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至夜無寐。以冬至陽生春又來。分韻得七絶詩。呈金鳳于梧几。兼簡竹坡 風日凄凄是仲冬。孤懷寥落掩蒿蓬。山村豆粥盈沙鉢。始覺今朝亞歲逢。六十光陰於世寄。玄天況復日南至。已知書劒心與違。白首悲歌謾自愧。滾滾天機不暫息。子雷聲裡動微陽。遙想此時琴鶴友。那堪愁緖客愁鄕。此世將窮百感生。中宵耿耿夢難成。腥塵滿地無人掃。謾學詩書不學兵。老鳳休儀竹與隣。相將妙曲和陽春。安得剡溪乘興去。一船共載兩三人。千林搖落雪霜又。松柏亭亭也獨秀。看取庭前一色蒼。歲寒心事尙依舊。老慣人間歲月催。思君懷抱若爲開。東閣寒梅春色早。雪中倘寄一枝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病中和難窩見贈 兩衰共臥病。各在東西庄。神摧氣又餒。敢望和詩章。枵如無用樗。枯似逢閏楊。相思不相見。一日三秋長。欲起復顚倒。臥牀心渺茫。親懿來相問。異事驚閭鄕。賤病胡如此。美疹亦堪傷。伏枕驚起呼。誰乎却彷徨。贈我一幅書。未展喜溢睚。珍重卅二句。病錄寫一場。定力神所扶。旋復吾已量。綺語渾然成。俗輩走且僵。摩挲百千回。窓外轉夕陽。願詩先倒白。坡賦喜誦黃。多謝出心貺。何減對面詳。泄證與腰疼。大小皆狽狼。身運乃如許。遑恤田頭秧。却思君子憂。所祟非下堂。令似殫誠力。侍疾焦煎腸。天理有感應。請君莫憂惶。薑桂助滋味。葵藿作羹湯。咬菜百事做。此語竊聞嘗。行止隨霽潦。起居適暄凉。靜攝此無過。有美且晦光。願言無病日。追逐不離傍。加餐須努力。是余心所望。浮生如夢寐。世事益莽蒼。蟲肝與鼠臂。此說誠荒唐。飛鳶與躍魚。妙理豈尋常。隨遇安此心。有事幸勿忘。盛作愚欲和。呻吟半雜荒。拙語勿示人。祇恐譏濫觴。大匠久不遇。杞梓視樗薪。擧世皆俗子。誰憐病鶴呻。難翁今而古。溫雅天賦均。綦几或㗳隱。湯盤又日新。如何抱貞疾。向我苦語隣。貧也知非憊。老甘錦里巾。隔隣同病者。賢愚敢擬倫。胸塞一逕茅。面撲三斗塵。警語情溢幅。珠玉摠不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監察李公行狀 公諱根培字允卿。號曰弄溪。因地名也。李氏陜川人。新羅佐理功臣諱謁平爲鼻祖。江陽君諱開。羅亡罔僕。見廢爲陜川戶長。實受貫之祖也。判司諱若襲封江陽。入我朝諱岑兵曹參判。是生諱季仲文承旨。是生諱以江大提學。是生諱叔長文參判。與姜戇菴翼文立節昏朝。生諱遇範文府使。五傳而諱思伯。壽階嘉善號耕雲。晩遯三山。行義自勵。是公五世。高祖諱彭哲。曾祖諱增馨。祖諱淳國號德菴有陰德。考諱邦彦五衛將。前後妣昌寧成氏瑞淳女。彦陽金氏銀魯女。金氏以哲廟辛亥三月十日生公于陜之上谷里第。公幼有異質。嬉戱不與人爭。上塾不煩督勵。從人授讀。弗精熟弗措也。性儉而謹身。不近華奢。口不出鄙俚。眉宇豐厚。動止安閒。望之知其爲寬厚長者。大人公性嚴。難悅其志。公益怡愉洞屬。無或違忤。及病脹甚。公不離側。以背代几。使之憑倚。夜不交睫幾數月。目赤皮立。家人憂之而少無難色。處兄弟枕被與同。遇美味。必先獻伯公。而與弟分之。伯公夭歿。其夫人亦辦命下從。宗宅寂無幹蠱者。公殫心周章以安親心。嫁聚孤姪。無或失時。友弟尤篤。務相怡怡。雖有違拂之事。無毫髮相校之意。常曰古人云式相好矣。無相猶矣。此至言也。矧吾兄弟三人。伯氏早世。惟有一弟在。豈不相憐。初多産男不育。晩得一子。雖甚鍾愛。無喣喣色。謂不學無以爲人。又恐在家業不專。使之尋師取友。彌月不面而不以爲懷。文房雜需。