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여안에게 화답하다 和汝安 대설이 꽃잎처럼 날려 온 누리 아름다우니 大雪颺花滿地佳옆 사람아 또한 이 생애를 묻지 마오 傍人且莫問生涯그 누가 좋은 일을 그림으로 그렸을까 誰歟好事作圖畵천고토록 원안112)과 함께 누워 있으리라 千古袁安臥與偕 大雪颺花滿地佳, 傍人且莫問生涯.誰歟好事作圖畵? 千古袁安臥與偕. 원안(袁安) 후한(後漢) 때 사람이다. 그는 눈이 내리면 쓸지 않고 문을 닫은 채 누워 있었다고 한다. 《後漢書 袁安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피서하는 서양 사람의 집에 들러 過西洋人避暑室 천 겹의 깊이와 만 길이 높이 千疊之深萬仞崇언뜻 보니 붉고 푸른빛이 하늘에 빛나네 忽看丹碧耀中空샘물은 영험이 있어 쌓인 담증을 없애고 泉脈有靈消痰積바다 어귀가 눈에 들어오니 가슴이 트이네 海門入望豁衿胸다른 종족인데도 도리어 지리를 잘 알고 異類還能知地理마음은 절로 조물주와 같음이 있네 有心似若自天公산골 백성들 서글프게 고용살이를 하여 峽氓哀爾爲傭雇적은 돈이 생기면 기쁨이 얼굴에 가득할 뿐 但得些錢喜滿容 千疊之深萬仞崇, 忽看丹碧耀中空.泉脈有靈消痰積, 海門入望豁衿胸.異類還能知地理, 有心似若自天公.峽氓哀爾爲傭雇, 但得些錢喜滿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덕재【인환】에게 답함 答李德哉【仁煥】 뜻하지 않게 서한을 받았으니 감격스러움을 어떻게 비유하겠습니까. 지난번 이별할 때 비를 무릅쓰고 저물녘에 길을 나섰으니 곤란했던 상황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근래에 개장(改葬)하였다고 들었는데 막 초상(初喪)을 치르는 듯한 애통한 심정을 어떻게 견디십니까? 길일을 택해 안치하는 것 또한 성효(誠孝 참된 효심)에서 나온 것입니다. 형들의 편지 내용은 삼가 잘 알겠습니다만, 형들께서 신중하게 생각하지 않으신 듯합니다. 그처럼 즐겁게 노는 장소에서 어찌 반드시 억지로 문호(門戶)를 세워 여러 사람의 비난을 불러들이겠습니까. 천만번 신중해야 합니다. 보낸 편지에 운운하신 것은 참으로 많은 사람의 일반적인 병통입니다. 마음에 주인이 없으면 일을 겪을 때마다 그 일에 골몰하는 것이 진실로 자연스러운 형세입니다. 일이 이르기도 전에 미리 맞이하고 일이 이미 지나갔건만 뒤쫓아 간다면 생각이 꼬리를 물고 바뀌며 번갈아 찾아와 틈이 없게 됩니다. 이것을 벗어나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마음에 주인이 있어야 합니다. 어떻게 해야 주인이 되겠습니까. 경(敬)일 뿐입니다. 그러나 오로지 '경(敬)'만 지켜서는 주인이 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의리를 궁구하고 분명하게 처치한 다음에야 점차 효과가 드러날 수 있습니다. 의림(義林)은 바로 이 첫 번째 관문(關門)에 주저앉아 통과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망연자실하고 있습니다. 다만 들었던 말을 되뇌어 저를 멀리하지 않는 성의에 조금이나마 보답하고자 합니다. 양찰(諒察)하시기 바랍니다. 謂外得書。感感何喩。向別時。冒雨觸暮。其窘可想。聞近經緬事。如新之痛。何以支慰。協吉安措。亦誠孝致然。