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일행과 출발하였다. 청파의 영대 집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행장을 꾸려 길가로 나오니 임실의 일행은 먼저 출발하였다. 노량(露梁, 서울 노량진)으로 가니 내년 동가(動駕)45) 때 쓸 배다리[舟橋]46)를 만들기 위해 모든 배가 다 와서 강 가운데 정박해 있어, 가히 장관이라 이를 만하였다. 그길로 강을 건너기 위해 강기슭 육신묘(六臣墓)47) 앞에 이르러 육신묘비(六臣墓碑)48)를 봤다. 산소를 둘러보고, 망배(望拜)하고 싶었지만, 눈이 쌓여 묘정(墓庭)을 막아 성묘를 할 수 없었다. 가다가 시흥(始興) 읍내에 이르러 콩죽을 사서 요기를 하였다. 군포천(軍布川) 주막에 이르러 임실 일행을 만나 함께 유숙하였다. 이날 밤에 큰 눈이 왔다. ○朝前, 與同行發程。 抵靑坡永大家, 仍朝飯。 治發行裝, 出來路邊, 則任實同行先去矣。 行去露梁, 則以明年動駕時舟橋次, 船隻盡爲來泊於江中, 可謂壯觀矣。 仍爲越江, 抵江岸六臣墓前, 見六臣墓碑。 周觀山所欲爲望拜, 而以雪塞墓庭, 不得省拜。 行至始興邑內。 買太粥療飢 抵軍布川酒幕, 逢任實同行, 仍爲同留。 是夜大雪。 동가(動駕) 임금이 탄 수레가 대궐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배다리[舟橋] 작은 배를 잇달아 띄워 놓고 그 위에 널판을 건너질러 깐 다리이다. 육신묘(六臣墓) 서울 노량진에 있는 단종 복위 사건으로 죽은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하위지(河緯地)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ㆍ유응부(兪應孚)의 묘이다. 육신묘비(六臣墓碑) 서울 노량진 남쪽 기슭에 있는 사육신(死六臣)의 묘비로 1782년에 세워졌으며, 조관빈(趙觀彬, 1691~1757)이 찬(撰)하고 이휘지(李徽之, 1715~1785)가 글씨를 썼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귀남(龜南) 종객(宗客)이 왔다 갔다. 龜南宗客, 來見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 二十五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새벽에 군택(君澤) 부자가 왔다 갔다. 曉頭君澤父子, 來見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정유) 五日 丁酉 맑음. 돌아오는 길에 박인섭(朴寅燮)을 방문하여 그의 조모의 대상을 위문하였는데, 3월 27일에 있었다. 陽。歸路訪朴寅燮。 慰問其祖母祥。 居於三月二十七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무술) 六日 戊戌 맑음. 지곡(芝谷)의 녹실어른을 방문하였는데, 마침 손부를 맞이하느라 분주할 것을 헤아리고 곧바로 김참봉(金參奉)댁에 들어가 유숙했다. 陽。訪芝谷綠室丈。 適迎孫婦度其奔走。 徑入金參奉宅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을묘) 二十三日 乙卯 흐림. 무료하게 보냈다. 陰。無聊而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임술) 二日 壬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계해) 三日 癸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갑자) 四日 甲子 맑다가 흐려짐. 소나기가 흡족히 내려 계곡물이 불어났다. 陽而陰。驟雨洽注。 溪水漲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을축) 五日 乙丑 흐리다 맑아짐. 잠시 비가 내리다 금방 갰다. 陰而陽。乍雨乍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신미) 十三日(辛未) 맑음. 보리를 갈았다. 陽。牟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신해) 二日 辛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을사) 十九日 乙巳 맑음. 광주 흑석면(黑石面) 장자동(長者洞)에 사는 사문(斯文) 이희용(李熙容)씨 -호는 쌍석(雙石)으로 전의인(全義人)이다- 가 종인 영조(永祚)와 함께 와서〈노사선생비역통문(蘆沙先生碑役通文)〉을 보여주기에 기록한다.〈노사기선생 비역소 통문(蘆沙奇先生碑役所通文)〉선사(先師)이신 노사선생47)의 장지가 영광(靈光)의 황산(凰山)48) 기슭에 있는데, 묘지의 나무는 이미 한아름이나 자랐지만 아직 변변한 비석은 세우지 못했습니다. 비록 세상일의 다단함에서 연유한 것이라 할지라도 또한 인사가 고르지 않은 탓이기도 합니다. 당시 선생이 세상에 살아계실 때에는 세상을 주도하는 문장으로 춘추의 현미(顯微)와 천유(闡幽)의 붓을 잡으시고 한 세상을 풍미했습니다. 큰 비석이나 작은 비석이 종고(鐘鼓)의 소리를 품지 않음이 없었고, 산속 서재와 물가의 정자가 강한(江漢)의 물결에 젖지 않음이 없었습니다.49) 그런데 마침내 선생의 묘소로 하여금 지금까지 한 조각의 표석과 몇 칸의 제사지낼 집도 없게 하였으니, 어찌 연원있는 여러 집안이나 문하에서 공부한 후생들의 책임이 아니겠습니까?이에 3월 26일에 황산 아래에 비역소를 설치하고, 통문으로 아뢰니, 일흡경해(一吸傾海)50)라고 말하지 말지니, 또한 티끌모아 태산을 이룰 수 있습니다. 그밖에 선생의 학풍을 듣고 사숙한 사람이나 덕을 사모하여 의리로 향하는 자들은 반드시 칠십제자들보다 못하지 않을 겁니다. 또한 널리 알려주는 데 달려 있을 따름입니다. 삼가 여러분께서 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陽。光州黑石面長者洞。 斯文李熙容氏。 號雙石全義人。 與宗人永祚同來。 示以蘆沙先生碑役通文。 記之。〈蘆沙奇先生碑役所通文〉先師蘆沙先生之葬。 在於靈光凰山之麓。墓木已拱。 石無顯刻。雖緣世故之多端。 亦由人事之不齊也。當先生之世。 以命世之文。 操春秋顯微闡幽之筆。 陶鑄一世也。穹碑短碣。 莫不懷鐘鼓之音。 山齋水亭。 無不沾江漢之波。 而遂使先生之墓。 至今無一片表隧之石。 數椽享祀之屋。 豈非淵源諸家及門後生之責也? 以三月二十六日設役於凰山下。 玆庸文告。 非曰一吸傾海。 亦可以聚塵成山。 而其他聞風私淑。 慕德嚮義者。 必有不下於七十子之人矣。亦在廣告之如何耳。伏惟僉照。 노사선생(蘆沙先生)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을 말한다. 자는 대중(大中), 호는 노사(蘆沙), 본관은 행주(幸州)이다. 성리학에 대한 깊은 궁리와 사색을 통해 이일분수(理一分殊)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수립하였다. 한말 위정척사파의 사상적 기초를 제공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문도는 전라도뿐만 아니라 지금의 경상남도 일원에도 폭넓게 포진해 있었다. 저서로는 ≪노사집≫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황산(凰山) 현재는 장성군 동화면 남산리에 해당된다. 큰 …… 없었습니다 노사가 지은 기문이나 묘도문자를 말한 것이다. ≪노사집≫에 실린 글을 보면, 기문이 88편, 묘도문이 20편 등이다. 일흡경해(一吸傾海) 한 번에 바다를 기울여 마심을 이른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정유) 十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무술) 十一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임진) 六日 壬辰 맑고 바람 많음. 陽而風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병오) 二十日 丙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정미) 二十一日 丁未 맑음. 陽。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