資之綽有餘裕。其式似一念。炳然如丹。奉先極其誠。損貲拮据。圖置祭田以豐累世香火之需。丙舍有役。挺身獨賢。以備宗族會睦之資。隣里姻戚之間。吉凶有急。必以物助之曰。非望報也。相救之道當如是。平生謙牧。不皎皎以爲白。不嶢嶢以爲高。及至公私善利分割去處。內守自定。不少撓奪。與人交誠信爲主。人不敢以虛僞之辭進焉。喜欲酒。未嘗有沈醉失儀。人或有犯。言笑如常。泰然若無聞。於文學之士。雖年少必加敬焉。世間芬華榮利。原來白淡淡也。嘗除司憲府監察。公不爲官服曰。草野愚賤。猥忝職名。曾是匪據。矧無一字補袞職。而晏然榮君賜著緋服。不亦愧甚乎。或有勸之者。而竟不聽。終其身。人不知其爲品官也。以行年七十四癸亥七月十七日考終于寢。葬于三嘉古縣小竹竹村邊負寅之原。從先兆也。配晉陽姜氏起祚女。早歿。墓在界山里黃沙谷艮坐。繼配瑞山鄭氏松菴煥禹女。卽余伯姊。賢有行。後公十一年歿。墓在所居村後鳩嶺山下丑坐。一男四女。男稷鉉女南平文炯周義城金基文尙州周悅會鄭出也。女晉州柳遠華姜出也。孫男漢瑚漢吉。安東權台鉉壻也。柳男眞年。文男判甲。金男甫鉉道鉉祐鉉宗鉉。周男永述永祚。公生世七十年。未嘗作皺眉事。禍福之來。隨遇順處。無怨尤色。坦率樂易。而有由然不自失之操。謙退巽順。而有卑不可踰之德。與之處忠信謹介。好古樂善之意。藹然溢露於辭色之際。人之見之者。無賢愚親疎。莫不懷其仁而服其誠也。昔余童子時。傷貧失學。公招致于家。俾從師專業。數朔如一日。自後益勸戒以門戶之責。及余峽裏開塾。送子受經。問遺不絶。嘗造余山廬。酒半慷慨言曰。幼而學之。壯欲行之。世入漆室。士無歸處。此最痛恨。雖然收拾殘緖以爲異日大來之基。未嘗不在儒者身上。其責顧不重歟。余雖不才。其責勉之至意。無或敢忘。而公已九原。余竟白首阿蒙。負公多矣。日稷鉉錄公事行來曰。吾叔之於吾父。以陵原之親。而實兼管鮑之知己。狀行之筆。吾叔不當辭也。余雖負公爲愧。庶或因此而白公於世。則亦可爲酬荷之萬一耶。遂節取而序次之如右。以備秉筆家之採擇焉。謹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愚谷鄭公墓表 公諱煥三字洛範。愚谷號也。鄭氏系出延日。圃隱文忠先生夢周之後也。四傳而道菴智忠。光廟朝自靖于集賢山中。中宗朝特賜右議政。五傳而栗里夔。從師河謙齋弘度門。子思菴思錫。自晉移河。於公間七世。曰思玉曰監察民濟曰監役利采。曾祖禰也。陜川李亨奎外祖也。公生而秀異。顔腴貌豐。性度坦易。人未嘗見其疾遽色。幼時見羣兒欲殺飢烏。瞿然曰飢不忍見。況殺之乎。遂奪而放之。見者異之。年二十五登司馬。榮耀門欄。而不以自多也。事親克孝。父公嘗卒于京千里。返葬累日不食。而葬附畢。日展省。風雨不能尼。中間移住。隔母居十許里。而無日不在母側。伯氏止之而不聞也。及喪哀毁盡禮。三年如一日。處兄弟服食器用。無有爾我。見人有急。必極力救之。一友人負病入門。旬餘乃死。公手自襲斂。具棺槨送歸。其家來欲償債。而公揮之不受也。世道日下。無意經心。逍遙山水間以終。實丁巳十一月也。距生洪陵庚午。年僅四十八。琵琶洞負甲之阡。其葬也。配宜寧余氏全州李氏昌寧曺氏。曺氏生二男二女。瑽基攝基男也。李煥雨洪秉哲壻也。攝基以其堂兄愚山所爲狀。來乞表隧之文。愚山信筆可據。不敢以衰病辭。嗟乎早登庠而不汲汲於聲利之塗。幼失學而不眛眛於踐履之方者。世間能幾人。天苟假年。宜其綽有樹立。而夭扎乃如此。嗚呼悲夫。撮揭羨門。用勖行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貞夫人李氏墓表 貞夫人李氏。