僉兄書謹已領悉。而恐僉兄未加三思也。以若游好之場何必强立門戶。以來多少人言耶。千萬愼審也。來喩云云。此固衆人通病也。心旣無主。則隨事汨沒。勢所固然。事未至而迎之。事已過而將之。念念遷革交來無間。若欲免此。須是心有主。如何爲主。敬而已矣。然專守着一箇敬不得。必須窮索義理。斷置分明然後。可以漸次見功矣。義林正坐此一關不透。至今倀倀。聊誦所聞以塞不遐之萬一。幸諒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건칠【두환】에게 답함 答李建七【斗煥】 뜻밖의 그대의 편지를 받으니 감사한 마음을 헤아릴 수 없습니다. 편지를 받고서 부모님 곁에서 생활하시며 때에 따라 건강히 계신 줄 알게 되었는데, 참으로 듣고 싶었던 말입니다. '선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즐겁다【爲善最樂】118)'라고 한 말과 '덕을 닦으면 날마다 훌륭해진다.【作德日休】'라고 한 말은, 고인이 사랑하고 감상한 말입니다. 집에서 한가로이 지내면서 마음속에는 묵묵히 이해되어 위로되고 기뻐할 만한 내용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매번 그리운 마음 간절합니다. 저는 쇠약함이 날로 심해지고 예전의 학업은 날로 후퇴하니, 그저 따라갈 수 없는 한탄스러움만 절실할 뿐입니다. 謂外惠存。感感沒量。因審侍旁動止。以時增重。尤副願聞。爲善最樂。作德日休。此是古人所愛賞語也。未知居家燕息。有所黙會於心。而可以慰悅者否。每切向逞。義林衰索日甚。舊業日退。只切靡逮之恨而已。 선한 …… 즐겁다.【爲善最樂】 후한 광무제(後漢光武帝)의 여덟째 아들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이 집에 있을 때, 광무제가 어떤 일이 가장 즐거운지 묻자, "선을 행하는 것이 가장 즐겁습니다.【爲善最樂.】"라고 대답한 고사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羅進士【元錫】松石軒韻【幷小序】 羅上舍松石公。吾鄕先輩也。不侫少也獲拜顔範。其魁梧軒昻之氣。求諸古人。亦不多得。丙寅沁都之變。公以本州倡義。行至完府。聞賊平而還。未展素抱。而忘身殉國之心。足可想像矣。況其劒歌數闋。讀之令人氣作於中。噫。公遽古矣。時事日非一區鰈域。盡爲氈裘。使公而在者。必能奮發忠義。掃除妖氛。而九原不可作。只增志士之悲而已。遂步其堂韻。以寓慕仰之忱云。倡義歸來歲月長。偏憐松石鬱乎蒼。奇姿韞得荊山玉。老幹借樓雲鶴翔。醒醉任情堪把玩。盤桓自適覺淸凉。丈人氣節同符此。高笑塵寰勢利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봉서에게 답함 答李鳳瑞 《대학혹문(大學或問)》은 근래 이미 공부를 마치셨는지요? 거경(居敬)과 치지(致知)는 학문의 본령으로, 이 책보다 자세하게 갖추어진 책은 없습니다. 형은 스스로 생각하기에 이 책을 읽고 효과를 본 것이 읽지 않았을 때와 어떠하십니까? 이 또한 통렬히 성찰해야 하는 부분이니 모호하거나 간단하게 처리하고 그쳐서는 안 됩니다. 아우 같은 사람이야 더욱이 말할 가치가 있겠습니까. 매번 쇠잔한 기력을 수습하여 조금이나마 보충할 수 있기를 바라지만, 근년 이래 매우 쇠미해져서 시야는 흐릿하고 귀는 어두우며 정신은 소모되었습니다. 어제 어떤 사람을 보았더라도 오늘이면 이미 누구인지 분별하지 못하고 아침에 책 한 권을 보았더라도 해질녘이면 이미 무슨 말인지 기억하지 못합니다. 이와 같은 처지인데, 앞으로 더 나아가기를 바란다면 망령되지 않겠습니까. 