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55년 김응상(金膺相)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咸豐五年正月 日 哲宗 金膺相 咸豐五年正月 日 哲宗 金膺相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부안 돈계 김응상 후손가 부안 돈계리 김응상 후손가 1855년(철종 6) 정월에 국왕이 김응상(金膺相)을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敎旨) 1855년(철종 6) 정월에 국왕이 김응상(金膺相)을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敎旨)이다. 가선대부는 종2품 하계의 품계로 가정대부(嘉靖大夫)·가의대부(嘉義大夫)보다 아래 자리이다. 초기에 문무산계(文武散階)로 사용하였으나 후기에는 종친(宗親)과 의빈(儀賓)의 관계로도 사용하였다. 한편, 문서 배면 좌측 하단에는 '吏吏金貞益'이라고 적혀있다. 吏吏는 고신을 작성한 이조의 서리이며, 김정익은 서리의 이름이다. 부안 김씨 김양묵 가문이 소장하고 있는 고신 배면을 보면 김정익뿐만 아니라 김정호, 김형복 등의 김씨 성을 가진 서리의 이름이 연속적으로 등장한다. 이는 이조에 근무하는 서리 가운데 김씨 정이 대를 이러 부안 김씨 가문의 단골 서리 역할을 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김응상은 이 교지를 포함하여 모두 여덟 차례 고신을 받았는데, 그때마다 그의 처와 부, 조부와 조모, 증조부와 증조모 등이 법전(法典)의 규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추증교지(追贈敎旨)를 받았다. 특히 그는 임씨(林氏)와 사별했는데, 후처(後妻) 양씨(梁氏)는 물론, 전처(前妻)도 함께 교지를 받았다. 김응상 관련 고신을 모두 합하면 20점이나 된다. 뿐만 아니라, 김응상이 1819년부터 1855년까지 작성했던 호구단자(戶口單子) 7점도 전하고 있어서 그의 가족 상황을 살펴 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김응상은 생전에 부안현 남하면 돈계리에 내내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오는데, 오늘날의 부안군 주산면 돈계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한편 김응상의 아들 김양묵(金養默)은 1829년에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했기 때문에 그가 받았던 고신(告身)들이 남아 있다. 특히 그가 문과 응시 당시 작성했던 시권(試券)과 급제하여 받았던 홍패(紅牌)를 비롯하여, 고신 16점, 차첩 2점 등 20점이 그의 후손가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인명>金膺相</인명>爲嘉善大夫者<연도>咸豐五年</연도>正月 日朝官年八十依定式加資[官印]<관직명>吏吏</관직명><인명>金貞益</인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황치실68)이 평안하다는 소식을 듣고 아주 기뻐서 시를 지어 정을 보이다 聞黃致實安信喜甚 以詩見情 헤어진 지 벌써 삼 년이나 지났는데 一別已經三載春문득 소식 들으니 은자의 마음 풀리네 忽聞信息豁幽人주성의 부모 형제는 무탈하실 것이요 注城萱棣曾無恙상정의 동산 숲은 또한 더욱 새롭겠지 桑亭園林亦復新난 귀밑머리에 백발만 늘어 부끄럽고 自愧鬢邊添白雪얼굴에 가는 티끌이 모여들어 밉구나 可憎面上樸細塵언제나 한 말 술로 심사를 이야기할까 何時斗酒論心事문득 동쪽 바라보니 멀리 애가 타누나 却向東天遠惱神 一別已經三載春, 忽聞信息豁幽人.