故同中樞廉公諱馹洙之配也。公坡州人。忠敬公悌臣及板橋世應之後。嘉善基鉉之子也。夫人籍慶州。文孝公蒨靖順公誠中其顯祖。父慶燁壽通政。大父寅芳進士。金孟孫外大父也。夫人幼有淑姿。又聰敏。能怡愉於父母。紡績助奠。不煩姆敎。年十八而歸。事尊章如事父母。躬服勞以供具。謹候視以稱旨。其喪也。附身之物。必致誠信。其祭也。齊明致慤。烹炙滌濯。不委娣姒。佐夫子。見有不合於義。必婉而規之。敎子有法度。常戒之曰。門戶扶持。惟汝責也。家故貧甚。夫人執勞濟生。綜理密切。節以存贏。迨晩歲稍豐饒矣。同爨數十口。能軫飢寒均勞逸。曲輸恩義。閨門之內肅雍如也。其生爲哲廟丁巳。其卒爲庚午二月。其葬再遷于寶城水月村後桂花嶝乾原。夫公墓綾州風流峙南山嶝坤坐是也。一男秉燮。二女適李鍾万金泰珍。孫璟烈丞烈。李男石淳龍淳亮淳。金男正錫。餘不錄。始與秉燮友善也。視其雅而貞。且篤信好古。樂從賢士友遊。竊意其有所受。乃今知先夫人之敎使之然也。夫婦人無外事。無非無儀。惟德是行。而夫人之德如是。宜陰毓厥祉以綏其後也。琦雖無文。好懿有素。今於阡刻之徵。不辭而諾。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48년 부안군(扶安郡) 일도면(一道面) 당북하리(堂北下里) 화민(化民) 김채상(金彩相)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戊申年 金彩相 戊申年 金彩相 扶安縣監 전라북도 부안군 6.8*6.8(정방형) 적색 3개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김낙원【영희】에게 답함 答金樂元【泳喜】 빛나는 모습으로 찾아왔다가119) 이어서 편지를 보내니, 나에 대해 돌아봐주는 마음에 감사함이 그지없네. 인하여 부모를 모시면서 건강하다고 하니, 더욱 위안이 되네. 선대의 묘에 관한 일은 지금 어떤 양상인가. 삼가하여 급하게 자신이 바라는 것을 펼치려고 하지 말고 모름지기 곡절에 맞게 조정하여 순조롭게 마치기를 기다리는 것이 어떻겠는가. 천하의 일은 거의 대부분 이와 같으니, 다만 모름지기 나의 편에서 잘못한 것이 없게 해야 하네. 맹자가 등문공에게 고한 말에 "임금은 저들에게 어찌할 수 있겠습니까. 억지로라도 선을 행할 따름입니다."120)라고 하였으니, 이 또한 한미하고 약한 가문이 세상에 대처하고 남을 상대하는 요점이 되는 말이네. 바라건대 깊이 생각해보는 것이 어떠한가. 賁然來思。繼而書焉。仰認傾眷。感荷没量。因審侍省衛重。尤以爲慰。先壠有事。今作何狀。愼勿遽求自伸。須委曲調停。待其妥帖如何。天下事擧皆如此。只要在我者無有所失而已。孟子告滕文公語。君於彼何哉。強爲善而巳。此亦可爲微門弱族。處世應物之一副要語。幸思之如何。 빛나는 모습으로 찾아왔다가 《시경》 〈소아 백구(白駒)〉에 "깨끗하고 깨끗한 흰 망아지, 빛나는 모습으로 타고 오네.[皎皎白駒, 賁然來思.]"라고 하였다. 