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군택(君澤)과 기지(器之)가 왔다 갔다. 君澤及器之, 來見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돈 4냥을 기지(器之)에게 빌려 왔다. 錢四兩貸來於器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월 十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무오) 二十五日 戊午 맑음. 과동(果洞)에서 집으로 돌아왔다. 陽。自果洞還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기미) 二十六日 己未 맑고 바람. 낀삼밭[挾麻田]에 가 봤다. 陽而風。看挾麻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경신) 二十七日 庚申 맑음. 하루 일이 똑같다. 陽。日事亦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신유) 二十八日 辛酉 맑고 바람. 울타리를 쳤다. 陽而風。結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신묘) 初一日 辛卯 흐림. 이슬비가 동쪽에서부터 왔고, 좋은 바람도 함께 불어 왔다. 오늘에야 마을 사람을 일으켜 모내기를 마쳤다. 陰。微雨從東來。 好風與之俱。是日也。 起村人移秧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主一齋箴【幷序】 冠山臥龍村魏君貫一。年及於立。深有慨於疇往失學。遂刻意爲已。以古人自期。又苦其索居。每從余而遊。誠不恥下問則優矣。自丁憂以來。其哀痛至諴。有能以感動微物者。此鄕隣之所共習聞稱賞也。擧此可知其餘。一臠全鼎。不其信乎。貫一於所居。以主一額之。因請余數語。以箴警乎云。余竊思之。昔南軒著主一銘與箴。其義詳且盡。晦翁且有敬齋之箴。合是數者觀之。主敬。爲學之要。無以加此。何須他言爲哉。矧貫一。已知其能養大者乎。然不忍孤其盛意。略掇緖餘。以爲之箴曰。人生一世。其責甚大。惟皇降衷。萬理總會。方寸之間。神明不測。主乎一身。參爲三極。君子存之。其德克明。功化之妙。渾然天成。庶民冥頑。喪其良心。朝晝牿亡。乃獸乃禽。心之爲物。至顯至微。凝氷焦火。淵淪天飛。操心之要。莫如存敬。旣常戒懼。發際深省。舍利趨義。去惡爲善。造次顚沛。以畏天顯。主一無適。萬變是當。爲學始終。此其大綱。顧今之人。所主不一。名利交攻。謀猷回遹。詞章雜學。爲世沈痼。紛撓不謳吟而膾炙焉。夷齊之不幸。抑亦首陽之幸歟。崇禎五丁亥晩春。余自大明洞。僑寓於德龍山下首陽里。當食有薇羹。因歔唏曰。是何地名之偶同。而又適有此物也。聞諸村人。此山多薇蕨。肥而味。澗谷幽邃。水石淸潔。名曰竹川。隣近又有三仁川云。余悵然久之。感古之懷。莫之得禁。噫孤竹二子。與三仁竝世。所行雖不同。其所以卽乎人心之安。而合乎天理之正則一也。如讀微子一篇。麥秀採薇等歌。則足以想當時而隕千古志士之淚矣。時丁鳦社之季。有聖王作於豊鎬。應天順人。天下靡然宗之。而獨夷齊者。不降志辱身。諫伐而餓。遂爲萬世節義之祖。而如孔孟二夫子。俱以仁與聖稱之。後之聞風尙論者。寧莫奮發自勵乎。嗟乎。矧今萬歲。殉社二百有餘祀。九圍腥羶。毁形裂冕。而海隅出日。罔不服役。世若有魯連胡銓。則有赴東海而死耳。寧能處小朝廷求活也。然而尙幸三古文物。寄在東表。如碩果之不見食。天不悔禍。歐巴蹄迹。橫行宇內。天理人紀。日以昏蝕。勢將純坤乃已。然陽無可盡之理。剝盡於上。則復生於下。斯理也。余於大易見之。而且於今日所居。竊有感焉。蓋首陽。何謂也。初九也。復之初九。卽子半之雷。首動於群陰之下者也。知斯義者。須當體天地之心。閉關息旅。絶柔道之牽。保陽德之微。敬義夾持。從事四勿。無定莫之能悟。惟君克念。拔乎流俗。尊其德性。以制利欲。反求經籍。古人爲師。終始惟一。視此銘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金氏【金彩鎬妻】傳。 孺人。籍金海。士人尙斗之女。揷峯公世斤后。以 高宗辛未九月二十四日生。自在父家。孝父母。及笄。歸爲商山金彩鎬室。彩鎬。卽 端廟節臣諱佑生后。孺人克執婦道。孝養舅姑。敬待君子。