注城萱棣曾無恙, 桑亭園林亦復新.自愧鬢邊添白雪, 可憎面上樸細塵.何時斗酒論心事? 却向東天遠惱神. 황치실(黃致實) 황신연(黃信淵)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동자 오원세에게 주다 贈吳童源世 효는 올바른 행실의 근본이고 孝爲制行本배움은 사람이 되는 터전이란다 學是作人基반 천 리 길 날 찾아왔으니 訪我半千路열여섯의 아이가 사랑스럽구나 愛而二八兒 孝爲制行本, 學是作人基.訪我半千路, 愛而二八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참봉 최 전구 의 〈조선굴영유〉에 차운하다 次崔參奉【銓九】《朝鮮窟嶺儒》韻 대한에 이 소굴이 남아 있는데 大韓餘此窟어찌하여 조선이라 부르는가 胡乃號朝鮮다른 문적에도 이름자가 없으며 他籍無名字농사만 짓고 세금을 내지 않네 獨耕不稅田동풍은 담과 벽에 가로막히고 東風墻壁阻북두성은 처마 끝에 매달려 있네 北斗屋簷懸고기를 먹는 자534) 무슨 마음이런가 肉食何心者높은 누각이 하늘 높이 솟았구나 高樓聳半天 大韓餘此窟, 胡乃號朝鮮?他籍無名字, 獨耕不稅田.東風墻壁阻, 北斗屋簷懸.肉食何心者? 高樓聳半天. 고기를 먹는 자 지위가 높고 녹을 많이 받는 고관대작들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장공(莊公) 10년 조에 "고기를 먹는 자들은 안목이 좁고 낮아서 원대한 계획을 세우지 못한다.[肉食者鄙, 未能遠謀.]"라는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열재 어른에게 절하고 작별하며 拜別悅丈 작별 아쉬워 떠날 때 바로 떠나지 못하고 惜別臨行却未行보고 또 보느라 석양빛 밝은지도 몰랐네 看看不覺夕陽明바람을 향해 마음과 정신도 함께 가지만 向風縱與心神往달을 보면 응당 꿈속에서도 잠들지 못하리 見月應難夢寐成순곤54)은 끝내 돌아오지 않는다 뉘 말했나 誰道純坤終不復실제로 이름을 전할 수 있다 일찍이 들었네 曾聞實地可傳名을축년 겨울의 비바람 어찌 잊을 수 있겠나 乙冬風雨何能忘큰 의리로 서로 어울려 각자 매진해야 하리 大義相將各邁征-을축년(1925) 겨울에 고소를 당해 체포되었다.- 惜別臨行却未行, 看看不覺夕陽明.向風縱與心神往, 見月應難夢寐成.誰道純坤終不復? 曾聞實地可傳名.乙冬風雨何能忘? 大義相將各邁征.【乙丑冬, 被震訴檢拿.】 순곤(純坤) 음만 가득한 10월 달로, 양기(陽氣)가 조금도 없는 것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마을 앞의 한 그루 버드나무 고조할아버지가 손수 심었다. 村前獨柳【高祖考手植.】 마을 앞 시내 굽이에 선 한 그루 버드나무 村前獨柳傍川隈우리 선조가 어느 해에 손수 심은 것인가 我祖何年手自栽더욱 번성하여 그늘이 빽빽하지는 않지만 縱不彌繁陰厚密오히려 곧게 솟아서 기세가 우뚝하다네 猶能直秀勢崔嵬여름날 소와 양을 매어놓아도 개의치 않고 任他夏日牛羊係때때로 봄바람 불면 참새 떼가 날아오네 時有春風鳥雀來당시에 사람들에게 더위 피할 곳 주려했는데 避暑惠人當日意후손들이 북돋아 주지 못해 매우 부끄럽네 後承多愧未封培 村前獨柳傍川隈, 我祖何年手自栽?縱不彌繁陰厚密, 猶能直秀勢崔嵬.任他夏日午羊係, 時有春風鳥雀來.