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까닭이 있어서 짓다 有爲而作 머리 들어 묵묵히 동서를 바라보니 擧頭悶默望西東오늘의 이런 말을 누구와 함께할까 此日此言誰與同천지에 가득한 것이 모두 거짓이니 盈地盈天都作僞언제 어디에서 공정함이 행해지랴 何時何處可行公감히 양심 밖에서 비리를 도모하여 敢圖非理良心外어찌 차마 욕망의 바다에 투신했나 胡忍投身慾海中고개 위의 눈 맞은 잣나무를 보게나 請看嶺頭經雪柏예전부터 절의는 빈궁에서 드러났네 從前節義見貧窮 擧頭悶默望西東, 此日此言誰與同?盈地盈天都作僞, 何時何處可行公?敢圖非理良心外, 胡忍投身慾海中?請看嶺頭經雪柏, 從前節義見貧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재 족질 병주 의 원시에 차운하다 次怡齋【族姪炳柱】原韻 은자가 그윽한 곳에 은둔하니 幽人幽遯處이름이 실상과 서로 어울리네 名與實相隨옛 골짝을 운류라고 이름하니 古洞雲留號오래도록 구름이 옮기지 않네 長時雲不移봄 하늘에 짙고 옅음이 알맞고 春天濃淡適하침 해에 말고 펼침이 더디네 朝日卷舒遲무심한 것이라고 말하지 말라 莫謂無心者그대 위해 혼자 즐김을 돕나니 爲君助自怡 幽人幽遯處, 名與實相隨.古洞雲留號, 長時雲不移.春天濃淡適, 朝日卷舒遲.莫謂無心者, 爲君助自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벗 서규산 석환 에게 드리고 화답을 청하다 呈圭山徐友【錫煥】求和 같은 고을인데다 세의를 겸하니 一鄕兼世誼누군들 그대와 친밀함과 같으랴 孰似與君親스승 호위하던 날에 뜻이 같았고 同志衛師日옛것을 먹던 때에 서로 동정했지 相憐食舊辰이제부터 늘그막에 접어들었는데 迨玆臨境暮아직도 새로운 시를 주지 못했네 未始贈詩新너무 담박함은 원래 병이 아니니 太淡元非病영서169)가 신이 돕는 듯 비추네 靈犀照有神 一鄕兼世誼, 孰似與君親?同志衛師日, 相憐食舊辰.迨玆臨境暮, 未始贈詩新.太淡元非病, 靈犀照有神. 영서(靈犀) 영묘(靈妙)한 무소뿔을 말한다. 무소뿔은 한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어 양방이 서로 관통하므로, 두 사람의 뜻이 투합함의 비유로 쓰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스스로 권면하는 뜻을 여중246)에게 보여주다 自勉示汝重 삼가 서에서 왔다 다시 동에서 넘어지지 말라 愼毋來西復倒東공연히 뜻과 사업을 마침내 헛되게 한다네 坐令志業竟成空마귀들은 반드시 밝은 날에 도망갈 터이니 群魔會見逃昭日억센 풀247)이 어찌 굳이 질풍을 숭상하겠는가 勁草何須尙疾風늘그막에 크게 관대하자 원래 약속했는데 老境太寬元是約혼탁할 때 지나친 결백이 되레 중도가 되네 濁時過潔反爲中속마음 말하는 두 나그네 똑같이 잠 못들고 話心二客同無寐깊고 깊은 오경 밤에 촛불 하나 붉게 타네 五夜深深一燭紅 愼毋來西復倒東, 坐令志業竟成空.群魔會見逃昭日, 勁草何須尙疾風?老境太寬元是約, 濁時過潔反爲中.話心二客同無寐, 五夜深深一燭紅. 여중(汝重) 최태일(崔泰鎰, 1899~?)의 자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만육(晩六)의 최양(崔瀁, 1351~1424)의 후손이다. 억센 풀 어려움 속에서도 절의가 변치 않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소우(蕭瑀)를 칭찬하면서 하사한 시에 "질풍 속에서 굳게 버티는 초목을 알 수 있고, 난리 속에서 충성스러운 신하를 알 수 있다.〔疾風知勁草, 板蕩識誠臣.〕"라는 말이 나온다. 