임금은……따름입니다 《맹자》 〈양혜왕하(梁惠王下)〉에 나온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축년 우한봉(禹漢鳳)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癸丑三月二十六日 禹漢鳳 金生員宅 癸丑三月二十六日 禹漢鳳 金生員宅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계축년 3월 26일에 우한봉이 부안에 사는 김생원댁에 보낸 혼서. 계축년(癸丑年) 3월 26일에 우한봉(禹漢鳳)이 부안(扶安)에 사는 김생원댁(金生員宅)에 보낸 혼서(婚書)이다. 우한봉은 자신의 둘째 아들 팔룡(八龍)의 신부 집에 이 문기를 예단과 함께 보냈다. 우한봉은 아들 우팔룡의 혼사를 치루기 위해 이 문기를 작성하여 신부 집에 보냈다. 우한봉의 본관은 단양(丹陽)이지만, 어느 곳에 거주하고 있었는 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축년 부안김씨가(扶安金氏家) 연길(涓吉)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癸丑三月二十六日 癸丑三月二十六日 扶安 扶安金氏家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부안김씨가에서 받은 연길. 부안김씨가에서 신부집으로부터 받은 연길(涓吉)이다. 신랑은 무술생, 신부는 병신생으로 혼인날짜를 계축년 3월 26일로 잡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담와기 澹窩記 사람의 마음은 달콤함을 좋아하고 괴로움을 싫어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나 괴로움은 본디 항구적일 수 없고, 달콤함도 항구적일 수 없다. 좋아함도 없고 싫어함도 없이 항구적일 수 있는 것은 오직 담박함뿐이다. 이 때문에 천지의 조화와 만물의 변화, 인심의 작용이 진실로 담박함 가운데에서 나오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나의 벗 담와옹(澹窩翁)은 평생 불우하여 온갖 고생을 다 겪고서 노년에 이르러 세상의 온갖 근심들이 차츰차츰 사라져 묵은 재처럼 이미 차가워지고, 뜬구름처럼 이미 흩어졌다. 백발에 텅 빈 집에서 밤낮으로 상대하는 것이라곤 오직 높은 산과 흐르는 강물, 맑은 바람과 밝은 달처럼 진실로 담박한 것들뿐인지라 안목이 날로 더욱 맑아지고, 마음이 날로 더욱 고요해지는 것이 마치 나무껍질이 벗겨지고 나서야 진액이 굳어지고, 누에가 늙고서야 고치를 켜는 것과 같았으니, 옹의 노년 사업이 또한 이 '담(澹)'이라는 글자 가운데서 나오지 않을 줄 어찌 알겠는가.나 같은 사람은 늙을수록 더욱 세상일에 빠져서 괴로운 일들이 만 가지로 일어나니, 바라건대 옹은 사방의 벽에 남아있는 빛을 아끼지 말아서 함께 쇠약해져가는 이 한 벗의 인생을 위로해 주시게나. 人之情。莫不喜甘而厭苦。然苦固不可常。而甘亦不可常。若其無喜無厭而可以常久者。其惟澹乎。是以天地之化。萬物之變。人心之用。無不自眞澹中出來。余友澹窩翁。平生落拓。備經辛苦。至於老而凡百世慮。浸浸銷歇。如宿灰之已冷。浮雲之已散。而白首空堂。所與日夕相對者。