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병자) 二十四日 丙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월 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임오) 初一日 壬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신사) 三十日 辛巳 갬. 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계미) 二日 癸未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계묘) 十五日 癸卯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을사) 十七日 乙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무오) 元日 戊午 맑음. 술방(戌方, 서북쪽)에서 메마른 바람이 차갑게 쏘아댔다. 아침부터 해질녘까지 향당 소년들의 세배에 답하였다. 陽。戌乾風冷射。自朝至暮。 答鄕黨少年歲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정사) 三十日 丁巳 반쯤 흐리고, 반쯤 맑음. 또 눈 내린 흔적만 있었다. 밤에는 바람 기운이 드날렸다. 오늘은 제석(除夕)200)이라서 허물이 있는 3인을 그대로 내버려 두었다. 금년 겨울 석 달은 오산(鰲山, 장성)의 하만(河晩)에서 객(客)으로 있다가 12월 26일에야 집으로 돌아왔다. 재종제(再從弟) 영숙(永淑)이 와서 안부를 묻고 말하길, "재종형(再從兄)이 우거(寓居)한 뒤로 마을 사람이 선산(先山)의 구목(丘木)201) 7그루를 함부로 베어냈습니다."라고 했다. 그래서 초동(樵童)과 목동을 불러 모아놓고 두세 번 질문하였더니, 한 명의 강양(强梁)202)한 자가 있었는데, 그 말에 부끄러워함이 있고 그 낯빛도 변하기에 내가 갑자기 성난 목소리로 꾸짖기를 "오늘 일은 네가 한 일인데, 어찌 핑계를 대는가?"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가 스스로 자백하길 "7그루의 소나무에서 5그루는 제가 저지른 것이고, 2그루는 모모(某某)가 저지른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내가 또 꾸짖어 세 사람에게 모두 다짐을 받았다.비록 그렇더라도 일본인이 통치하고 있어서 법률이 엄중한데, 같은 인종으로서 갑자기 그들에게 맡겨서 다스리도록 한다면 인정이 아닌 것 같고, 속죄금을 받고 벌을 행하는 것도 또한 풍속에 해괴한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저렇게 간곡하게 회유하니, 저들도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고 그들 각자가 스스로 매질을 하였다. 아들이 안에 있다가 나와서는 회초리를 잡고 원망을 내려놓기를 청하기 때문에 풀어주었다. 半陰半陽。又雪痕。 夜風氣飄揚。是日除夕。 放置有過者三人。今年冬三。 客於鰲山河晩。 臘念六日還巢。再從弟永淑來。 而問候爲言。 "再從兄寓居後。 村人犯斫先山丘木七株。" 招集樵牧。 質問再三。 則有一强梁者。 其辭慚其色變。 余忽厲聲質責曰。 "今日之事。 汝之所爲。 豈其辭陂?" 渠自首服曰。 "七株松五箇者渠之所犯。 二株者某某所犯。" 余又責之。 三人皆納侤。雖然時政在日。 法律嚴重。 同世人種。 遽然委致。 似非人情。 受贖行罰。 亦爲駭俗。以此以彼。 諄諄誨諭。 則彼自悔過。 渠各自檛。家兒自內而出。 執楚而請置怨。 故放下。 제석(除夕) 제야(除夜)라고도 하며, 일년의 마지막 날인 섣달 그믐날 밤을 이른다. 구목(丘木) 묘지 옆에 심은 나무를 말한다. 강양(强梁) ≪공자가어(孔子家語)≫에 강량(强梁)은 흉포함을 가리키는 것으로, "흉포한 자는 제대로 죽지 못하고, 이기기 좋아하는 자는 반드시 강한 적을 만난다.[强梁者不得其死, 好勝者必遇其敵]"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13년(계축) 1913年(癸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월 正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기미) 二日 己未 맑음. 오현동(五絃洞)에 성묘를 갔다. 陽。作五絃洞省楸之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을묘) 八日 乙卯 흐림. 낮에 비가 내렸다. 陰。中午。 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기해) 六日 己亥 맑음. 삼을 심었다. 산아(産兒, 갓난아기)가 두독증(斗毒症)이 있어서 의원에게 침을 놓게 하고, 멀리 나가 달걀을 칠했더니 흰줄이 사라졌다. 陽。種麻。産兒有斗毒症。 令醫針刺。 出逈塗鷄卵白條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병진) 九日 丙辰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정사) 十日 丁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갑인) 七日 甲寅 맑음. ≪고봉집(高峰集)≫을 보다가 전(箋)131)을 기록한다.〈성균관에서 유생들로 하여금 잡서(雜書)를 보지 못하도록 청하는 전문(箋文)을 의작하다〉일통(一統)을 크게 하여 도(道)를 응집하니 이미 순수한 큰 규모를 세웠고, 여러 길에 현혹되면 참된 진리를 잃으니, 마땅히 박잡(駁雜)한 유폐(流弊)를 억제하여야 합니다. 