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慕鄕齋裵公墓碣銘【幷序】 公諱潤寬字道潤。以景宗四年甲辰生。幼喪二親。就鞠於河陽外氏。仍家焉。祥署其居曰慕鄕齋。蓋其意未嘗忘歸鄕也。旣而卒不能歸。子孫遂爲河陽人。至今蕃衍繩繩。有未艾之象。可見公積慶餘庥。益熾而昌。實基於不忘本也。玄孫錫度錄事行來曰。公至言懿行。世遠難詳。秖有家庭所聞數段事。請矜憐而發揮之。用墳墓道也。余辭以非人而不獲。閱其壯曰。公生稟穎悟。文藝夙就。而不逐時尙。鑽硏經旨。老而彌篤。勸獎後進爲己任。嘗痛二親早世。夫日號呼如袒括。奠物必親檢曰。與其不潔而豐。不若不豐而潔。性不喜詞藻。而聞人忠孝烈。必極意揄揚。所爲贊戊申功臣金公重元詩一則。至今膾炙焉。嗚呼。此雖寂寥。足爲祥禽之一羽。後欲觀公者。可於是求之矣。正廟乙巳其卒年也。良甫面上雙案山艮原其葬也。裵氏鷄林六部之一。麗太師玄慶上祖也。達城君雲龍受貫之祖也。至晩隱仁敬佐我太祖。官司諫封古阜君。四傳而松湖善杠文修撰。出爲靑松府使。治蹟茂著。是爲公九世。高祖尙衮啓功郞號遯齋。曾祖有昌宣務郞。祖世繪宣傳官號明窩。考舜擧。妣鄭氏圃隱先生之後。嘉善彦章其考。三夫人晉陽鄭氏晉陽姜氏俱無育。慶州崔氏壽長女。生四男三女。男永祿永泰永斗永植。全州崔道重晉陽姜胤瑞河東鄭東寶壻也。長房男啓績啓善女適晉陽鄭天一。仲房男啓贊通政啓郁爲叔房後啓翰啓弘爲季房後。女適河東鄭球。餘略之。銘曰。崇本祛華。厥德可稱。積厚流遠。宜後繩繩。數尺之刻。百世之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海金公墓碣銘【幷序】 公嘗曰。譽自自修至。今不自修。而慍譽不至者。如不耕而望秋。又曰孝源於百行。不知爲孝。雖有他行。如水之無源。語雖寂寥。其感慨激切。足以風厲于世矣。今俗偸倫喪。朝爲暮算。無非求名于譽。自行自由。壹是忘親背君。如公何處得來。嗚呼賢矣。公諱鍾寬字仕玉。金氏金海之世也。新羅興武王庾信爲上祖。高麗文敬公琢。國朝湖山英荃最顯。湖山公以工曹郞。丙子講和。碎冠南遯。寔公九世。曾祖龍再祖國祚號聾窩考致昌。俱有隱德。妣長水黃氏。其考萬永。配德無違。齊密陽朴氏德華女。生三男二女。男長永允次永尙永亮出後。女適李東勖。一未行。孫男圭模聖模長房出。公以高宗癸酉生。行年六十五丁丑卒。葬于郡西海際面正必古地德湖上午原。翌年夏。永尙以書來。謀余以銘其墓者。狀余友梁石亭筆。實而不華。可信其不誣。遂撮要而爲之銘。銘曰。深沈莊重。天賦旣全。又有至性。孩提已然。不與群戱。俾親心安。子逸親勞。人道之傎。閣書躬耕。旨瀡不貧。洞屬愉婉。志養爲先。故舊所喜。邀致盡歡。居喪毁甚。哀號徹天。課日哭墓。風雪不關。祭若新喪。哀動傍人。敬祖敦宗。致力譜編。刑于閨門。和氣氤氳。友于且湛。籩豆其陳。推之族姻。必致睦婣。接人以誠。不揀疏親。蓋其敎本。如水有源。有能表章。足警世昏。允矣石亭。實寫公眞。我述爲銘。昭揭于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직부(朴直夫) : 박경동(朴敬東, 1879~?)을 말한다. 자는 직부, 호는 신암(愼庵),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정의림의 문인이다. 與朴直夫【敬東】 【경동】에게 보냄뜻밖에 그대 종숙(從叔)께서 방문해 주어 조모와 모친의 기력이 강녕하신 줄 물어보고 알았으니, 그리워하던 나머지에 실로 듣고 싶은 마음에 부합되었네. 