아, 무슨 사업(事業)으로 세월을 보내느라 이처럼 때를 놓치고 낭패를 당하게 되었을까요. 하늘을 쳐다보고 땅을 굽어보면서 크게 탄식할 뿐입니다. 大學或問近已卒業否。居敬致知。爲學本領。而其詳莫備於此書。兄自念讀此見效。與不讀時何如。此亦痛加省察處。不可含糊苟簡而已也。如弟者。尤何足道也。每欲收拾殘力。得補萬一。而比年以來。衰徵大至。視昏聽瑩。精耗神短。昨見一人。今已不辨爲阿誰。朝看一書。暮已不記爲何語。如此而望有所造者。其非妄乎。嗚呼。何事業送歲月。而至於失時狼狽如是也。俯仰浩歎而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노우언【창석】에게 보냄 與盧禹言【昌錫】 가을을 알리는 바람 소리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으니 그리운 생각이 배나 지극합니다. 정양(靜養)하며 잘 지내시고 건강도 다복하신지 모르겠습니다. 형문(衡門 은자의 거처)은 조용하고 한가하며 바람과 달빛은 끝없이 펼쳐졌을 터이니 옷자락 나부끼며 한가롭게 소요하는 즐거움이 어떠신지요? 성현의 경전이 서안(書案)에 가득하고 부자(夫子)께서 자리에 앉아 계시니, 학문을 하는 여가에 1~2편의 글을 펼쳐 읽고 1~2편의 시를 음미하여 마음에 꼭 들어맞고 몸에 절실하게 하십시오. 하루하루가 이와 같아 계속되는 과정(課程)이 있다면 그 심장(深長)한 의미는 형언하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는 나이와 기력이 이미 젊고 건장하던 시절이 아니니 독서를 하더라도 어찌 문인 재자(文人才子)가 되려고 하겠습니까. 어찌 작록(爵祿)을 구하고 과거에 급제하려고 하겠습니까. 그저 한 자(字)를 읽으면 한 자만큼의 유익함이 있고 하루 동안 책을 읽으면 하루 몫의 식견이 생기니 세상에서 헛된 사람이 되지 않기만 바랄 뿐입니다. 복잡한 세상일을 어찌 마음에 담을 수 있겠습니까. 득실과 우열은 하늘에 달려있을 뿐입니다. 은거하면서 의를 행하는 우리 벗은 운치가 뛰어나십니다. 추앙하는 제 마음이 다른 사람 보다 뒤지지 않기에 다시 독서에 관한 의견을 아룁니다. 이는 대체로 현자에게 더 잘되기를 기대하고 완벽해지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秋聲在樹。懷想倍至。未審靜養有相。體節百福。衡門靜閴。風月無邊。婆娑徜徉。其樂何如。遺經滿案。夫子在座。遊息之餘。披閱一二編。咀嚼一二時。使之貼心切已。日日如此。續有程曆。則其意味深長。非言語可喩。吾輩年力已非少壯時節。讀書豈欲爲文人才子耶。豈欲爲干祿決科耶。只是讀一字有一字之益。讀一日有一日之職。庶不爲虛作一世人也。悠悠萬事。何足掛念。得喪軒輊。在諸蒼蒼而已。吾友隱居行義。風韻偉然。區區愛仰。不在人後。而復以讀書之說。進焉。盖爲責備於賢。而欲全其美也。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沙朴公墓碣銘【幷序】 奇道南老善吾黨信筆。其狀公之行曰。公峻整有器局。慷慨有氣節。自幼有丈夫風。及長出遊卿宰間。對之人無不傾蓋如舊。時事日非。遂絶當世。斂藏鄕曲。以利人濟物爲事。甲午匪熾。與諸同志會盟守城。人民賴活甚衆。嘗宗宅零殘。香火幾廢。公倡議諸宗。辦置田十數頃。先塋偸窆多至七八。公挺身發力。百訴營邑。悉掘乃己。敎子有法。勿近奢華。見人窮乏。不計有無而周之。見人之不得其死。不自畏避。必扶輀而歸之。爲州官替祀南海神廟。颶風爲之斂息。人皆壯之。居平持論正大。作事紆餘。不義者不敢近。忮克者不敢犯。是以處鄕黨接朋友。