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계축) 二日 癸丑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임신) 十四日 壬申 맑음. 성묘를 하였다. 陽。作省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갑오) 十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병신) 十二日 丙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정유) 十三日 丁酉 맑다가 흐림. 비가 올락 말락 하였다. 陽而陰。欲雨而未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무술) 十四日 戊戌 맑음. 집으로 돌아왔다. 陽。還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병오) 二十四日 丙午 맑음. 집으로 돌아왔다. 陽。歸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무신) 二十六日 戊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기유) 二十七日 己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경술) 二十八日 庚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경인) 五日 庚寅 다시 장동으로 돌아왔다. 저물녘에 비가 내렸다. 復還章洞。日夕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신묘) 初六日 辛卯 갬. 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신축) 九日 辛丑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갑인) 二十四日 甲寅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병진) 二十六 丙辰 입추(立秋). 맑음. 황충을 잡았다. 立秋。陽。捕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기해) 七日 己亥 맑음. 녹실댁에 다다라 술을 마셨다. 점심을 먹은 후에는 참봉댁[김용순]에 이르러 난주(餪酒)94)를 마셨다. 저녁을 먹은 후에는 계당(溪堂)의 벽서(碧棲)95)어른 -이름은 운오(雲五), 자는 경일(景日)- 이 아이를 보내 초대하기에 계당에 이르니 설투화(雪妬花, 수국)와 모란[牧丹]이 피어있고, 달빛이 뜰에 가득하였다. 그곳에서 유숙했다. 벽서가 누이의 수연시에 차운한 시를 내게 보여주기에 밤에 와서 기록하였다.〈누이의 회갑 당일에 참석해서 그 운에 따라 축하시를 지어 조카 양재면 형제에게 주다(阿妹回壽當日身參, 依其韻賀, 示梁侄在冕昆弟)〉인간의 세월 어떻게 한정 하리(何限人間日月年)얼마나 많은 일들 겪어왔던가(幾多閱斷萬千千)술은 동해처럼 깊어 장수를 더하고(酒深東海添遐算)신선은 서하에 내려와 먼 하늘에 예를 올리네(仙降西河禮遠天)어린 새96)들 사랑스럽게 채무(彩舞)97)를 추고(雛雀堪憐趍彩舞)노룡98)은 항상 구슬을 안고 잠든다(老龍長見抱珠眠)대가(大家)의 희끗한 머리털 지금은 얼마이뇨(大家蒼鬢今如許)형제가 함께 변하지 않으니 느낌은 예대로네(同是兄堅感舊然)〈어떤 순사가 매화 한 가지를 꺾어들고서 수남(水南)99)의 양우(梁友)에게 시를 지으라고 했다는 말을 듣고 장난삼아 짓다(有一巡査折取梅花一枝, 索詩於水南梁友, 聞而戱成)〉매화 한 가지를 꺾어 손에 드니(手取梅花第一枝)어여쁘게도 봄소식을 벌이 먼저 아네(可憐春色蜂先知)머리에 꽂고 노는 것은 아이 일만이 아닌데(揷頭嬉戱非童事)단발이라 마땅히 꽂을 데가 없구나(短髮無因妥導爲) 陽。臨綠室宅飮酒。午飯後到參奉宅飮餪酒。夕飯後溪堂碧棲丈【名雲五。 字景日】。 送兒招去。 到溪堂。 雪妬花發牧丹開。 月色滿庭。 因留宿。碧棲次妹氏壽宴韻示之。 夜來記之。阿妹回壽當日身參。 依其韻賀。 示梁侄在冕昆弟何限人間日月年。幾多閱斷萬千千。酒深東海添遐算。仙降西河禮遠天。雛雀堪憐趍彩舞。老龍長見抱珠眠。大家蒼鬢今如許。同是兄堅感舊然。有一巡査折取梅花一枝。 索詩於水南梁友。 聞而戱成手取梅花第一枝。可憐春色蜂先知。揷頭嬉戱非童事。短髮無因妥導爲。 난주(餪酒) 새색시가 혼인한 삼일 후에 시부모를 뵈러 갈 때 가지고 간 술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녹실어른의 손부가 시댁에 오면서 가지고 온 이바지 술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벽서(碧棲) 정운오(鄭雲五, 1846~1920)를 말한다. 자는 경일(景日), 호는 벽서(碧棲), 본관은 연일로, 송강 정철의 후손이다. 담양 남면 지곡리 계당에서 주로 거처했다. 어린 새[雛雀] 자손들을 비유한 말이다. 채무(彩舞) 춘추 시대 초(楚) 나라의 효자인 노래자(老萊子)가 그의 나이 70이 되었을 때 부모 앞에서 어린애처럼 알록달록한 채색 옷을 입고 어린애 같은 장난을 하여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던 데서 온 말이다. 노룡(老龍) 문원(文苑)의 대가를 가리키는 말이다. 송대(宋代) 용도각(龍圖閣)의 직각(直閣)을 소룡(小龍), 직학사(直學士)를 대룡(大龍), 학사(學士)를 노룡이라 했던 데에서 온 말이다.(≪박택편(泊宅編)≫ 권상) 수남(水南) 현재 담양군 대덕면 금산리에 수남리골과 수남리들이 남아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정사) 二十七日 丁巳 맑음. 황충을 잡았다. 이문극(李文極)이 와서 말하기를, 가뭄과 황충이 가는 곳마다 한 가지라고 한다. 陽。捕蝗。李文極來言。 旱蝗到處一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갑술) 十六日 甲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을해) 十七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