또 직부(直夫)는 요즘 더욱 더 부지런히 공부하여 문리가 크게 진보되었다고 들었으니, 위로와 기쁨을 말할 수 없네. 대저 소년들이 많은 가운데 이와 같이 마음을 세울 수 있는 사람은 매우 드무니, "후생(後生)이 두려울 만하다."라는 것은 그대가 바로 그런 사람이 아닌 줄 어찌 장담하겠는가? 치지(致知)와 거경(居敬) 이것은 수레바퀴와 새의 날개처럼 두 가지가 나아가는 법이니, 여기에 다시 능히 유념하고 있는가? 자기 심신(心身)의 본원이 친절한 곳에 태만하여 검속하지 않고 한갓 반복하여 암송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것은 과연 어디에 쓰겠는가? 이것은 학자의 제일의 뜻이니, 맹렬히 반성하여 빨리 돌이키지 않을 수 없는 것이네. 힘쓰고 힘쓰시게. 지난번에 보낸 한 통의 편지는 혹 중간에 유실되었는가? 그렇지 않다면 어찌 편지를 보냈는데 답장이 없을 리가 있겠는가? 매우 의아스럽네. 선장(善長)11)과 자신(子愼)12) 등 여러 벗들은 모두 날마다 책상을 나란히 하여 공부하고 있는가? 料襮。得令從叔垂訪。叩認重堂氣力康旺。馳戀之餘。實副願言。且聞直夫比益加勤。文理大進云。慰喜不可言。大抵少年叢中。得如此立心人。甚鮮。安知後生可畏者。君非其人也。致知居敬。此是輸翼兩進法。未知於此更能留念否。於自己心身本原親切處。漫不檢攝。而徒以誦數爲業者。果何用也。此是學者第一義。不可不猛省而亟反之者也。勉之勉之。曩者所修一書。或至喬沈否。不然。豈有有言無答之理乎。可訝可訝。善長子愼諸友。皆逐日聯丌否。 선장(善長) 박인동(朴仁東)의 자이다. 자신(子愼) 박준민(朴準敏, 1879~?)의 자이다. 호는 괴하(槐下),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정의림의 문인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세현에게 답함 答朴世顯 아득히 소식이 막힌 지 지금 6, 7년이 되었으니, 두 집안의 지난 일은 어찌 뒤늦게 제기할 필요가 있겠는가? 다만 비천한 나의 박한 명은 늙을수록 더욱 기구하여 매번 덕문(德門)의 갖가지 큰일에 한 번도 포복하여 찾아간 의리가 없었으니, 생각이 여기에 미치면 항상 매우 송구하였네. 뜻밖에 김아(金雅) 자성(子惺)68) 편에 그대의 한 통 편지를 받고는 매우 위로되고 부끄러웠지만 오히려 벗이 나를 잊어버리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여겼네. 편지를 받은 이후 해가 바뀌었는데, 모르겠으나 어버이 곁에서 모시는 절도는 신명의 도움으로 모두 복된 지 실로 절실히 듣고 싶네. 편지에서 "강(剛) 자……"라 하였는데, 이것은 실로 진전(眞詮)과 요결(要訣)이네. 그러나 이 '강'을 이루는 것은 무슨 일인가? 단지 하나의 '강' 자를 지켜서는 얻을 수 없네. 《중용장구》 제20장에 이른바 "비록 어리석어도 반드시 밝아지며, 비록 유약하여도 반드시 강해진다."라고 한 윗 구절에 '학문사변(學問思辨)'과 '부득부조(不得不措)'와 '인일기백(人一己百)'이라는 말이 있으니, 이것이 강하게 하는 방법이 아니겠는가? 