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雲谷書舍上梁文 道與時違。筮得天山之貞吉。境與人會。寔好琴書之藏修。豁爾一區雲岡。巋然數間茅棟。竊惟書舍主人。英邁拔萃。篤厚自天。早摳衣於佳川。已識淵源門路之正。晩徒步於溪上。得聞天人性命之微。欲其實體而精思。且將崇造而大進。操執之淸苦堅確。考亭直卿。論議之發越宏開。龍門顯道。師門獎詡。有精神而醇之稱。朋儔相推。發汪洋難涯之嘆。窮聖言之穾奧。汲汲焉析毫而靡遺。懍世道之蹉跎。恐恐然括囊而无咎。歐巴之風潮橫濫。我將焉歸。澗阿之考槃寬閒。誰之永號。爰就家山閒曠之地。仍築菟裘棲息之廬。山回縈而拱環。有若神鬼之秘護。水鳴璆而循砌。儘合碩人之幽居。父曰予子。弟曰予兄。定計於綜幹。夫爲余啓。友爲余訂。夾輔於綢繆。築土登登。墻垣䃈礎咸適厥位。伐木許許。欂櫨椳闑各得其宜。始就十載之心上經營。忽見平地之眼前突兀。挹前修之風韻。地名良非偶然。傍先壠之松楸。孝思儘無窮已。光風霽月。蕭灑乎庭除之間。皓石澄潭。隱映於林莽之際。豈顓頫聽之美。實維講學之爲。式好無猶。勉弟兄以征邁。相觀而善。攝朋友以威儀。居其室出其言。將見千里之應。讀古書論古道。蔚爲多士之瞻。砥節勵名。慥慥乎濂翁之旨訣。修內攘外。兢兢乎泗上之遺編。將使林澗之無慚。肆冀巖棲之有效。停爾郢斲。聽我巴吟。抛梁東。月山高出雲中。我思悠悠江漢。至今草樹春風。抛梁南。一朶芝峯前參。嗟爾煌煌三秀。金丹歌罷思覃。抛梁西。望先壠霜露凄。念玆精靈陟降。春復秋兮怵悽。抛梁北。萬丈澄潭護屋。中有荷花擎珠。聊將極圖三復。抛梁上。一天萬古垂象。毋曰高高莫階。秪須敬義持養。抛梁下。長川晝夜不舍。須看道體無窮。此義自來識寡。伏願上梁之後。棟宇常隆。絃誦不撤。開門授迪。處四方之信從。揜身絶柔。植窮泉之微線。講主理尊華之旨。毋墜蘆溪之正傳。欽持敬存誠之方。遠溯洛閩之遺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祝文 攀蒼杓於孟陬。三陽鼎始。析黎民於暘谷。萬象咸熙。土牛送寒。蟄虫振氣。恭惟春王。首出震位。歲起攝提。爰啓萬八千。無疆之運。星回析木。洞開三十六。煽化之宮。玆當寶甲。申休之期。幸覩上辛。未艾之慶。雨曰肅風曰聖。見鼓潤之精神。地以育天以涵。著廣大之氣像。環東土億年之基本。固是檀箕之休治。拱北極七曜之運行。莫非羲和之茂績。財成二五之化。用回九十之韶。坤維之風氣乍開。灰飛玉管。泰階之陽德方暢。日正璿璣。無爲之化。著於萬邦。浩浩莫測。好生之德。洽于四海。蕩蕩何名。肆當化育之時。敢陳頌禱之願。楚欞八百歲。筭吾北堂之齡。瑤桃三千春。獻彼南山之壽。宜家宜室。鮑宣之鹿車共挽。有子有孫。謝氏之鳳毛齊美。詩禮乃家業。勉力於子集酉文之間。榮貴亦吾思。闡名於乙榜丙科之上。莱傳絲盤。行玉幾頌杜老之詩。道希泰年。願豐尤切。晦翁之祝。至若霽天風月。淡蕩自家之胷襟。幽谷芝蘭。允合良朋之趣味。福祿滋至。如雨後之開花。災厄永消。等霜前之落葉。江山毓氣於萬物。鬱鬱蔥蔥。風雷順軌於三元。庄生化化。仰觀俯察。餞舊迓新。壽域烟花。歌詠堯舜之鴻恩。仁天雨露。沐浴殷周之厖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恭惟我難窩先生。易簀之明年。遺集成。門人吳禎善等。相與悉心編次者也。工垂訖。謂在洙從遊最久。且是役始末與聞其一二。合有一語。以題後。嗚呼。先生之學。其遠者大者。非斯集可盡。若余謏寡。於斯集。猶不能窺其際涯。況敢妄有所論述乎。必不獲已而言。則請以一世之所公評者敍之。其亦可乎。盖先生。自蚤歲承襲家庭。依歸師門。其爲學也。一以誠敬爲主。本以忠信不欺。爲畢生用工。待人接物。一此不懈。望之者。