이에 좁은 식견을 다하여 천용(天容)132)에 요구하옵니다.공경히 생각건대, 전하께서는 본성을 순히 하여 도리가 진실로 맞고, 학문을 주장하여 나날이 진전되고 있습니다. 요순을 사모하여 도야(陶冶)하니 양양(洋洋)한 예악이 아름답고, 주공(周公)과 공자(孔子)를 본받아 가르침을 베푸니 욱욱(郁郁)한 문장이 찬란합니다. 많은 선비들이 흥기(興起)하고 아름다운 풍속이 충만합니다.다만 사람들은 평범한 것을 싫어하고 새로운 것을 좋아하여, 혹 박학(博學)을 힘쓰고 화려함을 다투고 있습니다. 심성(心性)을 논함에 있어서는 자못 정(程)・주(朱)의 유서(遺書)와 배치되고, 이치를 분석하고 현묘함을 말함에 있어서는 육(陸)・양(揚)133)의 말에 물들고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 성인의 법으로 헤아려 봄에 소득이 없고, 일에 적용시키자니 방해가 있습니다. 부정(不正)한 학설을 막아서 인심을 바로잡아야 하는데, 세상에는 맹자(孟子) 같은 분의 변론이 없고,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기며 여러 입을 놀리고 있으니, 때로는 몽장(蒙莊)134)의 기풍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실로 식자의 깊은 걱정이니, 어찌 선비들을 밝은 경계로 신칙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육경(六經)은 일월(日月)과 같으니 어찌 그 광명함을 보기 어렵겠으며, 천성(千聖)들의 떳떳한 법도가 있으니 또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엎드려 바라옵건대, 전하께서는 큰 호령(號令)을 내리시어 속히 혼미한 길을 돌리소서. 성인을 비난하는 책을 읽지 못하게 하면 올바른 추향(趨向)을 알게 할 수 있을 것이며, 괴상한 의논을 세우지 못하게 하면 마음을 온전히 보전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마땅히 자신을 법도로 단속하고 선비들을 행동으로 지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천(伊川)의 간상학제(看詳學制)135)를 써서 비록 한 세대의 법도를 다 변화시키지는 못하더라도 호안정(胡安定)이 작신(作新)한 정성136)을 본받는다면 거의 천 년의 국운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陽。觀 ≪高峰集≫記箋。擬成均館請令儒生勿觀雜書箋。大一統以凝道。 旣建純粹之宏規。 眩多歧而迷眞。 宜抑駁雜之流弊。肆竭管見。 用干天容。恭惟順性允升。 典學時敏。慕唐虞而陶化。 美哉禮樂之洋洋。 式周孔而設敎。 煥乎文章之郁郁。藹多士之興起。 偉休風之沖瀜。第緣厭常而喜新。 或致務博以鬪靡。論心識性。 頗戾程朱之遺書。 柝理談玄。 類染陸揚之緖語。揆諸聖而無獲。 施于事而有妨。闢邪說以正人心。 世無鄒孟之辨。 侮聖言而皷衆口。 時見蒙莊之風。是固識者之深憂。 盍勅儒士于烱戒? 六經如日月。 豈難覩其光明。 千聖有範模。 亦可尋其統緖。伏望渙發大號。 亟回迷塗。不敢讀非聖之書。 可使知其超向。 毋或立詭常之論。 足能全其心思。 謹當飭躬于謨。 率士以行。用伊川看詳之制。 雖未變一代之條。 效安定作新之誠。 庶可翊千齡之運。 전(箋) 한문 문체의 하나. '전(牋)'자와 통용하여 쓴다. 전의 뜻은 '나타내다[表]'로 자기의 의사를 남에게 표현하는 것이다.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표와 전을 구분하여 중국천자에게는 '표'라 하였고 우리 나라 임금이나 중전에게 올리는 글은 '전'이라 하였다. 천용(天容) 원래 하늘의 모양을 뜻하나, 여기에서는 군왕을 표현한 말로 쓰였다. 육(陸)・양(揚) 육은 상산(象山) 육구연(陸九淵)을 가리키며, 양은 한(漢)나라 때 ≪태현경(太玄經)≫을 지은 양웅(揚雄)을 가리킨다. 몽장(蒙莊) 장주(莊周)를 가리킨다. 그는 원래 초나라 몽현(蒙縣) 출신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몽수(蒙叟)라고도 칭한다. 이천(伊川)의 간상학제(看詳學制) 이천은 송나라의 학자 정이(程頤)의 호이며, 간상학제는 태학(太學)의 제도를 살펴보아 수정하는 것이다. 정이는 철종(哲宗) 때 숭정전 설서(崇政殿說書)가 되어 손각(孫覺)과 함께 태학의 제도를 수정 보완하였다. 호안정(胡安定)이 작신(作新)한 정성 호안정은 호원(胡瑗)이며, 작신은 새로운 사람으로 진작시키는 것이다. 그는 일찍이 호주 교수(湖州敎授)가 되어 경의재(經義齋)・치사재(治事齋)를 두고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태학에 들어가서도 다년간 인재 양성에 온 정성을 쏟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크게 눈이 내렸다. 종기 치료 때문에 편치 않아서 경모궁(景慕宮) 조한(趙漢)의 막사에 와서 머물렀다. 진 주부(陳主簿)를 불러서 종일 얘기를 나누었다. 大雪。 以瘇氣治療之不安, 來留於景慕宮 趙漢之幕, 要來陳主簿, 終日談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밥을 먹은 뒤에 종기를 터트리니 농이 많이 나왔다. 이날 밤에 또 큰 눈이 내렸다. 食後, 破瘇濃汁大出。 是夜又大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몹시 추웠다. 極寒。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