내 이미 대방가(大方家)가 될 수 없으니 이에 하나의 신약(神藥)을 옛날 대방가에게서 빌려서 드리니, 원컨대 시험 삼아 맛보시게. 만일 효험이 있다면 장차 병이 고황에 든 노쇠한 나에게 나누어 주어 말년에 만분의 일이라도 효험을 거둘 수 있도록 해 주시게. 落落阻闊。于今六七年矣。兩家往事。何須追提也。但賤生薄命。老益奇險。每於德門種種大故。未得有一番匍匐之義。念之及此。常切悚悚。謂外金雅子惺便。承一紙惠音。慰慰愧愧。尙幸故人之不忘我也。信後歲改。未審侍旁節宣。神相百福。實切願聞。示喩剛字云云。此固眞詮要訣。然所以致此剛者。何事。只守一剛字不得也。思傳所謂雖愚必明。雖柔必剛之上。有學問思辨。不得不措。人一已百之語。七非剛之之方法耶。吾旣不得爲大方家。則乃借一副神藥於古之大方家以呈之。願試嘗之。如有效焉。則且以波及於老衰膏肓之人。俾收桑楡萬分之一也。 김아(金雅) 자성(子惺) 김기경(金箕敬)을 말한다. 자는 자성, 본관은 도강(道康 )이다. 정의림의 문인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玉流洞【自金剛門五里】 洞天快豁鑿鑿白石無數平鋪一派臥瀑散渙飛流石上往往多貴人姓名東邊石壁九龍淵玉流洞門申尙書在植筆【其下橋邊石刻題名】一生泉石癖今日快於心斷壁懸危棧淸流暎絳林忽除蔬筍氣仍聽磬鍾音狂輿猶無已眞源去更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柏下見贈【幷小序】 柏下文丈。以相思一夜梅花發。分韻爲七節詩。以寄難窩。倂及無狀。擎讀屢回。其藻思遒逸雅健。深得三百篇遺旨。非近世雕鏤剽竊以爲能者比也。拚和所不敢。而盛惠不敢孤。畵葫以呈。山南水北往來相。阻涉三冬意更長。安得一樽陪杖屨。滿江明月遡遊方。癡坐書窓若有思。孤會悽切更誰知。願言惠好同歸地。又是凄風雨雪時。異說紛紜未定一。孰爲其得孰爲失。獨有心期些子兒。吾儕當與守之必。世路駸駸入晦夜。珍藏美玉不求價。嚴霜虐雪何能淫。特立蒼蒼老柏下。前宵爲蝶訪新梅。怳到龍江江上臺。一夢蘧蘧山月細。晴窓疑是玉人來。柏翁詩格錦添花。難老德音無玉遐。樗散猥參籣桂藪。餘芬猶足向人誇。有蘊何嘗率爾發。紛紛交道摠秦越。吾師自有三人行。白首論心相謂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不換亭憶林致瑞【漢圭 ○幷小序】 生林氏之秀也。早年聲華。能世其家。人皆以謝階芝籣王家樹期之。不幸中途而閼。蘭無聲而玉掩輝。明知涕泣。行路傷心。矧余與生屬不遠。重以相之深乎。傷痛悼惜。久不能忘。無心復過不換亭。是歲孟秋。爲錦愚見招。扶藜拚登。則溪岑依舊。魚鳥歡迎。而眼中不見吾致瑞。傷心彷徨。只有松風竹籟。如助余之悲懷。聊吟一律以示錦愚。錦愚盖生之族祖。而其傷痛倍於余者也。憶昨登斯亭。喜君正妙齡。草蔬延士友。詩禮服家庭。園竹抽新綠。澗松帶舊靑。境深人不見。落月滿虛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錫胤 一別經歲。悠悠懸想。曷有其極。不審仲春省餘經體候。神相康福。峽裏歲儉。調度想益窘跲。固知素貧行貧。君子所安。而奉老供旨之際。亦必有觖然於心者。區區仰慮。弟前冬告別。無撓抵巢。誠荷念曁。而但所謂讀書爲學。未有實見得。病懶又從以痼之。作輟無常。恐如此因循。遂枉了一生也。只緣本領未立。氣象淺少。恐卒不能一向擔著。若但守此塗轍。雖自謂慕聖賢而對經傳。