知其爲雍然有德君子人也。所著詩若文。率皆平淡溫雅。不靡於俗。不泥於古。讀之者。可知其性情之正。本源之深也。非如近世。操觚者。雕鏤以爲奇。鑱刻以爲工也。以若學問之純正。文章之宏博。蚤見用於當世。則其黼黻皇猷。裨補世敎者。誰之不如。而終老林下。獨善其身。晩又遭世罔極。卒憂傷而死。薫其德而善良者。亦無幾人焉。門人弟子之不能無遺恨也。然先生之爲先生。在此而不在彼。又何加損焉。今於遺集之編。務從簡約。以遵遺敎。而學識不明。尙慮去取多舛。以重不敏之責。爲兢懼爾。旣編次。無力剞劂。而賴樂善好賢之君子。出力而助成之。豈非斯文之幸哉。在洙於此。謹述先生始終大致。與世所公誦者。識于簡末。柔兆執徐端陽節。族弟在洙謹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南應珍【相魯】 自我溪上遊。朋逐良職職。眞心與眞誠。鮮見夫夫若。心期淸似水。氣貌溫乎玉。才資又已具。聖賢諒可學。芬華非素慕。屈首就寂寞。誰昔坐春日。先生喜動睫。愧此蓬絲質。藍麻惟君託。相從猶未闌。蘭報一何惡。天旣生之篤。又何奪之速。不實聖所悲。仲通焉所獨。嗟哉喪我質。踽踽誰共適。靑蛇風雨日。從師西征役。一書致慇懃。宿疴云復作。雖然志不捨。杜門非敢畫。心祝趁勿藥。甘苦同馳逐。萬事忽已非。君能厭塵濁。脫屣固可賀。所恨志未克。凄風數掬淚。南望一太息。人事多緯繣。尙稽一聲哭。嗚呼今已矣。典型那更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邱徐氏派譜序 大邱徐氏派譜將入梓。其門老丙頀氏。三舍扶藜。再踵吾門。徵之以弁其卷者。其言曰吾徐有譜。刱於明陵壬午。至往年庚午凡六修。而皆大同畢收。卷帙猥穰。貧不能各貯。又不便於考閱。諸宗病于玆。今另修派譜。止四佳文忠公之裔。蓋亦勢然也。吾徐以高麗軍器少尹諱閈爲鼻祖。十傳而縣監諱居廣。乃文忠公之伯氏。而寔爲京派之祖。吾派則文忠公玄孫雲田府君。始南下順天。三傳而蓮村松齋芝村山隱樵軒五公。騈棣聯芳。其裔仍散處傍近數邑。而家戶今百五十有餘。是可合成一譜。願子之惠而文之也。不佞敬復曰。徐氏之譜得矣。大河汪汪。簡潔分流。江漢滔滔。沱潛別派。是誠勢所必至。非故相異也。夫親親自近始。篤近而後可及於遠。故周官奠繫勢。未必廣蒐同祖。逮宋蘇氏歐陽氏之譜。程例甚備。而亦至高祖而止。今玆譜。其派分已十五六世。逆而至始基之祖。近三十世。其視宋儒之譜。不已多乎。蘇氏譜觀吾譜。孝弟之心。油然而生。以其族近而情相貫也。譜而情不相貫。是有譜而無譜也。前賢所以右派譜而左全譜者。爲是也。且夫文忠公忠勳德業。文章風節。輝映靑史。千歲流芳。而爲分派之祖。玆譜之重。爲何如哉。至若山隱沙村兩世之忠孝俱全。蓮村諸昆季之行義敦實。又見其繼先垂後之盛。而椒聊蕃衍。孝烈又相次。持是而往。亦足自立於世矣。惟譜中諸公。各自砥礪。無輕茫薄。克追大雅聿修之義。則豈不休哉。旣以告諸公。遂書此爲之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晦卿字序 木晦於槿。春容燁敷。人晦於身。神明內膄。此劉屛山之字祝於朱先生者。而先生之所以啓萬世之鐸。未嘗不本於此十六言。經生學者。類能誦其說。而能悅而繹。反躬而實體者。槪乎其鮮矣。夫以梗枏之美。而其土也磽。其培也不及。而其根也拳而不舒。則無由得以全其天而敷其容。非惟木然。人爲甚。夫人之生也。耳目鼻口四肢具焉。旣有其具。不能無聲色臭味安逸之欲焉。旣有其欲。不能無好樂憂患是非利害之惑焉。苟不能潛心以居。擇地以蹈。則物交物。引之而天飛。擠之而淵淪。內而耗其神。外而戕其身。蠢蠕以動。禽獸焉已。飄忽以盡。草木焉已。惡在其爲萬物之靈天性之貴者乎。夫如是君子必反躬自檢。嚮晦而宴息。用晦以自明。行乎素位。