信義相孚。罔有違忤者。狀止於斯。斯可見公矣。嗚呼。幹辦足以臨大事。義氣足以濟衆人。苟使得志亨衢。其所樹立。豈當寥寥止此耶。而命與時舛。不獲一試。惜也。公諱允赫初諱仁赫字仕圭竹沙號也。朴氏咸陽人。高麗禮部尙書善爲鼻祖。至遂智以遺逸官翊贊。州人建祠俎豆。國朝最顯。曰恂曰崇咸曰格曰必煥四親諱也。光山金龍漢外祖也。哲廟戊午生。以六十七甲子卒。葬于南平淨光里後麓艮原。從先兆也。齊海州崔氏泰益女。墓雙兆。一男淑鉉。孫男漢喆女皆幼。淑鉉將伐石以表墓。冒暑潦入頭流山中。徵銘於不佞。其誠不可孤。謹就狀檃栝。而繼以銘。銘曰。衆皆夸詐。公獨矜嚴而質直。衆皆忮克。公獨慷慨而救急。允矣奇君。寔公知德。我撮爲銘。昭視來億。後若求公。盍於斯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樵菴李公墓碣銘【幷序】 樵菴處士李公。以行義著于鄕。旣歿之久。而鄕人慕之。敎其子弟。孝弟慈祥。禮讓而溫仁。必以樵菴爲法。所謂行之以躬。不言而信者。應山連處士之後。庶可見公矣。則恨公不得歐陽子之筆。而與連處士同其傳也。公諱駿圭字君八。樵菴自號也。李氏系璿派。世宗大王第四子臨瀛大君璆之後也。三傳而雲陽都正元。南遯鳳城。再傳而竹窩廷翼。丁酉燹立慬于右柱。朝廷贈持平。鄕人俎豆之。寔公十世。高祖馨錫號臨淵齋。曰海喆曰得泓曰思德。曾祖禰也。南原尹泰邦外祖也。配慶州金鎔淳女。生一男二女。繼配晉州姜明源女。婦德甚備。生一男六女。男鍾出早卒。鍾穆能克家。女適柳興潤朱龍基房調朴程來蘇在浣高炳洙崔貴錫朴炳曄。餘皆幼。公生于洪陵乙丑。八十一歲乙酉卒。葬在倉馬山丑原。鍾穆將樹石于墓。以吳君柱錫狀。求余銘。嚮慕有素。可辭已。公軒昴和易。望之如癯鶴。卽之也春風滿座。所以人靡不敬服。而退未有後言者。幼喪怙恃。幾失學。承伯父蘭波公命。就學多年。硏精覃思。期欲心體而力行之。貧甚。嘗爲童子師。嚴立課程。以身先之。常以早孤失養爲至痛。事兄如父。每夫日。必殫誠齊潔。臨祭涕淚滿席。愼擇交遊。必以忠信。如崔方山春九吳雙山炯淳鄭一愚贊錫。最所相信。而公與吳鄭兩翁。時有鳳城三隱之稱焉。公行備而不有。識周而若無。信義爲質幹。經禮爲繪畫。旣厄窮而不悶。亟招延而不求。痛山河之改色。杜門養病。不佞山外一步。吁其賢乎哉。銘曰。才足以通古通今。行足以在家在邦。而固守東岡。淸足以潔其躬。銘之以此。足以想其高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靈申公墓碣銘【幷序】 近高興有學生申公諱炳休字致景。潛居實修爲鄕里所信服。其歿也。鄕里章甫聯狀請褒。以圖懿蹟之不朽於來世。于以見公之德之感人深。而公議之亦不以衰季而弛也。其孤方雨將貰餙阡塗。伴其子孝植索銘於余。孝植從余遊者。其可終辭。按公誠孝由性。不待矯勉。以早失所恃爲終身痛。每忌日哀慕如新。事大人公旨瀡常裕備。志體無闕職。其侍疾也。必親扶持抑搔。不解帶不就枕。閱月不懈。嘗矢禱辰。靡不用極。其居喪也。課日哭墓。寒暑不廢。其助祭也。蠲潔致齊。如見所爲祭。年踰六旬。而每語及親。輒涕雨交頤。兄弟四人友愛篤至。飢飽均一。此狀辭大略也。嗚呼。此足以爲君子之孝。何必以魚躍泉湧偶感於一時者爲多哉。公以高宗乙丑生。行年六十三丁卯六月卒。豆原面龍山里顧巳洞巳原其葬也。考諱昶求號曲溪。祖諱應模。曾祖諱亮祿。外祖金海金中玟也。申氏以高靈爲貫。高麗檢校諱成用其受封之祖也。禮儀判書德隣號醇隱享靈淵祠。壺村包翅入杜門洞享杜谷祠。府使碩於歸來亭末舟爲從姪。戊午懲毖南遯于高興。堂曰知止。寔公十五世。公娶海州崔氏煥傑女育一男三女。男卽方雨。柳淑鏞金永元陳聖元壻也。孫孝植。柳男濟潤濟成。金男俊日。陳男奉斗昌斗永斗桓斗。銘曰。事父母能竭其力。子夏氏未學謂學。若公懿行。儘無愧於古昔。嗚呼象李樸散。俗偸倫圯。吾故表以出之。以厲夫世之爲人子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圃鄭公墓碣銘【幷序】 吾鄭降自中葉。名位少遜。