豈有身親入道之日也。弟所憂懼者。未嘗不在此事。終亦不能大變革。依舊倀倀而已。此事固愚陋之切已病痛。雖如尊兄資質高而年未衰。家庭授受鬱有淵源者。亦不可不熟察也。試以此反 求身心。有得莫惜垂敎。此實相愛之誼如何。道途云遠。過從不易。無可添餘馥。此恨不少。只祈爲道加護。仰惟情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奇平仲 每奉兄書。如得物外奇響。令人心眼俱明。況奉書高君。仰認法家子。而學問優長。不問可知爲先生弟子。感喜何量。因審兄病彌留。仰慮則深。想惟調養得力。可保無憂。矧是所服藥餌。變老還少。仙圃長春。只在白牛山中矣。仰祝。弟新年已過兩月。強半是吟病日。因之溘然。亦非惡事。而在我不得任意。只竢命物者處分已耳。植翁間得聲聞否。歲前有經營入山之意。未知此計果能得遂也耶。懸鬱之懷。想同之也。竊有仰請者。弟於湧珍寺古墟。有卜築之意矣。家間兒曹不量力。而今方結構。扁以湧珍精舍。則六偉之文。幸望下筆。永作山中故事如何。昔鄭三峯作湧珍寺克復樓記。載在輿覽。吾兄文章。肯讓古人一頭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梁汝禎【在慶】 不面而書。古道也。老兄行之。古道復見。仰惟先誼。至今不識面。豈吾兩間所宜有。幸於今秋。令抱來顧於病伏呻吟之中。雖未能叩其心存。而觀其外。可驗其中之所存。竊爲古家賀。今又令胤遠訪。溫厚周詳。不問已知爲法家子弟。兄可謂百不憂矣。惠幅又出望外。感頌交摯。仍審經體候。神相康福。何等慰仰。弟病不離身。動輒旬朔。自知其非久於世者。賴天之靈。不遂溘然。則願與吾兄一期於靑松白雲之間。攄此積懷。豈不是快活。尊先學圃先生文集。荷此遠寄。因之窺見其宗廟之美百官之富。伏切感頌。頫示脣古云云。可發一笑。夫爲先一事。自是子孫職分。盡吾職分。而無愧於心。則外議之紛紜。何足介懷也。愚見如是。未知以爲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次淸陰亭十詠 瑞石晴雲偏愛靑山早結廬。林霏初散好風徐。浮雲一任閒舒卷。晩對晴窓淡影疎。金堂暮雨巖穴歸雲點點靑。結爲陰靄畵難形。須臾去作峯頭雨。添得西疇潤物情。紫巖松濤一色靑蒼萬窺風。搖搖盤屈似蛟龍。巖阿忽起滄波浪。靜夜常疑灑雪冬。淸溪柳烟園林日夕興悠然。弱柳如絲細織烟。一條翠帶成濃淡。和雨和風渡遠川。廣野農歌水田微雨上天雲。土鼓和謠日日聞。已將世事付身外。老去閒隨沮溺耘。長洑牧笛長堤芳草祿初齊。短笛晩風日已西。何來一曲梅花落。全勝朱門桃李蹊。牛山樵夫牛山日日伐爲薪。佳木新萌雨露春。冉冉斜陽生遠峀。數聲葉笛見樵人。柳橋行人溪上人家凡幾家。秋風蘆荻半枯花。昨夜江邊生急雨。橋頭輕涉且休誇。西峯新月山村日暮掩柴荊。人影依微仰見明。半輪宛對嵋岑色。添得騷人氣味淸。東林返照靑林斜旭背山紅。瞻在于西忽在東。須臾變幻眞奇事。誰識乾坤造化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耕隱金公孺人朴氏墓表 公諱昌浩字仲執金氏駕洛之裔也。新羅角干庾信爲中祖。本朝克一以孝著。是節孝先生。至孫馹孫以詮郞被戊午禍。是濯纓先生。無嗣。從子三足堂大有以弟縣監大壯奉其祀。是爲公十一世。鳳章仁成漢京再胤。四親諱也。外祖慶州金某。公以仁陵癸巳生。自幼孝於親。家貧不能給學。惟服勞耕稼以爲養。處兄弟克友。無有物我。治家勤儉節縮。業旣潤。周窮不吝。識者難之。樂付畎畝。無求於外。扁其居曰耕隱。洪陵壬申卒。壽僅四十。夫人密陽朴氏。密山君春山之後。處士喜煥女。少公二歲。