而不願乎其外。聲色臭味。不爲之動。憂患是非。不爲之惑。夜氣之生。浩然而不窮。神明之用。皦然如朝暾之初出。徹萬微而不迷。應萬事而不差。馴致乎高明廣大之域矣。此固難驟語於初學。然不辨彀率而有能學射者乎。金生在華。表德曰晦卿。請余序之。告其說如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沈相玉正玉二君序 余湖南之域。誹者半快者半。其惜相離之遠。憂遊從之寡。悒悒然不樂者。沈相玉正玉二君爲最甚。二君亡友止岡子之弟也。余自止岡子之沒。風味頓喪。出而遊若無人。遇乎事若失相。倀倀焉無所歸。而猶二君克追其先兄之心。憐我護我。事無細大。不以勤勞而辭之。憂喜與同。痛癢相涉。時日不相見則思。有酒有客則招。其所綢繆密勿。視止岡子在世之日而無少損也。人事不恒。城隅之分遽迫。去者之情。固不及送者之悵。吾不知何以慰二君。而止岡有靈。亦不謂之太恝矣乎。雖然。止岡子嘗語余曰。吾與子早晩得好江山。以資吾與子之送老。以基吾與子之之孫。將使二姓而一門。爲百世不拔之業。人雖亡而言猶在耳。止岡子若在今日。其必爲余先導之不暇矣。余將到彼山川風月水石佳處。必思吾止岡子。而潛潛然泣下沾襟。則吾不暇慰二君。而二君當爲我慰也。但前轍易危。後車易安。二君能徐徐審度。加之以歲月之思。蓄之以歲月之力。其能遂子之兄之平日也邪。二君其念矣。春秋佳日。試理短策。渡濫江道泗昆之間。大海蒼茫。雲垂水立。波浪洶湧。魚龍隱見。溯蟾津過岳陽。蠹濯二先生遺躅如昨。躡雙峰。登頭流絶頂。海天相接。星斗可捫。四方八面。林林叢叢。盡入懷抱之中。而爲吾有也。則仰而觀俯而思。其將默然有會於吾與止岡子之志也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遠慕齋記 世遠而廟毁。報本之誠。無所於伸。則墓祭興旣祭矣。齊明具脩之不可無所。則墳庵作。此天理人情之不容已。而孝子慈孫之不可緩也。茂松之有辛氏。自戶曹參判諱奉修。始肇基垂緖。以文學孝謹著于鄕。式至于今有裕。直大山坊石下洞向壬之區。有纍然堂斧之如碁置者。卽其世葬。而其最尊位。乃參判公及其夫人淸州韓氏之藏也。群裔虔奉香火不懈。而齋舍闕焉。往年己卯夏。後孫徽根與克祚克琯克烈。協謀于宗。建屋五楹於墓下數武地。房堂廚庫。具體而完矣。旣落。徽根白首齎誠。十舍間關。過余于方丈山中。誦其遠慕齋扁。請余以疎其義于楣。余惟遠者人之所易忘也。而況其至九世十世。則又遠之遠也。慕者因其聲容之所接。觀感之所發。而今歲閱數百。風徽影象。邈焉泯焉。則雖欲不忘而篤慕。其可得乎。雖然遠者近之積也。故追遠者必自近。而近莫近於其父。苟能以其父之心爲心。則祖亦父也。又心其心。則曾而高。而推之至於十世百世。莫非其父也。皆吾之所自出也。其可忘乎。其敢不慕乎。然則今日名齋之義得矣。但慕之如何。上山拜墓。下山瞻楣。聿修祖德。思所以無忝。遹遵祖式。思所以勿替。于羹于墻。爲箕爲裘。無敢斯須之或弛。則吾將見辛氏之門戶益大以昌。而斯齋之嗣而葺者。又無窮已矣。謹書此以爲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允肅【敬來 癸酉】 允肅之不吾門幾歲矣。意允肅其將忘我也。書來知所疏者楪子也。方寸之照。猶夫舊也。自夫世遷象爭。趨時謀利。胥不知反。滔滔於熙穰之中。斷斷於趨避之末。彼誠孟子所謂凡民也。固無責矣。人家子弟早聞家庭敎誠。受讀若于經子。粗知所向背矣。而亦復爲外至所誘奪。靈慧者翩翩。幹能者穰穰。其稍謹愿者。安小成狃近利。較銖兩於絲穀之間。沒性命而不之覺。準之一世。鮮有能出此數者之外者。噫。霜雪肅嚴。而所恃者後林之鬱鬱。風兩晦冥。而所待者將晨之喈喈。回顧舊境。一向濯濯。曠然可與議於此事者。安得不伶俜惘抱書而悲也哉。