而文學相承。至洪陵之世而尤盛。一里之內。操觚橫經之士六七作。文彩風範。照耀江東。公其一也。公諱煥九字洛瑞竹圃號也。其先宋之浙江人。宋亡員外郞諱臣保浮海東來。子襄烈公諱仁卿仕麗。有勳封瑞山君。子孫遂籍焉。四傳而富城君諱允弘。麗社屋自靖于金山。郡守諱斯仁。縣監諱成儉。蓑村諱僖。三世俱文科。至進士諱仁濬。炳幾同堂避地全節。世稱龜潭先生。享雲溪院。四傳至晩隱堂厚仁。黃猿之變倡義討逆。寔公五世。曰耼命曰東喆曰松塢履祥曾祖禰也。外祖星山裵致德。公以憲廟丁酉生。洪陵甲午八月二日卒。莫溪二冊面道坊龜尾峴栗亭之子原。其永宅也。夫人光州盧氏演女。有閨儀。後公十年歿。葬白楊洞辛坐。二男長在欽參奉次在夏。安山金基龍南平文明錫二女壻也。長房無嗣。取次房男時鍾子之。女適陜川李奉柱全州李根墩。次房系子某。女適陜川李學述。金壻男炳錫。文壻男英大相大。在夏氏懼遺蹟之就泯。命琦銘于樂石。辭不獲。謹撮其槪爲之詞曰。天賦英邁且莊重。自幼已有成人度。務要愛敬致良知。黃枕楊幔俱有裕。本立道生從可驗。推之族姻無違忤。志切立揚業公車。立幟騷苑馳駿譽。一門六七同聲應。山南才子汗如雨。坼號每見孫山外。得喪從來柰其數。卷而歸來從吾好。琴書在架竹盈圃。飮水縕袍甘且華。東南賓友日滿屨。百年家計優何長。璇風一夜促仙馭。鬱鬱松杉栗亭原。山紆水縈處士墓。後欲求公當於斯。一片貞珉堪可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志齋朴公墓碣銘【幷序】 綾城西道莊坊之德山下面午而爲封者。故志齋朴公諱必懋字德章之藏。其生以肅廟乙酉。卒于正廟乙巳四月二十一日。距今百六十有年。晜孫濟相炯國再踵門。徵余以銘曰。狀德不及時。細行遠莫能詳。惟有以口傳口數段事。片善不遺。先民所程。竊願據而文之。俾不朽於來永也。余辭以不任而不獲也。謹按。公才氣早成。聲譽彪蔚。州牧每下車。必先問焉。嚴侯慶遐艶稱公無瑕崑玉。兪侯直基以南州佳士目之。因勤出仕。公以時謝曰。以若忝雕開。猶爲辭夫子。況今如我愚。何敢出而仕。且曰貧賤何損於我。富貴何加於我。從吾所好。聖人明訓。遂遨遊泉石間。甘窮約以終。嗚呼此足以見公之大者。視世之慢分急利乾沒得喪而老白首不悔者。奚霄壤已哉。若其使父母安其孝。昆弟樂其友。居喪哀奉祭誠。以至宗族鄕黨知舊姻戚之間。慶弔賙饋之節。正所謂擧而措之者可畧也。朴氏密城大君彦忱之後也。國朝察訪蔚其中祖。僉正孟誠參議永傑相繼俱顯。監察枝樹壬辰殉義。贈地官卿旌閭。主簿天柱。母烈子孝幷旌。高祖以上也。曰石溪成素曰泰炫曰松菴尙一。曾祖禰也。贈參判陳海英外祖也。昌寧曹翊周女光山金光洙女。前後配也。二男一女。慶基曹氏出。慶濟南平文成鎭妻金氏出。副室男慶達。長房孫聖煥履煥培煥女適淸道金錫魯郞州崔光岳。次房孫鳳煥昇煥女南平文周贊江華崔鳴亮。外孫男文永章。銘曰。吾斯未能信。昔許見大意。知命甘自守。亦云識大意。縱有精粗別。足愧乞墦類。有菀德山原。松柏交蒼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工曹參議金公墓碣銘【幷序】 福川金君容局。以其五世祖樵隱公行。徵余以羡道之刻曰。吾家中衰蓋數世。府君慨然。勤業積貲。躬仁行善。以鞏子孫門戶之基。而事行無當時述。今傳者其一二耳。願有以文之。俾徵諸後也。顧余衰且不文。其何堪是役。無已則按狀而最其略可乎。公諱漢浩字聖心。金氏古駕洛王之裔也。新羅大角干封興武王諱庚信爲中世顯祖。曰晩福曰立曰鎰萬曰義成。四親諱也。密陽孫鎭浩仁同張世卿。前後母父也。公自幼事父母孝。每命呼。走而不趍。得異味不先口。處兄弟克友。事無拂戾。及長勤力治生。積十數年業頗潤。於是喜施不吝。族戚知舊之窮乏者。未有不得我也。丁未國大饑。公輸囷租五十石于官。朝廷嘉之。後贈工曹參議。常恨早失學。敎子益力。創塾延師。費夥無所愛。見傷貧而不能就學與不能赴擧者。則捐貲以獎之。有乞客染疫而來。衆皆走避公處之溫室。多方救護。月餘始瘳。遂厚資以送之。乃京中勢家逃禍者也。後公二子赴京試。俱登蓮榜蓋其人是賴云。