惟是高山流水。淸風明月。眞澹澹地而已。眼界日益淸閒。心地日益恬靜。如木脫而津精固。蠶老而經綸出。安知翁老年事業。亦不從此澹字中出來耶。如余老益汨沒。辛酸萬端。願翁勿吝四壁之餘光。以慰此同衰一友生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고경부에게 주다 書贈高經夫 옛사람이 말하기를, "뜻[志]이 장수이다." 하였고, 또 말하기를, "공이 이루어지는 것은 오직 뜻에 달려 있다." 하였다.  꽃을 구경하고 버들가지를 꺾으며 물이나 나무를 운반하는 것은 소소한 일이지만 뜻을 세우지 않고 이루어 낼 수 있는 것은 없는데, 하물며 학문을 하는 것은 큰 공부이고, 성현이 되는 것은 큰 사업이니, 뜻이 없이 얻을 수 있겠는가.천지간에 천성인 형색을 실천하고 본성을 다하여 천만년 오래도록 표준이 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성인만이 이러한 사람일 뿐이니, 나 또한 성인처럼 되기를 바라는 것을 자기의 분수에 마땅히 해야 할 일로 삼고, 자신을 작게 여겨 뒤로 물러나려는 마음이 조금도 들게 하지 않는 것이 바로 뜻을 세우는 것이다. 이는 뜻을 세우는 것이 학문의 첫 출발점이 되는 이유이다. 그러나 세운 뜻을 지키는 것이 견고하지 않고 태만하거나 중단하면 연지로 그림을 그리거나 얼음에 새기는 일인들 어찌 이룰 수 있겠는가. 이는 뜻을 지키는 것이 학문의 요법(要法)이 되는 이유이다.뜻은 형체가 없으니, 그것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의관을 단정하게 하고 시선을 존엄하게 가지며, 용모를 바르게 하고 생각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을, 마치 상제(上帝)를 대하는 것처럼 하고 전쟁의 진지(陣地)에 있는 것처럼 하는 것들이 모두 뜻을 지키는 방법이니, 진실로 뜻을 세움이 높고 지킴이 확고하며, 또 사색하고 실천해 나가는 공부로 수레의 바퀴와 새의 날개처럼 서로 닦고 도와서 오래오래 그치지 않는다면 성인처럼 되는 것을 바라는 공부에 가깝지 않겠는가.고군(高君) 경부(經夫)는 용모와 행동거지가 단정하고 진중하며 말과 논변에 근거가 있었다.나는 오래전부터 그가 뜻을 지닌 사람임을 알고 있었기에 부족하나마 그에 대해 들었던 것을 외어서 소원하게 여기지 않는 마음의 만분의 일이나마 답한다. 古人曰。志帥也。又曰。功成惟志。夫看花折柳。運水搬柴。小小事。未有志不立而能有成者。況學問大功夫。聖賢大事業。可以無志而得之乎。天地間。能踐形盡性而爲千萬古標準。惟聖人是己。我亦以希聖爲己分合做底事。不使有一毫自小退托之心。便是立志。此立志所以爲學問之初着也。然持之不固。怠忽間斷。則脂畵氷鏤。曷以有成。此持志所以爲學問之要法也。志無形。其持之當如何。正衣冠。尊瞻視。動容貌。整思慮。如對上帝。如在戰陣。皆是持之之法。苟能立之高。持之確。又以思索踐履之功。交修而夾輔之。如車之輪鳥之翼。久久不息。則於希聖之功。不其幾矣乎。高君經夫容止端詳。言論有據。吾知其爲有志之人久矣。聊誦所聞。