避暑惠人當日意, 後承多愧未封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초가을 보름날 밤에 달을 보고 방옹82)의 시에 차운하다 절구 2수 早秋望夜見月次放翁韻【二絶】 은으론 둥근 바퀴를 옥으론 소반을 만든 듯 銀作圓輪玉作盤홀로 앉아 청한함을 견디는 그대가 어여쁘네 愛君獨坐耐淸寒밝음이 온전히 드러난 본래의 모습 알려거든 要知本色明全見마땅히 가을 하늘을 자세히 보아야 하리라 宜向秋天仔細看징 같고 또 소반 같다고 다투어 말하나 爭道如鉦復似盤그 빛은 깨끗하고 성질은 맑고 차갑네 其光潔白性淸寒이 달이 티 없는 물체인 줄 뉘 알았으랴 誰知將此無瑕體많은 성인들이 전한 것 비교해 볼만하네 千聖相傳可較看 銀作圓輪玉作盤, 愛君獨坐耐淸寒.要知本色明全見, 宜向秋天仔細看.爭道如鉦復似盤, 其光潔白性淸寒.誰知將此無瑕體? 千聖相傳可較看. 방옹(放翁) 육유(陸游, 1125~1210)의 호이다. 주)198 참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제군들에게 주다 贈諸君 세밑에 서재에서 맘 졸이며 시계소리 듣는데 歲暮芸牕㥘漏聞제비 기러기들 머지않아 저마다 무리를 짓겠지 鷰鴻不久各爲群가슴속을 강가에 뜬 달이 몇 번이나 비췄는가 衿期幾照江頭月보내준 시는 고개 위의 구름과 맞먹으리라 持贈堪將嶺上雲인의를 빌리지 않고도 제 환공이 규합하였고539) 莫假義仁桓九合항상 위급함을 생각해 촉이 삼분의 일 차지했네540) 常思危急蜀三分인재 얻기 어려움이 오늘 같은 때가 없었으니 才難無若而今日흉년에 좋은 곡식을 행여 제군들에게서 보려나 嘉穀荒年庶見君 歲暮芸牕㥘漏聞, 鷰鴻不久各爲群.衿期幾照江頭月? 持贈堪將嶺上雲.莫假義仁桓九合, 常思危急蜀三分.才難無若而今日, 嘉穀荒年庶見君. 인의(人義)를……규합하였고 관중이 제 환공(齊桓公)을 도와 천하의 제후를 연합하여 패권을 잡은 것을 말한다. 공자는 "환공이 제후들을 규합하되 무력을 쓰지 않은 것은 관중의 힘이었으니, 누가 그의 어짊만 하겠는가, 누가 그의 어짊만 하겠는가.〔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 如其仁? 如其仁?〕"라고 하며 관중의 인(仁)을 허여하였다. 촉(蜀)이……차지했네 제갈량이 천하를 위(魏)ㆍ촉(蜀)ㆍ오(吳)의 삼국(三國)으로 만든 것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즉흥시 卽事 시가 일백 두 겹의 난관에 들었으나541) 詩入難關百二重깨뜨리고 나서야 이곳이 웅부임을 비로소 알았네 破來此處始知雄추위의 위력이 바야흐로 진나라에 혹독했으나 寒威方酷秦天下달빛은 순 임금의 태평성세를 만난 듯하였지 月色如逢舜世中늘 걸려있는 글방 등불이 세모에 사랑스러운데 書燭長懸憐歲暮떠나지 못하는 길손 행색은 돈 없음을 걱정하네 客裝未發病金空궁한 시절에 옛 공부를 오히려 즐거워하며 窮途舊業猶爲樂젊은이들이 모여서 같고 다름을 품평하누나 聚得靑年品異同 詩入難關百二重, 破來此處始知雄.寒威方酷秦天下, 月色如逢舜世中.書燭長懸憐歲暮, 客裝未發病金空.窮途舊業猶爲樂, 聚得靑年品異同. 일백……들었으나 백이중(百二重)은 백이관(百二關)과 같은 말로,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요새지를 가리킨다. 