大易所謂積善有慶。於公亦可驗已。狀辭雖簡。一斑可槪全豹。於乎賢哉。公卒于純廟丁卯。距生元陵乙丑。享年六十三。葬在綾州丁山村麓巽乾之阪。配開城千氏祔左。二男長德喜次洛喜俱進士。德喜男國權國信國翰國溢國學。洛喜男國八國燦國泰國萬。曾玄幷五十餘人。銘曰。創垂裕後。孰如憂勤。呴濡澤物。孰如惠仁。感應不爽。天篤錫祉。有來百歲。振振孫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山柳公墓碣銘【幷序】 柳君瑩業遷葬其王考二山公於家後山艮原。以所爲狀。俾余銘之。往余在嶺。聞求禮以詩名國中。而高才傑匠數君子者實倡之。公其一也。及寓公閈。公之歿已有年。得從公子孫遊。參聽鄕坊輿誦。其行己處士。井井有條理。嵬然是君子長者。詞律乃餘事也。公諱濟陽字雒中。柳氏籍文化。自麗迄我。赤舃蟬聯。崑山君益貞爲派祖。進士時蕃享靑湖院。寔公十世。高祖爾冑。屢典州鎭多偉蹟。始自嶺移求禮。曾祖德浩贈戶參。祖億號圓石宣傳官。考見龍號弄月軒通德郞。妣恭人鎭川宋氏全州崔氏。公以憲廟丙午生壬戌卒。壽七十七。公碩幹豐頰。德容粹盎。望之嶽峙。卽之春融。家世武顯。而公從事儒業。早孤家屯。百憂拿副。而左右圖書。肘案常不離也。養親無方。服勞具旨。無慊如也。居喪不以老自懈。臨祭非有疾必親之。處兄弟篤友。奉先收族。必殫心力。接人貞信無邪曲。黎渦不得售其豔。邑宰不得逞其私。匪徒不敢肆其暴。强悍者不校。窮微者加矜。儉於自奉。豐於濟窮。每歲饑設粥以救。許割松皮。養山童濯而無惜也。居平未嘗納迹權門。雖至親登顯仕不往見。郞銜儻來而不屑焉。春秋暇日。與韻儔墨豪。嘯咏山水間。凡覽物興懷。一於詩發之。鏘然有晩唐風。嗚呼。使公遭遇亨嘉之會。展抱民社之塗。則才足以剸焚。德足以蘇枯。而命與時睽。坎壈而止。足爲世道一慨也。公娶昇平朴海祖陽川許泓女。五男永桓麟桓鳳桓龜桓龐桓。韓吉洙李鍾國李南儀壻也。孫曾繁衍不錄。銘曰。懷瑾不售。沈淪草澤。載施家政。恢乎規矱。勉勵風節。寤歌自適。山椒水涯。微伊寂寂。百世仰止。馨香其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여주에게 답함 答吳汝周 지난 편지는 이미 얼굴을 마주한 듯 토론하였으니 거듭 번거롭게 할 필요가 없겠습니다. 다만 조그마한 의문점이 있어서 간략하게 말씀드리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인(仁)이 사단(四端)을 포함하면 그 이후에 사랑의 이치가 이로 말미암아 나온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은 아마도 온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인(仁)이 사덕(四德)을 포함한다고 하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사단(四端)을 포함하는 건은 어떠하겠습니까? 그러하니 '연후(然後)' 아래는 산거(刪去)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또한, "사랑하는 이유를 궁구해보면 그것이 일체(一體)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 역시 온당하지 못합니다. 인(仁)은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 것으로 원래부터 존재하는 이치입니다. 어떻게 만물(萬物)이 일체(一體)가 된 뒤에 존재할 수 있겠습니까? 또한 "세상 사람들은 마음을 쓸 줄은 알지만, 인(仁)을 쓸 줄은 모른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더욱 온당치 못합니다. 