來書縷縷。有憂世之意。故發之至此。然而憂世莫若憂已。憂已莫若從事乎其實。知從事乎實。則將銖累尺進。路脈次第瞭然。自有安閒樂地。彼外誘之紛紛。絲穀之區區。何足亂我方寸哉。古人有言。一飮一啄。皆有定命。如其有命。不求而至。如其有定。求之何益。苟實有見於此。將無入而不自得矣。吾友念哉。尊府一別黯黯。地左不得源源。賤分之薄爲恨。或可傍稟此意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或人 顔淵問仁章。一日克己復禮。天下歸仁。集註以爲歸猶與也。又言一日克己復禮。則天下之人。皆與其仁矣。極言其效之甚速而至大也。愚竊謂夫子立言之本旨。似恐未然。一日克己復禮。不是對一人說。是對天下言。而下文天下二字。是該上文一日克己復禮而言者。一日克己復禮。是一日用力於仁之說也。天下歸仁。是人皆可以爲堯舜之說也。蓋歎人之莫學夫斯道。而言人能一朝奮然用力於克己復禮之工。則自無不可爲之人。而皆歸于仁焉矣。若是以一人克復。而天下與仁言者。則一日上當有君子二字也云云。所論若有意思。而於本旨遠矣。此段言爲仁者之極功。非爲勉學而加歎者也。觀於下章在邦無怨在家無怨亦可見矣。盛見却鑿之甚而傷於巧。巧極反拙者非耶。朱子於此費商量。而屢改乃定。後學不敢輕議也。石子重問克齋記說天下歸仁處云。先本云天下亦將無不以仁歸之。後本云視天下無一物不在吾生物氣象之中。先後意思甚異。朱子答曰初意伊川說。【外書伊川云。一朝能克己復禮。則天下稱其仁。非一日之間也。】後覺未穩。改之如此。乃呂博士說。恐當以後說爲正。蓋所謂伊川說。亦止見於外書雜說中。容或未必然也。【止此】今考大全克齋記。則有曰克之而又克之。以至於一朝豁然。欲盡而理純。則其胸中之高存者。豈不粹然天地生物之心。而藹然其若春陽之蘊哉。黙而成之。固無一理之不具。而無一物之不該也。感而通焉。則無事之不得於理。而無物之不被其愛矣。比與先後兩本不同不說歸仁處一款。而大意與後本同一義也。至若戊申封事。亦曰心德旣全。則雖以天下之大。而無一人不歸吾之仁。此乃克齋記後本之義也。則此恐爲定論。而集註改之又改。遠從伊川說。至答連嵩卿書曰。天下歸仁。熟考經文及程氏說。似只謂天下之人。以仁歸之。與呂氏贊不同。蓋事事合理。則人莫不稱仁。如宗族稱孝。鄕黨稱弟之此。若有毫髮之私。留於胸中。則見乎外者。必有所不可揜。人亦必以其實稱之。又何歸仁之有。【止此】且見於語類。不一其條。而無一不與集註同意。恐當從之。不必更生別論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性佑【暢中 丁丑】 梱裁而來。垂槖而歸。昔人所歎。余故於公輩之始來。不以爲樂而有若蘄許者。蓋以所藏之恕。無以波及於人。而秖誤人家英髦。有如昔人之歎也。今承來書。果有空槖而歸。仰天長歎之語。固已料有此。而作乍對紙面。自反慙縮。不覺通身發汚。審從石田齋遊。嘉甚幸甚。須懲昨厲今。更審一審著一著也。一言佩服之求謬矣。足下所讀一部書。是終身學問之門路階級。修已治人之大經大法。苟舍此別求。則眞棄甛桃摘醋梨。不具誤乎。但以朱先生所訓。不求人知而求天知。不求同俗而求同理。銘心鐫肺。不至斯須之或忽如何。玉山翁近何似。明哲自靖。晩德想益崇。爲致此形忘心不忘之意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四禮儀序【丙寅】 自朱夫子著爲家禮書。以定冠婚喪祭之儀。而後之說禮者。因而纂述。亡慮至數十家。蓋皆有以疏釋精義。斟酌時宜。而辨究其疑文變節。未及經朱子之論。與嘗經論矣。而容有早晩同異之歸者。其間雖各有取舍詳略之不同。然要皆一以家禮爲主。顧其引類旣繁。卷編甚多。學者往往不能遍讀而識之。故倉卒行事之際。難以汎考而揀要。