孝養舅姑。甚有婦德。及喪所天。亟欲下從。而以膝下呱呱。忍痛耐辛。躬持門戶。誨育子孫。乞丐臨門。推食食之。窮人求穀。用斗必高。人稱夫人必有後。後公三十四年乙巳歿。合窆于南原治南南巖山負壬之坡。其祔右因地勢也。一男二女。男光斗。全州李允永慶州金正鴻壻也。孫男五容植容麟容鎰容民容重。內外曾玄甚蕃衍。可驗公與夫人之積蔭攸及也。容植白首踵門。謀余所以表其隧者。觀其古貌蒼然。所錄又質約而不眩耀。可信其言之不誣。謹最其槩而敍次之如右。冀來者之有所瞻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金公行狀 江州之西有勤儉成立者。曰金公諱尙鉉字永吉。蓋棺後十年。其孤永鐸以其族社鉉氏所撰及挽誄若干。屬不佞以事狀。蓋以不佞爲鄕里生也。辭不獲已。則謹按。光山氏自新羅王子諱興光始。嗣後連世平章事。至麗季中郞將諱維。從我太祖有征討勳。及太祖受禪。屢徵不就。南遯江州。二傳而光菴諱台鼎。文行薦參奉。嗣是四世筮仕。階禦侮者二。爲參奉者二。諱質奉事。壬辰島燹。倡義殉節。是生諱楊粹上護軍。痛父死於戰。三年廬墓。終身服緇。寔公九世。高祖諱宗振。曾祖諱自鍵。祖諱汝琯。考諱益權有隱德。妣淸州郭氏。林興外祖諱也。公以哲宗丁巳十月七日生。性强剛。秉執堅固。不隨人俯仰。不爲氣熖所撓。奉身儉。衣服器用必完固。不書與閒人追逐。而待有學有守者則加愛重焉。事親孝謹。左右就養。務得其歡。事雖微。必稟命而後行。廚供未嘗闕甘旨。里人相謂曰多子何爲。如有某一人。志體兼養則足矣。及喪其父。附身附棺誠信無憾。嘗一村失火。公自外至。慰母夫人。言笑自如。畧無沮喪之色。親賓唁之。公曰哀彼貧人。我何憂乎。自幹父之蠱。恐墜先業。盡力耕稼。畫定規模。家業因以裕。發慮深遠。制事詳密。日用事務。酬應黙運。措畫與人。然諾必重。嘗自道曰與圖大事而不泄。我其能之矣。常以不能肆力於文學爲恨。誡二子曰吾家忠孝詩禮之傳。今幾墜矣。繼續光明。吾於汝深有望焉。甲辰正月丁母夫人憂。喪葬如禮。是歲之冬得疾。疾革顧謂家人曰。喪母而不能終事死之禮罪也。敎子而未見成就恨也。更不及他事而卒。實十月二十三日某時也。得年僅四十八。葬在村北源頭谷向艮之原。嗚呼。以若公直心眞誠。終身?畝。無求於世。世無知者。又壽不稱德。未克充其志。天乎何豐於賦而嗇於命也。然當時士友挽誄之作。或稱質直純雅。或稱孝友淸儉。或稱立志篤實。慮事深遠。只此數語。亦足以不朽公矣。配草溪鄭逵穆女。晉陽姜啓基女。俱無育。草溪鄭相奎女有女士行。擧二男。長永大次永鐸一女適周永根。永大永鐸克世其家。有振振未艾之象。漑食之報。吁可驗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下泉齋韻【幷小序】 下泉朴公【淇昉】。綿鄕儒雅。余固艶聞而心識之。以其居稍左。巧失一面。而公遽作古人。今其墓草已宿。此生會合。永失其期。私竊慨恨。乃者因外兄守愚崔公。獲見公行錄一通。其居家行義。師友淵源略備。儘是豈弟而明快。惟其軒楣之扁。眷眷於宗周之一念。慨然有回淳反古之意。只此一事。足令人興感而增氣。況今冠裳倒置。蹄跡交侵。三復風泉之詩。豈有不膽裂而心腐者乎。然則扁名下泉。其有補於世敎者多矣。遂歎息拚和。以洩胸中之私慨云。草野常懸魏闕心。昇平遺蹟更難尋。暗傷禾黍膏陰厚。睠彼苞蕭寤歎深。北拱純誠斯可質。西歸一念獨懷音。知君先獲詩人意。感慨題楣淚下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황정후【열주】에게 답함 答黃正厚【悅周】 근래 인편이 있어도 번거로운 일에 구애를 받아 한 글자의 안부도 묻지 못하였네. 