《舊唐書 卷63 蕭瑀列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교목 喬木 교목이 백 년을 지나니 喬木經百年우뚝하게 열 길 높이 솟았네 亭亭聳十尋산중에도 한 해가 저물어 가니 山中歲云暮쓸쓸하게 그늘도 이루지 못하네 蕭索不成陰어찌하여 곁에서 싹이 생겼는가 何來旁生孼때가 아니라서 가지 몇 개 뽑으니 匪時抽幾條비 온 뒤라 푸르름이 사랑스럽고 雨餘憐蔥蒨바람 앞에 요염하고 어여쁨 바치네 風前呈夭嬌이를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하고 謂是同根生곧은 줄기를 사랑하는 마음 절절한데 直幹心愛切어찌하여 도리어 업신여기며 胡爲反欺凌부여잡고 가지 꺾으려 하는가 攀援欲摧折근본 잊음은 참으로 상서롭지 못하거늘 忘本誠不祥어찌 자신이 나온 바를 생각지 않는가 盍念所自出제때를 만났다고 또한 기뻐하지 말라 時哉且莫喜북풍이 큰 눈보라를 몰아칠 것이니 朔風吹大雪 喬木經百年, 亭亭聳十尋.山中歲云暮, 蕭索不成陰.何來旁生孼? 匪時抽幾條.雨餘憐蔥蒨, 風前呈夭嬌.謂是同根生, 直幹心愛切.胡爲反欺凌, 攀援欲摧折?忘本誠不祥, 盍念所自出?時哉且莫喜, 朔風吹大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내장사에 제하다 題內藏寺 명승지를 내장산이라 앞다투어 말하니 勝區爭說內藏山바닷가의 금강산과 백중의 형세이네 海上金剛伯仲間비단 병풍같은 첩첩산중엔 단풍이 붉게 물들고 疊嶂錦屛楓紫染옥홀처럼 솟은 봉우리들 바위를 정밀히 깎은 듯 攢峯玉笏石精刪유람객은 도리어 공원의 땅으로 만들었고 遊人轉作公園地대웅전은 옛 모습을 더욱 새롭게 하였네 佛殿增新舊日顔애써 공부하러 어느 때에나 이곳에 올까 攻苦何年來寄此지금까지도 오지 못하고 귀밑머리만 희끗희끗 到今無得鬢毛斑 勝區爭說內藏山, 海上金剛伯仲間.疊嶂錦屛楓紫染, 攢峯玉笏石精刪.遊人轉作公園地, 佛殿增新舊日顔.攻苦何年來寄此? 到今無得鬢毛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낙엽 落葉 된서리가 밤새도록 산문에 떨어지니 嚴霜連夜墮山門온갖 나무들은 옛날 흔적이 전혀 없네 萬木全非舊日痕개밋둑을 찾는 모기떼는 오솔길에서 헤매고 尋垤蚊群迷細路집으로 가는 나그네는 외딴 마을에서 헤매네 歸家客子失孤村늦가을 낙엽 진 동산엔 날씨가 쌀쌀하고 晩秋園落天容慘저물녘 연못엔 비 내리는 기세로 어둡네 薄暮池塘雨勢昏오래도록 버림받아 처량하나 그대 한탄 마오 積棄凄涼君莫恨좋은 시기에 봄나무 이전의 넋이 돌아오리니 好期春樹返前魂 嚴霜連夜墮山門, 萬木全非舊日痕.尋垤蚊群迷細路, 歸家客子失孤村.晩秋園落天容慘, 薄暮池塘雨勢昏.積棄凄涼君莫恨, 好期春樹返前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하수 영공 족숙 낙귀 이 여안에게 준 시에 차운하다 次河叟令公【族叔洛龜】贈汝安韻 마음으론 옛 삼고 시대의 풍속을 따르고 心追三古俗가슴속엔 다섯 수레의 서책이 쌓였다네128) 胸積五車書창가에 달은 몇 번이나 왔다 갔다 했을까 牕月幾來去처마에 구름은 때때로 걷혔다 끼었다 하네 簷雲時卷舒찬 소나무도 이미 노송이 되었으니 寒松亦已老따스한 기운을 내불 필요가 없으리라 暖律不須噓이제부터 나의 의리를 편안히 여겨 自是安吾義하늘에 맡기는데 하늘은 적막하기만 하네 聽天天寂如 心追三古俗, 胸積五車書.牕月幾來去? 簷雲時卷舒.寒松亦己老, 暖律不須噓.自是安吾義, 聽天天寂如. 가슴속엔……쌓였다네 독서를 많이 하여 지식이 엄청나게 축적되어 있다는 뜻이다. 《장자》 〈천하(天下)〉에 "혜시의 학술은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읽은 책이 다섯 수레나 된다.〔惠施多方, 其書五車.