槪斷而得衷。如是而求其合宜應節。蓋亦難矣。琦之居母喪也。竊不自揆。取其簡便。鈔定所謂喪禮儀一冊。旣而朋友之好之者。相與謄出。皆以不及冠婚祭病焉。遂乃復就家禮。芟繁綴略以求其當。質之古經。考之諸家。參之以師說。而間亦略附己意。總爲四編。名曰四禮儀。同志之士。或有取焉。冀有以匡謬補闕。無使世之君子譏之曰汰哉。幸矣。嗚呼。禮之爲敎。豈不大哉。昔先王之御民也。知成人之道。不可以徒爲。故爲之冠以重其始。配偶之際。不可以苟合。故爲之昏以厚其別。送死之哀。出於孝子之至情。故爲之喪以愼其終。報本之誠。原於天理之自然。故爲之祭以追其遠。蓋其所以紀綱人道。範圍天地者。無他。禮爲之也。而自夫世級之寖降陵夷。至于今日。而民俗益偸。又有邪說異敎。紛然而作。一切掃除先王之舊章。而易之以淫蠱奰慝之術。人惟漸染而不自覺。故見有一二能好古爲禮者。群駭且訕。而爲士者。亦往往狃於習俗之陋。於其日用之常。儀文之懿。漫不思所以講貫而服行之。世道之入於昏黏。而人之類淪胥以盡。職惟由此之故。嗚乎。禮其可廢也歟則已矣。如不可一日無也。雖其微文細節。一度數之遺。苟先聖賢之所制作者。究而明之。有足以維己及人。而況夫冠婚喪祭。所謂禮之大者。有家者其可不預講而素習之乎。余之編此。固知僭妄爾。然亦或不害爲講貫服行之資。而於以導啓子弟。漸移習俗也。未必無少補云。甲子孟春瑞山鄭琦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무자) 四日 戊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병술) 二日 丙戌 맑음. 생부의 기제(忌祭)에 참석하러 가는데, 원모령(院茅嶺)에 이르러 쉬다가 정응교(鄭應敎)의 아들을 만나 녹실(綠室) 어른의 부음을 들었다. 陽。作生庭先考忌祭之行。 至院茅嶺歇脚。 遇鄭應敎子。 聞綠室丈訃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기축) 五日 己丑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정유) 十五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무술) 十六日 戊戌 흐림. 비 오고 바람이 불었다. 陰。雨而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기해) 十七日 己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경자) 十八日 庚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 을사 二十四日 乙巳 흐림. 석헌(石軒)104)의 비문을 봉심했다.〈석헌 유선생 신도비〉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 의금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춘추관 성균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행 통훈대부 홍문관 전한 지제교 겸 경연시강관 춘추관 편수관 정간공(靖簡公) 석헌(石軒) 유선생(柳先生) 신도비명(神道碑銘) 병서(幷序).순창의 서쪽 20리에 있는 강천산(剛泉山)105)의 남쪽에 이른바 '삼인대(三印臺)'라는 것이 있는데, 곧 참판인 석헌 유옥(柳沃)공과 충암(沖菴) 문간공(文簡公) 김정(金淨) 및 눌재(訥齋) 문간공(文簡公) 박상(朴祥)이 인끈을 걸어놓고 상소문을 봉한 곳이다. 