그런데 지금 뜻밖에도 그대 편지를 받게 되니, 편지를 보내지 않은 것에 대해 따지지 않는 마음에 더욱 감사하네. 인하여 건강도 좋으며 부지런히 활동하여 집안일을 잘 이끄는 등 모든 것이 잘 풀려나간다고 하니, 듣기에 위안과 기쁨을 이길 수가 없네. 박괘(剝卦)가 다하고 복괘(復卦)가 생겨남은 그 이치가 참으로 그러하니, 더욱 힘써 노력하여 선현을 이어야 하네. 나는 노쇠함과 병이 날로 깊어 더 이상 버티기 어렵네. 이는 당연한 형세이니 어찌하겠는가. 현재 세상의 상황은 이와 같으니,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평이한 도리를 행하면서 천명을 기다린다.[居易俟命]'121)는 네 글자를 지금 제일의 법으로 삼아 더욱 깊이 신중하게 행동해야 하네. 선친의 문집 가운데 빠진 것이 보이는데 비록 깊이 한탄한들 일이 끝날 지경에 이르렀으니, 또한 어찌할 수 없네. 다만 훗날을 기다리는 것이 좋겠네. 間因便褫。拘於冗撓。未修一字之間。今於料外。得見惠幅。其不較之意。尢可感惻。因審體節衛重。勤身克家。凡百就緖。聞不勝慰悅。剝盡復生。其理信然。益加勉焉。以趾前烈也。義林衰病日深。有難支吾。此固勢也奈何。時衆如此。復何言哉。只有居易俟命四字。爲目下第一法。千萬愼旃。先集中有所見漏。雖切恨歎。而事屬過境。亦無可奈。只俟後日爲可耳。 평이한……기다린다 《중용》 제14장에서 "군자는 평이한 도리를 행하면서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짓을 행하면서 요행을 바란다.〔君子居易以俟命, 小人行險以徼幸.〕"라는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응순【윤원】에게 주다 與朴應舜【潤瑗】 세월이 흐르는 물처럼 빨라 선부군의 상기(喪朞)가 벌써 끝나가네. 삼가 생각건대 지극한 효성은 하늘에서 근본하였으니, 개확(慨廓)122)을 어찌 견디겠는가. 멀리서 걱정하는 마음을 놓을 수 없네. 나는 외람되이 그대와 교유하는 말석에 있는데 한 번도 찾아가 위로하지 못하고 다만 편지 한 통과 예서를 보내 애오라지 직접 만난 것을 대신하니, 이 무슨 의리인가. 부끄럽고 미안하니 어떻게 사죄해야 할지 모르겠네. 다만 바라건대 조부모와 부모님을 기쁘게 모시면서 남은 힘으로 학문에 매진하여 멀리서 기대하는 마음을 저버리지 말게나. 日月流駛。先府君喪朞奄過。伏惟至孝根天。慨廓何患。慰溯區區。無任遠情。義林忝在遊從之末。而未有一造供慰。只得以一紙禮書。聊且替躬。此何義諦。愧愧悚悚。不知所以爲謝也。惟祈重省供歡。餘力進學。以副遠望。 개확(慨廓) 상(喪)을 당하여 그 슬픔이 축쇄(縮殺)되어 가는 것을 표현한 말이다. 