〕"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전의 운자를 써서 한강에게 주다 用前韻 贈寒江 가까운 날에 남쪽 유람을 약속하고서 近日南遊約어쩌면 그리도 행장 꾸림이 더딘가 一何行李遲시냇가 누대에 밝은 달이 뜬 밤이요 溪樓皓月夜내장사에 단풍이 붉게 물들 때라네 藏寺丹楓時인간 세상은 참으로 머리 아프게 하고 苦海眞堪惱좋은 계절에 약속 저버릴까 걱정이네 佳辰恐負期만 번 생각 해도 별도의 방책 없으니 萬思無別策용감하게 나아가 곧장 앞으로 가리라 勇往直前之 近日南遊約, 一何行李遲?溪樓皓月夜, 藏寺丹楓時.苦海眞堪惱, 佳辰恐負期.萬思無別策, 勇往直前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도동서원209)의 옛터에서 감회가 일어 道東書院遺址有感 선생의 학문과 도덕은 우리나라에서 으뜸이고 先生文道冠靑維이 땅에 일찍이 숭상하여 추모하는 사당있었네 此地曾崇追慕祠다시 영령 봉안할 곳 갑자기 만들기 어려웠으나 復設妥靈難遽作재실210) 지어 강학했으니 어찌 한 일이 없었겠는가 築齋講學豈無爲마음 아파하며 오랑캐 물리친 날 잊을 수 없고 傷心不忘排胡日세상을 근심하며 불교 배척할 때 아득히 생각나네 憂世遙思斥佛時덕을 생각하며 먼 후손은 구하여도 욕됨이 없고 念德遠孫求毋忝속마음 이끌어 학업 진보시켜 거의 음덕 드리우리 誘衷進業庶冥垂 先生文道冠靑維, 此地曾崇追慕祠.復設妥靈難遽作, 築齋講學豈無爲?傷心不忘排胡日, 憂世遙思斥佛時.念德遠孫求毋忝, 誘衷進業庶冥垂. 도동서원(道東書院) 전라북도 부안에 있었던 서원으로, 1534년(중종29)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구(金坵, 1211~1278)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5)에 훼철되었다. 재실(齋室) 여기서는 김구(金坵)의 재실인 경지재(敬止齋)를 가리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벗 경산 정 기성328) 의 시에 화답하다 和敬山鄭友【基聲】韻 오래 홀로 지낸 내 생애가 늘 한스러웠는데 每恨吾生久索居시야 속의 금마329) 땅에는 푸른빛이 무성하네 望中金馬翠扶疎여러 나라에 전쟁으로 비린내 나는 비가 날리고 兵爭萬國飛腥雨천년동안 사문을 잃어 게걸음 글씨를 보게 되네 文喪千年見蟹書뜻과 의리는 능히 그대처럼 독실하기 어려우니 志義難能如君篤명성은 어찌 나의 헛된 삶을 부끄럽게 하는가 聲名其柰愧我虛두 사람의 심사를 시를 통해 알게 되었으니 兩人心事因詩悉깊은 교분은 이제부터 물과 물고기처럼 의탁하리 深契從今託水魚 每恨吾生久索居, 望中金馬翠扶疎.兵爭萬國飛腥雨, 文喪千年見蟹書.志義難能如君篤, 聲名其柰愧我虛?兩人心事因詩悉, 深契從今託水魚. 정기성(鄭基聲) 1890~?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국진(國振)이다. 익산(益山)에서 살았다. 금마(金馬) 전라북도 익산의 옛 이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정토사에 제하다 題淨土寺 기이한 절경 있으면 그곳이 바로 명산인데 有奇絶處卽名山다시 이 외딴 암자가 푸른 숲속에 있구나 復此孤菴綠樹間먼지 뿌연 큰 대지에는 온 세상이 바쁜데 大陸塵迷全世忙땅이 깨끗한 한 구역엔 노승이 한가로워라 一區土淨老僧閑흐르는 물이 바다로 모이는 뜻37) 유독 좋고 偏憐流水朝宗意푸른 바위가 태곳적 모습인 게 매우 기쁘네 剛喜蒼巖太古顔세 번이나 온 뒤에 새로운 시를 지었는데 題得新詩三到後남은 인연이 몇 번이나 돌아올지 모르겠네 餘緣不識幾番還 有奇絶處卽名山, 復此孤菴綠樹間.大陸塵迷全世忙, 一區土浮老僧閑.偏憐流水朝宗意, 剛喜蒼巖太古顔.題得新詩三到後, 餘緣不識幾番還. 흐르는……뜻 《서경》 우공에 "바다로 조종한다.