지금까지 수백 년에 이르도록 지나는 사람들은 반드시 법식으로 삼았다.정종이 기미년(1799)에 박공에게 사제문(賜祭文)을 내렸는데 이르길, "경이 담양(潭陽) 고을을 맡아, 같은 덕을 가진 이와 이웃이 되었네. 삼인대(三印臺)야말로 만고에 닳아지지 않으리라."라고 했다. 이에 앞서 군의 인사들이 삼인대 아래에 비석을 세우고, 도암(陶菴) 이재(李縡) 선생이 이에 명(銘)을 썼는데 이르길, "삼선생의 기풍은 늠름하여 영원하리."라고 하였고, 또 "선생의 의론은 비록 한때는 좌절되었다 할지라도 마침내 백 년의 뒤에는 펴지게 되었네."라고 하였다.오호라! 성조(聖朝)의 포가(褒嘉)와 선정(先正)의 명송(銘頌)이 이처럼 지극하니, 공이 김정・박상 두 현인과 더불어 이름을 나란히 하고 영원토록 명성이 수립될 것은 백 대를 기다린 후에도 의혹이 없을 것이다.행장을 살피건대, 공의 자는 계언(啓彦)이고, 본관은 문화(文化)로, 고려의 대승(大承) 차달(車達)106)이 그 선조이다. 고조부는 부사(府使) 운(沄)이고, 증조부는 훈련부사(訓練副使) 면(沔)이며, 조부는 생원(生員) 인흡(仁洽)이다. 부는 훈도(訓導) 문표(文豹)이고, 모는 성주(星州) 현씨(玄氏) 이호(以浩)의 딸이다. 생원공(生員公)은 단종(端宗) 6신(六臣)107)인 충경공(忠景公) 유성원(柳誠源)과 6촌 형제간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호남(湖南)으로 내려왔다.공은 성화(成化)108) 정미년(1487)에 태어나, 15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21세에 문과에 장원급제했다. 내직(內職)으로는 홍문관(弘文館) 전한(典翰), 응교(應敎)를 역임하고, 외직(外職)으로는 무안현감(務安縣監),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역임한 것이 그 이력이다. 무안(務安)은 부모님 봉양을 위해 청한 것이고, 종성(鍾城)은 남곤(南袞)109)을 거슬려서이다.공이 관적(官籍)이 이름이 오른 것은 실로 중종(中宗) 연간에 있었다. 충암(冲菴)110)이 일찍이 헌납(獻納)으로써 합계(合啓)111)를 올려 내수사(內需司)의 장리(長利)112)를 없애고 기신재(忌辰齋)113)를 혁파(革罷)할 것을 청했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고 수개월이나 미뤄졌다. 이에 성균관 유생들과 육조(六曹)의 관원들이 연달아 소장(疏章)을 올려 대간(臺諫)의 논의에 따를 것을 청하였고, 승정원(承政院) 또한 계(啓)를 올리니, 임금이 말씀하기를 "유옥(柳沃)이 오기를 기다려 시비(是非)를 명백히 가린 다음에 하자."라고 했다. 공을 임금이 중(重)하게 의지하는 바가 이와 같았다.붓과 먹이 얼어서 다 기록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陰。奉審石軒碑。石軒柳先生神道碑。贈資憲大夫。 吏曹判書。 兼知經筵。 義禁府事。 弘文館大提學。 