)에 "돼지와 물고기가 길함은 미더움이 돼지와 물고기에 미친 것이다.[豚魚吉, 信及豚魚也.]"라고 한 것을 원용한 말이다. 미더움이 돈어에 미친다는 것은, 성인(聖人)의 덕화가 매우 우둔하고 미천한 동물에까지 미침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부헌(孚軒)'이란 명칭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공안(孔顔) 공자(孔子)와 안자(顔子)를 합칭한 말이다. 아홉 길 산 원문의 구인산(九仞山)은 《서경》 〈여오(旅獒)〉에 "작은 행실이라도 삼가지 않으면 큰 덕에 끝내 누를 끼칠 것이니, 이는 마치 아홉 길 높이의 산을 쌓는데 마지막 한 삼태기의 흙이 부족하여 그 공이 허물어지는 것과 같다.[不矜細行, 終累大德, 爲山九仞, 功虧一簣.]"라고 한 데서 온 말로, 마지막까지 정성을 다해야 공이 이루어진다는 경계이다. 함장(函丈) 스승의 자리 또는 강학(講學)하는 자리를 뜻한다. 본디 옛날에 스승의 자리와 제자의 자리에 1장(丈)의 사이를 둔 데서 나온 말로, 전하여 스승의 경칭(敬稱)으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후창의 스승인 간재 전우를 가리킨다. 《예기》 〈곡례 상(曲禮上)〉에 "만일 음식 대접을 위한 객이 아니고 강문(講問)하러 온 객이거든 자리를 펼 때 자리와 자리의 사이를 한 길 정도가 되게 한다.[若非飮食之客, 則布席, 席間函丈.]"라고 하였다. 후창(後滄)이란……하는구나 김택술의 '후창'이란 호는 스승인 간재가 지어준 것이다. 일찍이 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계승하겠다는 취지로 자신의 호를 '후율(後栗)'이라고 지었는데, 간재가 이 일을 본떠 남송(南宋)의 호가 창주(滄洲)인 주희(朱熹)를 계승하라는 의미로 '후창'이라고 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 후창이 자신을 돌아보니 스승의 뜻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後滄集 卷6 答洪韋軒》 상당산(上黨山) 충청북도 청주(淸州)에 있는 산 이름이다. 상당은 청주의 별칭이다. 운수(雲樹) 멀리 떨어진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당나라 두보(杜甫)의 〈춘일회이백(春日懷李白)〉에 "위수 북쪽에는 봄 하늘의 나무요, 강 동쪽에는 해 저문 구름이로다. 언제나 한 동이 술을 마시며, 다시 함께 자세히 글을 논해볼꼬.[渭北春天樹, 江東日暮雲. 何時一樽酒, 重與細論文?]"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杜少陵詩集 卷1》 집이……뿐이라고 일시(逸詩)에 "당체의 꽃이여, 바람에 펄럭이도다. 어찌 너를 생각지 않으리오마는, 집이 멀어서이다.[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라고 하였는데, 孔子가 이에 대해 "생각을 하지 않아서이지, 어찌 멀어서이겠는가.[未之思爾, 夫何遠之有?]"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罕》 푸른 눈으로 원문의 청모(靑眸)는 청안(靑眼)과 같은 말로, 반가워하는 눈길이라는 뜻이다. 진(晉)나라 때의 명사(名士)인 완적(阮籍)은 세속(世俗)의 법도에 구애받지 않고 지내면서 싫어하는 사람을 만나면 백안(白眼)을 드러내어 경멸하는 뜻을 보이고, 의기투합하는 사람을 만나면 청안으로 대하여 반가운 뜻을 드러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49 阮籍列傳》 백육 만나(百六) 백육은 106년을 가리키는 것으로, 액운(厄運)을 말한다. 4500년이 1원(元)이고 1원 중에 5번의 양액(陽厄)과 4번의 음액(陰厄)이 있어 106년마다 액운이 찾아온다고 하였다. 《漢書 律歷志上》 금란(金蘭)의 교분 원문의 남금(蘭金)은 돈독한 우의(友誼)를 비유한 말로, 《주역》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니 그 단단함이 쇠를 끊을 만하도다. 마음이 서로 같은 말은 그 향내가 난초와 같도다.[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제민(齊民) 일반 백성을 뜻하는 말로, 서민(庶民), 평민(平民) 등과 같은 말이다. 책방과……하면서도 원문의 서사(書肆)는 책방의 뜻으로, 책의 요점은 파악하지 못한 채 많이 읽는 것만 욕심낸다면 그저 책을 많이 쌓아둔 책방에 불과하게 된다는 뜻이다. 설령(說鈴)은 긴요하지 않은 자질구레한 말을 이른다. 후한(後漢) 양웅(揚雄)의 《법언(法言)》 〈오자(吾子)〉에 "책을 좋아하여도 중니에게 긴요하지 않는 것은 책방일 뿐이고, 말을 좋아하여도 중니에게 보이지 않으면 자질구레한 말이다.〔好書而不要諸仲尼, 書肆也, 好說而不見諸仲尼, 說鈴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또 북송의 정이(程頤)가 일찍이 문인 윤돈(尹焞)에게 이르기를 "공이 학문하는 방도를 알려고 한다면 모름지기 책을 읽어야 한다. 책은 굳이 많이 볼 필요가 없고 요점을 알아야 하니, 많이 보기만 하고 요점을 알지 못한다면 책방일 뿐이다.[公要知爲學, 須是讀書. 書不必多看, 要知其約, 多看而不知其約, 書肆耳.]"라고 하였다. 《近思錄 卷3》 높은……착용하면서도 원문의 아관박대(峨冠博帶)는 높은 관과 헐렁한 띠로, 사대부의 정장 혹은 조복(朝服)을 의미한다. 창칼을 수선하면서 원문의 수과극(修戈戟)은 《시경》 〈진풍(秦風) 무의(無衣)〉에 "어찌 옷이 없어서, 그대와 솜옷을 함께 입으리오. 왕명으로 군대를 일으키거든, 우리의 창칼을 수선하여, 그대와 한 짝이 되리라.[豈曰無衣, 與子同袍? 王于興師, 修我戈矛, 與子同仇.]"라고 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돈독한 우의(友誼)가 있음을 표현한 말이다. 은(殷)나라 거울 원문의 은감(殷鑑)은 《시경》 〈대아(大雅) 탕(蕩)〉에 "은나라의 거울이 멀리 있지 않아서, 하후의 세대에 있느니라.[殷鑑不遠, 在夏后之世.]"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대의 실패를 거울삼아 오늘날의 경계로 삼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