《사기》 권8 〈고조본기(高祖本紀)〉에 이르기를 "진나라는 지형이 아주 험고한 나라로 지키기는 쉽고 공격하기는 어려운바,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똑같이 1백만의 군사가 있으면 2백만의 군사가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가석을 찾아가 訪可石 가을철의 아름다운 기운이 봄철보다 나으니 秋天佳氣勝三春연못의 비 오동잎의 바람이 가장 맘에 드네 荷雨梧風最可人한가한 날엔 그저 취미 같은 이를 찾아가고 暇日聊尋同臭味정담 나누면 곧 마음이 시원해지곤 하였지 穩談卽藉暢心神죽음과 삶은 모두 천 권의 책과 함께 하지만 死生俱與書千卷취하고 깸은 반드시 열 번 술잔이 돌아야하네 醉醒端須酒十巡우리들이 만년에 하는 일은 하나 없어도 吾輩晩齡無一事서로 이택81)의 교유로 이와 입술이 되리라 相將麗澤齒幷唇 秋天佳氣勝三春, 荷雨梧風最可人.暇日聊尋同臭味, 穩談卽藉暢心神.死生俱與書千卷, 醉醒端須酒十巡.吾輩晩齡無一事, 相將麗澤齒幷唇. 이택(麗澤) 붕우(朋友)가 함께 학문을 강습하여 서로 이익을 줌을 뜻한다. 《주역》 〈태괘(兌卦)〉에 "두 못이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 태(兌)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붕우 간에 강습한다.[麗澤兌, 君子以朋友講習.]"라는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뜰 앞의 늙고 큰 뽕나무 庭前老大桑 가지와 잎은 하늘에 닿고 줄기는 아름드리 枝葉參天幹抱盈한 그루가 문득 울창한 숲을 이룬 듯하네 一株便若萬林成온 집안이 누에 쳐서 먹기에 충분하고 全家自足爲蠶食벌여 놓은 자리는 손님맞이에도 적당하네 列座兼宜有客迎토질이 비옥함을 차지한 줄 이미 알겠으니 地質已知占美沃하늘 마음이 잘 자라게 한 것을 다시 보네 天心更見善敷榮또한 쇠하고 늙음이 이로부터 시작되리니 亦應衰老從玆始내가 지난날에 너를 심었던 심정을 느끼네 感我曾年種汝情 枝葉參天幹抱盈, 一株便若萬林成.全家自足爲蠶食, 列座兼宜有客迎.地質已知占美沃, 天心更見善敷榮.亦應衰老從玆始, 感我曾年種汝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금을 지나다가 감회가 일어 過梧琴有感 십 리 오금들에 눈 위로 바람 부니 十里琴坪雪上風선인의 시가 그림 속으로 들어가네 先人詩入畵圖中내 걸음 보이는 것마다 비감이 드니 我行觸目生悲感광경이 여전하여 옛날과 똑같구나 光景依然昔日同 十里琴坪雪上風, 先人詩入畵圖中.我行觸目生悲感, 光景依然昔日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도중에 道中 백 리 험난한 길에 눈보라를 무릅쓰니 百里間關冒雪風나는 무슨 일로 한겨울에 가게 되었는가 我行底事大冬中삼 년에 재차 곡함은 죽음 슬퍼함이 아니니 三霜再哭非哀死위정벽사61)하는 이 몸은 함께할 이가 없네 衛闢此生無與同 百里間關冒雪風, 我行底事大冬中?三霜再哭非哀死, 衛闢此生無與同. 위정벽사(衛正闢邪) 바른 것을 지키고 삿된 것을 물리친다는 뜻으로, 중화주의에 입각하여 유교를 견지하면서 서양문물을 배척한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귀허탄 歸虛歎 작년에 심은 고구마는 가물어 먹지 못했고 去年種薯旱不食금년에 심은 오이는 비 내려 먹지 못했네 今年種瓜雨不食한결같이 하느님의 장난질이 교묘하여 一似天公巧戱劇제 힘으로 먹고 싶어도 할 수가 없네 欲食其力亦未得산골 노인이 이제 일이 더욱 줄었으니 山翁從此尤省事입을 다물고 생미륵을 배울 수 있겠네 緘口學得生彌勒아, 예나 지금이나 이러한 일 많았으니 嗟呼今古多如此어찌 오이 고구마만 빈 곳으로 돌아가랴 豈獨瓜薯歸虛域 去年種薯旱不食, 今年種瓜雨不食.一似天公巧戱劇, 欲食其力亦未得.山翁從此尤省事, 緘口學得生彌勒.