개(慨)는 소상(小祥)을 당하여 세월이 빠른 것을 탄식하는 마음을 말하고, 확(廓)은 대상(大祥) 때 정의(情意)가 허전한 것을 표현한 말로, 《예기(禮記)》 〈단궁 상(檀弓上)〉에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內儒生幼學臣 等右謹 啓臣矣段臣矣身等伏以雙孝兼烈曠世之罕聞一善必褒 朝家之晠典臣矣身等敢將扶安縣古學生金彩相孝愛〔夫婦孝烈〕及其弟祐相妻朴氏孝烈之宲玆敢冒萬死相率號籲於法駕之前冀蒙褒揚之典是白齊盖此金彩相系出扶寧而故名臣文貞公坵之後裔故應敎臣景德之九代孫也胚胎前光生而至孝家道夙著於幹蠱奉養必稱其盡節〔養志無不是底豫〕至若菽水之供〔定省之儀〕愉怡之色特斯〔其〕人之䟽節也年纔十六〔當二十二〕丁其外艱送終居憂之節克遵古禮而祇奉偏慈及其疾劇也祈星祝天旁求醫藥是白加尼醫曰若非五桃鳥難瘳此症云此鳥乃不恒有之鳥而無處求之晝宵憂歎夢有一老來告曰爾之親劑在於邊山立巖下云故往視其處果有異鳥其羽斑斑竟〔飛〕墮巖下〔欣掬取還〕{者/大}油和藥快祛輒效〔親疾〕斯豈非誠孝所感天降異鳥之瑞耶年將六旬〔至五十一〕又遭內憂哭泣之哀孺慕之情幾至滅性鄕鄰莫不感歎其襄奉於邊山而山岳重疊程道半百也每朔望展省雖雨雪不廢年滿八耋常如一日且▣甲子冬築室于其父墓下因爲居廬晨夕進〔昏省〕拜以作畢命之所雙▣穿階切下成路人皆其根天之孝終身之指點曰孝子省墓路也慕推此槩矣其弟祐相妻密陽朴氏一自醮巹之後事母姑以誠敬夫子以禮九族親睦四隣欽歎矣年纔二十有八其夫疾革也斫指注口刲股和藥以延三日〔調藥再延晝宵〕之命乃於屬纊之日將欲下從其姑泣喩曰殉從之志義不可挽而獨我衰齡將何依賴乎朴氏幡然改容還慰其姑悲慽之氣不形〔不露悲慽之色尤勤〕甘旨之供克勤者十有一年無異一日也〔矣〕至于甲辰冬其姑以終天年終也尸處則常侍尸側殯處則常侍殯側及葬常侍墓側一坏荒山三年居廬晝宵哭泣之節朝夕奠獻之誠極殫其孝則草木▣▣▣▣山川▣▣焉氣▣焉 盡枯於淚處天地感應其誠焉適値亢旱川流涸渴無以奉誠因自歎而坎地於廬下深未及尺飛泉湧出此眞孝爲百行之原也前判書臣沈宜冕曾宰玆邑熟稔聲聞委造廬下欽艶稱賞遂名其泉曰孝烈泉因勅官屬愼勿飮之每當昏夜奇獸來獲廬〔護廬數數回行〕前神嫗踵門慰悟款款〔款款慰語〕乃是鄕鄰之所覩〔實所聞見〕則豈非孝感所致乎服闋後當其夫忌辰辛亥五月二十三日以從子〔侄〕定嗣曰汝雖幼穉可奉先祀吾死何憾處置家事一一如常厥明從容下從時年四十五也嗚呼哀哉其卓乎莫奪之節已筭於夫死之日而含哀忍死於十八年〔歲間〕者盖有姑在故也三年侍墓盡孝於姑三日回甦〔二甦罔忌〕殉烈於夫養生事死之道於斯備矣外他瑣節䟽行不可枚擧噫一門之內嫂叔〔夫婦〕盡節一身之上孝烈兼備輸藥而護廬者飛禽走獸來格也降神而出泉者天地山川感應也則非徒一道之矜式抑亦百世之模楷臣矣臣等居在儒列非敢阿好稔服其至行宲蹟不可泯默故屢呈營邑連承嘉賞之題尙未蒙㫌褒之典臣矣身等伏不勝公議之抑鬱不避猥讀玆敢齊籲伏乞天地父母特垂 鑑諒扶安縣金彩相至孝之行及其弟祐相妻朴氏孝烈之蹟 亟令害鳥特施棹楔之典伏蒙天恩爲白良結白去乎詮次善 啓向敎是事望良白內臥乎事是亦在謹 啓同治三年甲子八月 日全羅道道內儒生幼學臣 各列姓名着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連珠潭【自玉流洞二里】 石上飛沫恰如連珠古人錫名眞箇善形容也連珠不暫息流水石千齡每恨逢佳境前修已善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舞鳳瀑【自連珠潭二里】 百丈峙巖奇則奇矣而涓涓細瀑有形無形可欠可惜問甭在空山翩[䙴+羽]緣底舞知應水石間渺漭聽笙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飛鳳瀑【與舞鳳相隣】 千仞石壁與舞鳳相沙而一道飛瀑更覺稍優然終未快爽其下泓潭足慰詩眼迢遞白雲裏鳳兮千仞翔斷崖留不去一道耀祥光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