藝文館大提學。 春秋館成均館事。 五衛都摠府都摠管。 行通訓大夫。 弘文館典翰。 知製敎。 兼經筵侍講官。 春秋館。 編修官。 靖簡公。 石軒柳先生。 神道碑銘。 幷序。淳昌之西二十里。 剛泉南有所謂三印臺。 卽故贈參判石軒柳公沃。 與沖菴金文簡淨。 訥齋朴文簡公祥。 掛印封疏處也。至今數百年。 過者必式。正宗己未賜祭朴公。 有曰。 "卿任潭州。 聞德爲隣。三印其坮。 萬古不磷。" 先是郡之人士。 立碑坮下。 而陶菴李先生。 實銘之曰。 "三先生之風。 凜乎其不死。" 又曰。 "先生之議。 雖屈於一時。 而終伸於百載之下。" 嗚呼! 聖朝之褒嘉。 先正之銘頌。 如此其至。 則公之與金朴兩賢。 齊名永樹風聲者。 可以俟百世而不惑矣。按狀。 公字啓彦。 籍文化。 高麗大承車達。 其鼻祖也。高祖府使沄。 曾祖訓練副使沔。 祖生員仁洽。考訓導文豹。 妣星州玄氏以浩女。生員公。 與端宗六臣忠景公誠源爲再從。 丙子禍流落湖南。公生于成化丁未。 十五中司馬。 二十一魁文科。內則弘文館典翰應敎。 外則務安縣監鍾城府使。 其履也。務安則爲養而乞也。 鍾城以忤南袞也。公之通籍。 實在於中廟盛際。冲菴嘗以獻納合啓。 請罷內需司長利革忌辰齋。 而未蒙允。 拖至數月。館儒與六曹連章。 請從坮言。 政院又爲陳啓。 上曰。 "待柳沃之來。 明辯是非。 然後爲之。" 公之爲上所倚重如此。筆凍墨氷。 不得盡記而歸。 석헌(石軒) 유옥(柳沃, 1487~1519)의 호이다. 자는 계언(啓彦),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인흡(柳仁洽)의 손자이다. 그 아버지가 영암의 월출산(月出山)에 기도한 후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문장에 뛰어나 신동으로 불렸다. 1507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1509년 홍문관수찬을 거쳐 이듬해 무안현감이 되었다. 이때 담양부사 박상(朴祥), 순창군수 김정(金淨)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중종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고, 아울러 신씨를 폐위시킨 훈신(勳臣)들의 죄를 규탄하는 소를 올렸다. 강천산(剛泉山) 전북 순창군 팔덕면에 있는 산으로, 높이 584m이며, '호남의 소금강'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강천사와 삼인대가 있다. 삼인대의 비는 1744년 4월에 세운 것으로, 홍여통(洪汝通), 윤행겸(尹行謙), 유춘항(遊春恒) 등 군의 선비들이 발기하여 이재(李縡)가 비문을 짓고, 민우수(閔遇洙)가 비문의 글씨를 썼으며 유척기(兪拓基)가 전서(篆書)를 썼다. 차달(車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려 태조 때 군량(軍糧) 수송에 공을 세워 대승(大丞)에 제수되고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호를 받았다고 한다. 