마음을 굳이 쓸 수 있다 하더라도 인(仁)을 또한 어떻게 쓸 수 있겠습니까? 또한 "기질(氣質)의 치우침을 어떻게 하면 구할 수 있겠는가."라는 부분에서 '구할 구【求】'자는 혹시 '건질 구【救】'자의 오류가 아닌지요? 向書旣有面討。不必更煩。而但有小小可疑處。不得不略及之。有曰仁包四端然後。愛之理所由出。此言恐未穩當。曰仁包四德。惻隱包四端如何然後以下。刪去似宜。又曰究其所以愛。以其一體故也。此言亦未穩。仁是天然自有之理。豈待萬物一體而後存哉。又曰世人知用心。而不知用仁。此尤未安。心固可用。而仁亦可用乎。又曰氣質之偏。如何求得。此求字。或是救字之誤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위사열【계학】에게 답함 答魏士悅【啓學】 여회(汝晦)가 한더위에 길을 떠나 어렵게 방문해 주셔서 감사한 마음은 두터웠으나 편치 않은 마음도 많았습니다. 또 그대의 편지 한통이 그가 방문한 여정 가운데 나와서, 오랫동안 소식이 끊긴 나머지 그대의 풍모가 편지글 사이에 은은하게 드러났고, 편지를 읽고 난 이후에는 고인이 "한문(寒門)에 날아올라 시원한 바람에 씻은 듯하다.119)"라고 한 말이, 내 마음을 먼저 알고 한 말이 아닌 것이 없어서, 위로되고 위로되었습니다. 편지를 통해 노친을 봉양하며 지내는 정황이 평안함을 알았습니다. 다만 아드님의 병세가 참으로 염려스러우니, 그 소식을 접하고 마음속으로 놀랐습니다. 그러나 하늘이 덕이 있는 이를 돕는다는 것은 그 이치에 있어서 어긋남이 없으니, 사리에 맞게 처리하면 어찌 먼저 울부짖다가 뒤에 웃는 날이 없겠습니까? 먼 외지에서 늘 염려하면서 이로써 크게 기원합니다. 위로는 부모님을 살피고 아래로는 아이들을 돌보며, 일상생활에서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나의 일이 아닌 것이 없는데, 하필이면 책을 펴서 글자를 읽은 이후에만 학문이라고 말하겠습니까? 더구나 일마다 이치를 따라 함께 가지 않으면 또한 문자에 미칠 수 있는 여력이 없지 않겠습니까? 汝晦盛炎作行。艱關相過爲感則厚。而不安多矣。又有賢函一幅。自其行中出。積阻風儀。隱隱於紙墨間。諷誦以還。古人羾寒濯淸。未始非先獲語也。慰慰。因審奉老康寧。但令胤之憂。固爲可慮。聞之驚心。然天相有德。其理不爽。迎合調理。豈其無先號後笑之日乎。遠外懸念以是顒祝。上省下率。日用云爲。無非吾事。何必開卷看字而後謂之學問哉。況隨事循理。不與俱往。則亦不無餘力可以及於文字乎。 한문(寒門)에 …… 듯하다 《회암집(晦庵集)》 「답공중지(答鞏仲至)」에서, 주자가 공풍(鞏豐)에게 "이 무더운 더위를 맞이해서 시원하기가 마치 한문에 날아올라 시원한 바람에 씻은 듯하다.【當此炎燠, 灑然如羾寒門而濯淸風也.】"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여주【창호】에게 답함 答吳汝周【昌鎬】 《대학(大學)》의 8조목(條目)은 명덕(明德)과 신민(新民)의 차례로 말하였습니다. 《논어(論語)》의 지학(志學)은 다만 명덕(明德) 위에 나아가 공효(功效)의 순서로 말하였습니다만 가리키는 바가 같지 않습니다. 만약 함께 말하고자 한다면 지학(志學)은 《대학(大學)》의 도(道)에 뜻을 두는 것이며, 세운다【立】는 것은 격물치지(格物致知)의 공이 이미 깊고 성의정심(誠意正心)의 힘이 이미 굳건한 것입니다. 불혹(不惑)은 물격(物格)이고 지명(知命)은 지지(知至)입니다. 