以塞其不遐之萬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神溪寺次萬歲樓板上韻 寺中別無他景大法堂冥府殿左右僧房與他寺皆同但水砧比諸神興寺排置尙多萬歲樓上有新造大木櫃簸揚之具兩件想此刹稍饒而然歟【門樓上木刻題名】◌椒泉翁詩曰遵海而山漸入嘉羊腸九折等三巴名區盡是神僊跡眞境無非釋氏家翠滴栢林餘宿雨紅蒸楓樹映朝霞他時倘有華人見名勝吾東欲一誇【僧有敬眞富聰正惠致聖等◌木櫃名自知風云】海上蓬萊客秋風任所之九龍猶後戀萬物似前期驛店征鞭駐禪樓坐席移此行充有得夸耀揭名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士成【晚植】 追思幾年前一面。如前生事。謂當置之相忘。豈料此生得奉翰命耶。感倒之極。罔知攸謝。仰審竆臘靜體百福。實叶遠聞。弟衰甚病甚。直一語食屍。第所示責諭。悚懼之餘。可發一囅。貴族冕植。初不知其何狀。則其先世竪碑。何可立論乎。此是情外事。且以長田李友言之。一別十年餘。偶逢於中路。寄宿於草枝。別無此等議論。設有所問。不過沈同之問伐燕。弟雖好忘。必不至忘其身者。則相見未數月。全不記憶乎。似是中間造語。兄責雖深。于我何事。爵秩階級。古今不同。禮儀贊成。似非議政府職銜也。且崇政崇祿。亦非一端關繫。而在於陞資與否。此不須分別也如何。大抵神道碑文字。必位德相稱然後。可得下筆。如弟腐儒。以何各色。掛名於石面耶。千不是萬不是。幸須恕諒。而使賤狀無得罪於今與後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趙成汝【章變】 凍雪封山。峭然孤坐。忽蒙華翰入手。玩讀數四。使人心醒。極慰寥落。仍審尊體衛道百重。何等仰賀。第其憂時傷俗扶正斥邪之意。溢於幅面。有以仰學問義理之足以牖迷而開蒙也。蚩蚩愚俗。何足介意。且狂秦之虐焰。不能使吾道長絶。則惟在吾黨之士。特立獨行。講明斯道。不爲邪說所移。彼螮蝀於一時者。自當見晛矣。矯捄之責。當今之世。捨兄其誰。不勝顒祝。心性理氣之說。先儒之聚訟久矣。然皆本於程朱之成法。而或有見不到處。未有如兼山之倡爲師弟之言。自以爲是者也。吾雖未見其成書。而聞其徒誦傳之語。則曰心統於性情云。此果成說乎。又聞主氣之言。則曰明氣之學爲異端。則暗氣之學爲正道耶云。此果賢者之所言乎。吾意則以爲必非兼山之言也。第於早晚得見彼中所著說。而若果如右。則思欲辨論。而亦當就正於老兄矣。諒下如何。日暮途遠。會合無期。臨楮惘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趙成汝 不相忘者。惟心存。豈以見不見爲盈朒。林生便惠書。圭復以回。有以仰不遺故舊之盛誼。而足可爲對面之亞。感仰何可勝。示喩縷縷。憂世道扶斯文之意。溢於言外。非但見識高明若是。苦心血誠。世有幾人。尤可欽仰。頑愚如儂者。十駕難追。某人性師心弟與明氣之論。或入於賤者之耳。而非惟不與辨。亦不必辨也。邪說害正。何時無之。而心性情界分則甚昭昭。今曰性尊而心卑。判然爲兩件。則心之有未發已發。而性情已分。與夫心統性情之語。何以區處。明理之說。兄論之詳矣。但彼人務欲突過前人。刱爲新說。自是本來伎倆。與之爭辨。不亦勞乎。世俗日就汙下。變形毁髮。如赴樂地。舌弊而不可捄。寧欲溘然無聞耳。吾儕俱在衰暮。