한편, ≪파평윤씨족보(坡平尹氏族譜)≫와 ≪문화유씨족보(文化柳氏族譜)≫에 의하면, 고려 태조 때의 개국 2등 공신 12인 중의 한 사람으로 태조로부터 사명(賜名)을 받아 문화유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단종(端宗) 6신(六臣) 조선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던 날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浮) 6신(六臣)을 가리킨다. 성화(成化) 중국 명나라의 제8대 황제(1464~1487)의 연호이다. 남곤(南袞) 1519년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김정 등 신진 사림파를 숙청한 뒤, 좌의정을 거쳐 1523년 영의정이 되었다. 죽은 뒤 문경(文景)이라는 시호(諡號)가 내려졌으나 이후 세력이 커진 사림파의 탄핵을 받아 1558년(명종 13) 관작과 함께 삭탈 당했다.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했으나, 사화를 일으킨 것이 문제가 되어 후대 사림의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저서로는 ≪유자광전(柳子光傳)≫, ≪지정집(止亭集)≫이 있다. 김정(金淨) 1514년에 순창군수 재직시 왕의 구언(求言)에 응해 담양부사 박상(朴祥)과 함께 중종 때 억울하게 폐출된 왕후 신씨(愼氏)의 복위를 주장하고, 아울러 신씨 폐위의 주모자인 박원종(朴元宗) 등을 추죄(追罪)할 것을 상소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충청도 보은에 유배되었다. 후에 복권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사(賜死)되었다. 합계(合啓) 조선시대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이 서로 연명하여 논죄에 관해 임금에게 글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내수사(內需司)의 장리(長利) 내수사(內需司)는 궁중에서 쓰는 쌀・베 및 잡물(雜物) 등과 노비(奴婢)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곳. 장리(長利)는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받을 때 5할의 이식을 가산해서 받는 것. 왕실의 사사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내수사(內需司) 장리(長利)가 있었다. 기신재(忌辰齋) 기일 忌日)에 불공을 드려 그 명복을 비는 일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기일 忌日)이 되면 절에서 재를 열었기 때문에 시속에서는 휘일 諱日)을 승재(僧齋)라고 한다. 국가에서도 선왕후(先王后)의 기일이 되면 역시 시속에 따라 승재를 행했는데, 중종(中宗) 병자년(1516)에 이르러 비로소 기신재를 혁파했으니, 기묘명현이 건의한 데 따른 것이다."라고 하고 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