[朝宗于海]"하여 천하의 모든 물이 바다로 모이는 것을 말했는데, 뒤에는 이를 빌어 제후가 천자를 봄에 뵙는 것을 조(朝), 여름에 뵙는 것을 종(宗)이라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정몽》98)을 읽다 讀《正蒙》 심오한 이치를 정밀히 생각한 횡거 精思妙契有橫渠훌륭하도다 〈서명〉99)과 이 책이여 尙矣西銘又此書하늘과 사람의 시종을 궁구하였고 理究天人終始際집안과 나라의 치란을 징험하여 살폈다네 驗存家國亂治餘지극한 말은 믿을 만해 신명에게 질정할 수 있으니 至言可信明神質천 가지 사려에 한 견해 잘못된 들 무슨 문제랴 千慮何傷一見疏이 늙은이처럼 성실하게 꾸준히 공부하지 않으면 不用斯翁眞積力후생들은 어떻게 공부를 진취시킬 수 있겠는가 後生安得進功且 精思妙契有橫渠, 尙矣西銘又此書.理究天人終始際, 驗存家國亂治餘.至言可信明神質, 千慮何傷一見疏?不用斯翁眞積力, 後生安得進功且? 정몽(正蒙) 송(宋)나라 횡거(橫渠) 장재(張載)의 저서이다. 총 2권으로, 1권에서는 천도(天道)를 논했고 2권에는 인도(人道)를 논했다. 서명(西銘) 송나라 횡거(橫渠) 장재(張載)가 지은 글로, 성리학 사상을 심오하게 담고 있어 후대 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달밤에 月夜 눈 다 녹아 하늘이 깨끗하고 雲盡一天凈달빛 밝아 만상이 텅 비었네 月明萬象虛수많은 집은 인정이 지난 뒤이니 千家人定後한밤 물시계가 남은 시간 재촉하네 午夜漏催餘뜻과 기운 어찌 그리 맑은가 志氣何淸絶흉금은 그야말로 탁 트였네 胸襟正豁如누가 알랴 청산에 사는 사람 誰知棲碧子조용히 지내는 중에 즐거움 있음을 樂在靜中居 雲盡一天凈, 月明萬象虛.千家人定後, 午夜漏催餘.志氣何淸絶? 胸襟正豁如.誰知棲碧子, 樂在靜中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변산으로 돌아가는 길에 전연심30) 어른과 작별하며 邊山歸路別鍊心田丈 바닷가를 정처 없이 떠도는 두 선비가 海上飄然兩布衣봉산에서 열흘 만에 문득 돌아가길 잊었네 蓬山十日却忘歸백 년의 회포는 슬픔과 기쁨을 드러내지만 百年懷抱悲歡發일만 골짝의 구름 낀 숲속엔 속된 일 드무네 萬壑雲林俗事稀나막신으로 흐르는 물길 따라 천천히 걷고 行屐倦隨流水去돛대 돌려 흰 갈매기 좇아 한가로이 나네 回帆閑逐白鷗飛오늘아침에 서글프게 곧 작별해야 하지만 今朝怊悵旋爲別이어서 단오가 있으니 때를 어기지 마소서 續在端陽且莫違 海上飄然兩布衣, 蓬山十日却忘歸.百年懷抱悲歡發, 萬壑雲林俗事稀.行屐倦隨流水去, 回帆閑逐白鷗飛.今朝怊悵旋爲別, 續在端陽且莫違. 전연심(田鍊心) 연심은 전희순(田熙舜, 1867~?)의 호이다.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사준(士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蘭谷記吾宗族中特有孝烈世襲家庭者卽士人洛坤之家也余愛其香德而以蘭谷二字扁其楣夫蘭者生於幽谷不爲無人而不芳今乃獨茂與衆草爲伍孔夫子感歎之辭也竟歲無人採含薰祇自知朱夫子嘆美之詩也公之祖考學生公孝感神明鳥降靈餌晨夕上墓雙膝穿階及其祖妣孺人崔氏孝烈卓異再嚼血指一家雙行道剡登 聞與公同時 命㫌又其從祖母孺人박씨廬於姑墓殉於夫忌杲洌虎感登 聞㫌褒此三孝烈旣爲闡揚且其先考學生公文辭夙就三中初試又孝行特異朔望省掃終身不廢其仲氏洛晉又以文士踵武先考之行而朔望省掃且今日公亦追先範而今七十七歲雖風雪中期於朔望不懈且是老境難行之事也孰謂靈芝之無本哉觀乎此則其平日所守之規修德之香不待言而知矣然則蘭谷之號不亦宜乎抑有一說焉今於培根達枝之理深究而益進獨茂含薰之德則不亦樂乎惟公勉乎哉因爲之叙歲在丙子三月下澣扶寧金益容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정씨의 성산정사에 올라 登丁氏城山精舍 명승지에서 일찍이 현인과 약속했으니 名區曾與碩人期상산과 정공이 모두 빼어나고 기이했네 城岳丁公幷絶奇십 리에 낀 안개 노을은 별천지를 열고 十里煙霞開別界평생 지닌 풍도 절조는 당시에 추앙했네 一生風節仰當時재와 누대를 길이 맡겨 후손이 보존하고 齋樓永付雲仍保정신과 풍채가 오래 전해져 초목도 아네 精彩留傳草木知시원스레 눈길 끄는 곳을 처음 보았으니 始見豁然醒眼處승경을 거두느라 귀가가 늦음도 잊었네 管收勝狀忘歸遲 名區曾與碩人期, 城岳丁公幷絶奇.