嗟呼今古多如此, 豈獨瓜薯歸虛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사경재178)에서 서늘한 바람을 쐬며 병을 조리하다 2수 思敬齋, 納凉調病【二首】 푸른 대 그늘이 처음 조밀하고 綠竹陰初密푸른 솔 바람이 잠깐 서늘한데 碧松風乍凉한가한 틈타서 병 조리하느라 偸閒緣調病종일토록 높은 당에 누어있네 盡日臥高堂반천 년 된 선영 아래서 半千先壟下육십 세 된 늙은 나이네 六十暮年中문 밖엔 풍진이 험악하고 門外風塵惡술잔 앞에는 석양이 붉네 樽前夕日紅 綠竹陰初密, 碧松風乍凉.偸閒緣調病, 盡日臥高堂.半千先壟下, 六十暮年中.門外風塵惡, 樽前夕日紅. 사경재(思敬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연곡리에 있는 부안 김씨의 재실(齋室)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정토사에서 더위를 피하다 淨寺避暑 경내도 사람도 그윽해 흥이 더욱 그윽하니 幽境幽人興轉幽세상 밖의 한 줄기 맑은 물이 깨끗하구나 灑然物外一淸流임천에서 삼복더위를 식히니 정히 기쁘고 林泉定喜消三伏위포120)가 차가운 늦가을을 어이 상관하랴 韋布何妨冷九秋벗은 노년에 만나도 정의가 친밀함을 알겠고 友遇老年知誼密학문은 젊은 무리의 도움 받아 공효를 보았네 學資少輩見功收조만간 떠날지 머물지 원래 기필함이 없으니 去留早晩元無必하늘가에 날이 저물어도 시름할 것이 없네 日暮天涯未足愁 幽境幽人興轉幽, 灑然物外一淸流.林泉定喜消三伏, 韋布何妨冷九秋?友遇老年知誼密, 學資少輩見功收.去留早晩元無必, 日暮天涯未足愁. 위포(韋布) 가죽으로 만든 띠와 베로 만든 옷인데, 벼슬아치가 아닌 사람의 차림새이다. 흔히 벼슬하지 않은 선비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홀로 서서 읊다 獨立 평민이며 빈손으로 호남에서 늙었지만 白身赤手老湖南가장 존귀하여 혈기를 품을 수 있었네 最貴猶能血氣含일처리에는 우직함을 행할 줄만 알았지 處事惟知行拙直남을 대할 때도 아량을 베풀지 못했네 接人亦不用包涵변하고 속이는 물정은 끝내 알 수 없으니 物情變詐終難測근심하고 비통한 내 마음을 어찌 견디랴 我心憂悲豈可堪천지간에 홀로 선 것은 두렵지 않지만 獨立乾坤雖不懼지금 세상은 삼강이 무너졌으니 어찌하랴 其如今世斁綱三 白身赤手老湖南, 最貴猶能血氣含.處事惟知行拙直, 接人亦不用包涵.物情變詐終難測, 我心憂悲豈可堪?獨立乾坤雖不懼, 其如今世斁綱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봄날의 감회 感春 선비는 종국을 따라 없어지고 儒隨宗國亡사람은 봄날과 함께 늙어가네 人與三春老느껴 탄식한들 어찌하겠는가 感歎柰如何단심을 스스로 보존할 뿐이네 丹心只自保 儒隨宗國亡, 人與三春老.感歎柰如何? 丹心只自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등불 燈 겉은 유리로 만들고 등잔은 옥을 깎았는데 皮造琉璃盞玉刪불과 기름이 서로 어울리니 오묘한 기관이네 火油相得妙機關빛은 어찌나 찬란한지 밝은 별이 시기하고 光何燦爛明星妬심지 또한 분분하여 떨어진 꽃술이 얼룩지네 燼亦紛紜落蕊斑약속하듯 경서 읽는 선비 자리 떠나지 않고 如約不離經士席다정하게 길쌈하는 아내 얼굴 오래 대하네 多情長對績妻顔누가 너와 더불어 효용이 똑같을 수 있으랴 誰能與爾同功用어두운 거리에 높이 걸어 세상을 비추리라 高揭昏衢照世間 皮造琉璃盞玉刪, 火油相得妙機關.光何燦爛明星妬? 燼亦紛紜落蕊斑.如約不離經士席, 多情長對績妻顔.誰能與爾同功用, 高揭昏衢照世間?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