敦宗族化隣比。閨門之內。斬斬如朝廷。彩鎬與人有山訟。積歲未決。彼隻素以强悼者。蔑視彩鎬之單孑。任意毆打。卽地致命。孺人聞其惡報。卽礪白刃。馳往其家。刺殺讐人。旋八官庭。備陳前後。請其違法之罪。時倅閔公泳采審其訟案。細詢曲折。孺人之烈氣襲人。令人戰慄。閔公曰。金氏之私自報讐。雖是法外。事理則固然。使之無事還歸。夫人杜門絶粒。誓欲下從。家人百般寬譬曰。夫死婦殉。情勢然也。而今若溘然。則四歲穉兒。收養無人。且有遺腹。金氏之門。付託無地。孺人遂幡然改悟。乃移寓于光州親家之傍。敎育一子長源。克紹家聲。二女適文化柳寅郁。忠州朴夏鍾。夫人以庚午六月十八日歿。葬于鉢以峯巽坐原。孫男東一。一心克家。椒聊方蕃。皆夫人之蔭有以開之也。外史氏曰。以夫人而報殺夫之讐。存亡夫之孤以傳其家。是士君子之所難也。嗚呼烈哉。後之秉筆者。必以此爲弁於烈女傳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烈婦金氏【羅炳琪妻】傳。 烈婦金海金容振女。 贈兵判揷峯公后。生才一年。其父遽作泉下行。其母劉氏時年二十五。亦法家女。辛勤鞠育。雖甚鍾愛。其敎導之方。不慈而嚴。閨範夙著。歲十七。歸爲咸平郡鶴橋坊盤谷里士人羅炳琪室。孝事舅姑。敬勗夫子。一家擁睦。鄕隣欽艶。克有古女士風矣。不幸其夫遘奇疾。沈痼四五年。刀圭罔效。夫人晝供糜藥。夜祈星斗。願以身代。似無回甦之望。夫人旋念夫子嬰疾。乃吾薄命之致。而吾年今二十四。又無一塊血肉。蹉過一年。則正與吾慈母早孀之年相符合。萱圍晝燭。尙今耿耿不滅。一日九回之腹。吾寧先死。以贖病夫之命。是所甘心。遂於落月空樑。從容死。家人莫知而未及救焉。傍有數行遺書。先告舅姑以寬心。次慰寡母之私情。且托其夫。願速治病。更娶他門。得生善男善女。則可暝吾九泉之瞳云矣。果爾未逾朔。其夫積年痼疾得痊。苟非神明所助。何以有此。掩耳子曰。夫人秋霜烈日之卓節。絶無於古而始有於今也。與其血指刲股。孰若殞身之爲難。與其夫死下從。孰若代死贖命之爲愈。且惟夫人貞烈。死猶不惜。斷不欲置身後烈名。而坊曲士林終難泯沒。至有薦狀于省內列郡及京府學院。以爲樹人紀勵世道之擧。而公褒靡階。私伸莫容。是可歎惜者也。若使後日有編集東方小學者。使此烈婦金氏。必先書於外編之首矣。斯豈非委灰之香郁烈於百載。絶絃之音繁會於當世歟。嗚呼烈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계축) 二十五日 癸丑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임진) 二日 壬辰 맑음. 해거름에 비가 오더니 밤새 내렸다. 집안일에 대해 일러둘 말은 '마땅히 때를 따라야 만물이 마땅함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陽。薄暮雨連夜。戒家事。 當隨時。 物宜得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계사) 三日 癸巳 흐림. 이슬비가 부슬부슬 내렸다. 머슴에게 명하여 인력(人力)이 부족해 모내기를 하지 못한 사람을 가서 도와주도록 했다. 해질녘 어린 손주를 데리고, 들판의 풍경을 바라보니 모내기 하는 사람이 간혹 있었다. 陰。微雨濛濛。命雇人去助力不及者未秧。斜陽携穉孫。 觀野色。 移秧者。 間或有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무술) 九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정유) 八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기해) 十日 己亥 맑음. 치동(峙洞)의 처제(妻弟, 처남) 허동(許棟)이 왔다. 陽。峙洞妻弟許棟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경자) 十一日 庚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해) 二十三日 辛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임자) 二十四日 壬子 맑음. 陽。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