十里烟霞開別界, 一生風節仰當時.齋樓永付雲仍保, 精彩留傳草木知.始見豁然醒眼處, 管收勝狀忘歸遲.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9년 김석윤(金錫允)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己巳十二月初二日 金錫允 己巳十二月初二日 1869 金錫允 [着名] 2개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1869년(고종 6) 12월 초2일에 김석윤이 돈을 빌리면서 작성한 수표. 1869년(고종 6) 12월 초2일에 김석윤(/金錫允)이 돈을 빌리면서 작성한 수표(手標)이다. 그는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매달 5부 이자로 30냥 5전을 빌리면서 내년 윤10월말까지 갚겠다고 약속하였다. 문서의 끝에 1년 이자조로 위의 원금에서 6냥 7전 5푼을 제하고 수표를 작성한다고 기재해 놓았다. 증보(證保)와 필집(筆執)은 박집중(朴執仲)이 담당하고 서명하였다. 이 문서에는 수표의 작성연대가 기사년으로만 되어 있지만, 위의 박집중과 동일인으로 추정되는 '박집중(朴執中)'이 동치(同治) 9년, 즉 1870년(고종 7)에 부안(扶安)에 있는 논 6두락지를 39냥에 팔면서 작성한 명문(明文)이 있어서 이를 토대로 위의 기사년을 1869년으로 추정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미년 유석구(柳錫龜)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未九月十八日 柳錫龜 尹生員 丁未九月十八日 柳錫龜 尹生員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정미년 유석구가 보낸 서간 정미년(丁未年) 9월 18일에 유석구(柳錫龜)가 윤생원(尹生員)에게 보낸 서간(書簡)이다. 혼인을 결정하니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성(四星)을 받고 연길서(涓吉書)를 올린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42년 재호(在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寅八月十四日 場巖 壬寅八月十四日 在鎬 場巖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1842년(헌종 8) 재호이 보낸 서간 1842년(헌종 8) 8월 14일에 종질 재호(在鎬)이 보낸 서간(書簡)이다. 사모하던 때 보내준 편지를 받고 위로되었다며 상대방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근래에 근심과 고통이 조금 줄어들었는데, 올해 부미(付米) 수량을 배에 싣는다면 추복(秋卜)은 정지할 것이라고 하였다. 반촌(泮村)에서 물건을 일일이 찾아 보내달라고 하였는데, 과거를 치를 때 만약 여일(汝一)을 만나면 호수(虎鬚) 1건을 부탁하여 인편에 보내주되 매우 좋은 물품을 구해 달라고 하였다. 묵은 사둔 것이 없으면 집에서 쓰던 것을 보내달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