이순(耳順)은 물격지지(物格知至)하여 생각지 않아도 얻는 경지입니다. 불유구(不踰矩)는 뜻이 성실하고 마음이 바르게 되어 힘쓰지 않아도 알맞게 되는 것입니다. 대체로 앎과 행동이 함께 진행되어야만 앎에 조리(條理)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배움에 나아가는 것은 치지(致知)에 있으므로 중간의 세 마디는 오로지 말과 행동을 아는 것으로 조리를 마치며, 또한 처음과 끝의 강령(綱領)이 됩니다. 그러므로 세우는 것【立】은 말과 행동에 있어 불유구(不踰矩)하는 것입니다. 저의 견해는 이와 같으니 어떠한지 모르겠습니다. 大學八條。以明德新民之序言。論語志學。只就明德上。以功效次第言。所指有不同矣。若欲合言。則志學是志於大學之道也。立是格物致知之功已深。而誠意正心之力已固也。不惑是物格也。知命是知至也。耳順是物格知至。不思而得也。不踰矩是意誠心正。而不勉而中也。蓋知行固倂進。然知爲始條理。而且進學在致知。故中間三節。專以知言行爲終條理。而且爲終始之綱領。故立與不踰矩。以行言。愚見如此。未知何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敬次鳴玉軒雜詠十二絶 寒溪噴玉枕邊鳴。爲愛淸凉起小楹。吾祖當年絃誦地。林巒依舊照人淸。睡罷淸晨竹牖開。瓢峯秀色覺崔嵬。輕霞初捲微風動。庭畔飛花點綠苔。 朝午日山亭客共來。閒臨流水坐靑苔。春酒一壺松桂裡。聊將花軸和瓊瑰。 晝亂雲靄靄帶斜暉。叢薄深林暮景依。山客渾忘歸去晩。露華已濕碧蘿衣。 暮瑤琴流水自冷冷。和調無人倚案靑。半夜寂廖心境淨。靈臺喚起主翁惺。 夜霜傑偏爲隱士欽。風儀更著此君衿。休將形色看分別。俱是凌寒託契深。 庭前竹菊小亭縹緲背山曲。下有淸溪一道流。夜久瓢峯峯上月。少焉移在曲欄頭。 屋後瓢峯淨植栽培半畝塘。亭亭出水綠初長。待渠密葉醅爲酒。添得騷人滿腹香。 方塘碧荷淡雲疎雨細和濃。落日千村起夕舂。遠望靄靄如空翠。散入平郊羃遠峯。 遠郊疎烟望裡龍巒若近遠。芙蓉千朶碧嶙峋。却憐昨夜峯頭雨。快洗塵埃霽色新。 龍巒新霽一區泉石背山明。汨㶁寒聲繞砌生。淸興又添新月色。幽人無寐到深更。 小溪流月夕照橫斜亂雪堆。平沙十里練光回。不分鷗鷺來翔集。漠漠江天活畵開。 松江明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蜡月之初。與柏下會于不換亭。拈韻未成而罷歸。後柏下賦三首詩以寄。余依次仰呈 松逕依微竹牖開。聯翩笻屐拂雲來。名亭不偶團圓會。暮境相憐落拓才。醉裡忘形共嵆阮。文垣高手倂歐梅。浮生却恐囂塵晩。每向山林深處媒。瓊椷綺軸眼初開。遠自朝陽臺上來。十襲深藏留作寶。千回披讀儘多才。大冬獨秀康侯柏。靜曉應觀邵氏梅。已識先生終不嫁。佳期無賴黃昏媒。草樹深深一逕開。裘羊時復肯尋來。生涯自笑謀鳩拙。詞賦還慙倚馬才。雲後靑山眞面玉。臘前新萼上頭梅。却爲隣里過從地。樽酒瑤琴好作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君和【錫宇】 今夏以來。顧有所畏約者存。未嘗遺一點墨於姻戚知舊。以故客秋承問。未能趁時仰謝。尙庸罪悚。茲又惠書垂及於歲竆。有以見不校之盛。感到欣荷。未知何以獲此。仍伏審靜體度。有失寧攝。伏慮曷任。庭玉曁閤節枚福。旋庸慰賀之至。駿善老慈宿患。損攝於驚劫之餘。兩朔彌留。無望回春。憂惶切迫。不知所以。晝宵祝天而已。姪兒之病。想是觸寒而然。始愆終泰。奇幸奇幸。賦命奇薄。爲世所嫉。受禍最酷。離散蕩析。靡所止泊。累世文獻。與老親壽具。先人遺衣。倂不得保。不肖無狀。負罪難容。他尙何論。今則王師濯征。兇徒潮退。使斯民獲覩淸明。亦有其日耶。滄桑百變老仙不死。手弄金笛。坐談前生。今日說舊。無乃猶是耶。令人發呵。餘萬伏祝迓新萬旺。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