只切雲樹之恩而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淵潭橋【自飛鳳瀑可爲一里】 數條長木臥壓絶壑卽九龍淵八潭門路故因以錫名石上鐫刻九淵與八潭俯仰洞西南仄逕迷何在飛橋更架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九成臺【自淵潭橋二里】 老巖峭立有鳳翔千仞之勢特書九成臺曺尙書鳳振儀卿筆舞鳳飛何去獨留臺九成衝波來擊石彷佛舜韶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普光庵【在神溪西未滿一里】 九龍二鳳之瀑周流遍覽回到玉流洞忽逢急雨避入巖窟裏得喫茶飯【山中遇雨景色可掬】仍跋涉扶笻還尋神溪蹊徑滑仄衣冠漏濕以人觀我行色愁慘尙有餘興冒雨而入小庵與兩三老髠坐而談玄以我觀我可堪一噱巖壑幽庵在禪家別洞天神溪數弓外小漵半庭邊畵鼓房中設花袈架上懸百忙山雨裏游眺坐怡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居雜詠十一首 玉宇迢迢月滿庭。幽人無寐對山靑。繚環盤谷人宜隱。雨露平川地亦靈。松盖迎門依舊面。磵流鳴瑟助新聽。秖今海外腥塵漲。可奈窮廬鬢髮星。送盡三秋亦少歡。偏憐病骨不勝寒。及時勉學文章富。暇日登高眼界寬。曉洞雨過雲意濕。晩林霜落葉聲乾。興來獨酌三杯酒。爲潟孤懷徙倚欄。爲客山門夜亦開。逢君疑是玉人梅。烟凝丹竈微生篆。石古蒼顔半蝕苔。柱史出關身且隱。漆嫠恤緯淚盈腮。中天四望雲俱黑。老我愁腸日九回。衰柳疎松繞宅邊。洞天繚曲鎖雲烟。芝歌晩唱商岑老。瓢飮自怡陋巷賢。擧世同歸新俗化。吾儒當講古人篇。暮年料理生涯淡。山下身耕數畝田。蕭條落木一孤村。列嶂爲峯石作門。學習精工眞可樂。紛紜時事且休言。松髥閱歲彌堅色。梅骨衝寒欲返魂。醉臥空山山月細。箇中趣味更堪論。萬木經霜箇箇黃。偏憐松桂晩來香。高情日日懷陶醉。夙志嘐嘐慕點狂。世事桑田成碧海。天時陰底動微陽。悠然更起推窓坐。黙對靑山遣興長。丈夫虛老水南家。撫劒悲歌感歲華。對鏡還慚頭滿雪。看書多怪眼生花。枵如莊櫟眞無用。才似黔驢謾自誇。願借平成神禹化。九州永賴見蠶麻。中宵轉輾悔心萌。老我無聞畏後生。每恨春秋無地讀。擬操耒耜伴雲耕。良材閱盡風霜困。外物同歸草芥輕。何處腥塵來到此。不妨晩作山翁名。穿雲躡磴扣山廬。竟夕高談勝讀書。閱盡人心誰毁譽。算來世事足乘除。賴君携酒因成醉。號我能詩在不居。一曲淸溪風浪少。塵埃何用染衣裾。縹緲山樓遠景含。爲邀賓客逕開三。匣裡靑萍曾未試。鏡中白髮却多慚。風竹鳴韶還忘肉。霜風礙日自成酣。於斯飮啄無餘事。信步悠然下水南。林閣幽幽在磵坡。閒中自矢碩人歌。神交已定同嵆呂。古宅猶存似庾羅。晧月襟懷留舊約。小春時節近陽和。前宵驚罷淸都夢。應是眞僊化鶴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癸丑九月到石門謾賦八絶 吾祖當年卜此堂。至今草木尙餘光。靑山不老秋容淡。靜對琴書世慮忘。世路如今險路難。風塵無地可偸安。周制漢儀那復覩。此生惟有寸心丹。寒雨初收落日斜。淸秋物色饒山家。伊來漸覺生涯淡。楓葉蕭蕭菊有花。靜裡山容太古深。松風時奏自然音。幽伸無事還多事。邀月晴窓送夕陰。隱居欲就澗之阿。浮世喧啾度外過。時有冠童來問學。逍遙日夕詠而歌。非農非士老於鄕。無事携笻步夕陽。慨我心中何所念。悠然揮淚下泉章。穹然山北水之南。虛老人間慷慨男。爲勉諸生勤洗垢。源頭活水自成潭。竟日山門客到稀。霜鴻嘶斷白雲飛。靑燈石屋無塵想。微爾淸閒誰與歸。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