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路難【甲寅幷志】 余以東郵事混入繡啓被逮赴雒路中戱賦行路難一闋時甲寅秋八月二十九日乙丑也關東繡衣者姜蘭馨云山中有豺虎磨牙雙目努樵客見之失斤斧江中有蛟鰐張鬣層濤惡浦人不敢撑舟舶豺虎元在山蛟鰐不離灣今胡爲乎道路間在山不能制狐兎在水不能伏鯨鯢旦欲噬人巧伺人低頭鼓吻瀏其睨我思古人語理解丁寧云豺虎化於孝蛟鰐喩以文終看此物非眞是鼠變爲虎虺爲蛟借得雲雨蹔翶翔托棲城社恣咆哮雉山之壁雖嶔巇比於此路猶坦復蟾江之石雖碻磝比於此路猶如砥行路難難於山難於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禱雨入瑞谷路中口占 十里縈廻更豁然洞門開處見人煙白雲南望疑無地綠野中空別有天村入挑源泉一道山如太古樹千年留連笑我今宵半又續東游未了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5일 十五日 ○밥을 먹은 뒤 여러 벗과 종루로 갔다. 비 때문에 발이 묶여 저녁때까지 비가 개기를 기다렸다. 나는 정동으로 들어가 유숙하였다. ○食後與諸益往鍾樓, 滯雨夕間待霽。 余則入貞洞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7일 初七日 ○밥을 먹은 뒤 10냥을 개간소에 냈다. 저녁 무렵 관정동으로 돌아왔다. 저녁을 먹은 뒤 정동으로 가 이혜길 집에서 묵었다. ○食後, 持十兩錢納刊所。 夕時還冠井洞。 夕飯後, 往貞洞留李惠吉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6일 二十六日 ○아침 전 북문 밖 송약수(宋若洙) 집으로 가니 형제가 모두 없어서 도로 주인집으로 왔다. 아침을 먹기 전에 읍인 박광옥(朴光玉)이 관원을 데리고 부중(府中)으로 찾아왔다. 아들이 보낸 편지를 열어보니 집안은 별고 없고 14일에 손자를 낳았다고 하였다. 우리 집안의 경사로 아주 큰 행운이었다. 예전에 서울에 있을 때 꾼 꿈과 점괘가 실로 헛되지 않았다. 밥을 먹은 뒤 율지와 함께 영주인(營主人)129) 집으로 가서 흥양 하인을 만났다. 돌아서 남문 밖으로 가서 류석하(柳錫夏)를 찾았는데 마침 출타하고 없었다. 그길로 동문으로 들어가 북문으로 나왔다. 마침 종인(宗人, 먼 일가) 상준(相俊)을 만나 송약수 씨 형제가 들어왔는지를 상세히 물으니, 오늘은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여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노자가 부족해서 김제의 이 상인(李喪人)에게 1냥을 꾸었다. 그길로 출발하여 동문(東門)을 나와 법사산(法司山)의 노원(魯源) 집으로 가서 유숙하였다. 회동의 일가 송 장성의 서간을 전하고 여산의 석회 채굴을 금하는 일에 대해 상의하였는데, 11월 시사(時祀) 때 각처의 일가와 상의하여 소장을 올리겠다고 하였다. ○朝前, 往北門外宋若洙家, 則兄弟皆不在, 還來主人家。 朝飯前, 邑人朴光玉陪官行來, 府中來訪。 傳家兒書披覽, 則家中無故, 十四日得男孫云。 吾家之慶, 極爲大幸。 向日在京時, 夢中與占理, 實不虛矣。 食後, 與聿之往營主人家, 見興陽下人, 轉向南門外, 訪柳錫夏, 適出他 仍入東門出北門。 適相俊宗人, 詳問5)若洙氏兄弟入來與否, 則今日不入云, 故還來主人家。 以路貰之不足。 推一兩錢於金堤李喪人。 仍爲發程, 出東門, 往法司山魯源家留。 傳晦洞長城宗氏書簡, 相議於礪山禁灰事, 則至月時祀時, 與各處宗人相議入呈云。 영주인(營主人) '영저리(營邸吏)'라고도 하며, 감영(監營)과 각 고을의 연락을 맡아보는 아전을 말한다. 問 저본에는 '聞'으로 되어있으나 문맥상 수정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1월 十一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 初一日 조금 따뜻해졌다. 稍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조금 추웠다. 稍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주인집에서 머물렀다. ○留主人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월 五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조금 따뜻하였다. 稍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 晦日 젊은 사람들과 필운대(弼雲臺)에 가서 화류(花柳)를 구경하고 왔다. 與少輩, 往弼雲臺, 花柳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四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경모궁(景慕宮)에 가서 이종형님을 만났는데 과거를 본 뒤였다. 오는 길에 금호문(金虎門) 밖으로 들어가 송계순(宋啓舜)과 숙질을 보고 왔다. 往景慕宮見姨兄主, 觀科之後。 來路入金虎門外, 見宋啓舜叔侄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아침을 먹은 뒤에 과거의 방(榜)이 발표되었는데, 이종형님의 과거에 대한 일이 낙막하니 한스럽다. 이날 주인이 도승지가 되었다. 朝食後榜出, 而姨兄主科事, 落漠可恨。 是日主人, 爲都承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오전에 비가 왔다. 오후에 동행과 우 참봉의 집으로 옮겨 머물렀다. ○午前雨。 午後同行移留於禹參奉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代家兄作】 昌平處士舊林泉盃酒相羊六十年白屋詩書貽厥後靑山楸檟孝於先勳名別界浮雲笑志業空樑缺月懸餘蔭滿庭猶可慰雙行玉樹正交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賡 人間五月卽艮辰長得乾坤不老春金母碧桃東海上垂垂寶蔭幾回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宣陵享役渡氷江舟中口占【十二月二十九日南至】 禿首榮銜典祀郞年年佳節送途傍經寒忽喜黃綿襖破寂堪憐綠錦裳桑柘夢邊雲萬里梅楂影下月三霜關心一夜消瀜雪江水蒼蒼尺許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足成夢聯【臘月初三日夜夢得一韻頷聯記甚分明仍成全篇上三韻鴻筒風亦夢中韻【尾句隨意足成】】 寄似鷦鷯意慾鴻市中朝暮笑郵筒越尨亂吠應南雪胡馬長嘶但北風不醉那能抛俗陋雖艱亦可濟貧窮人間倚伏終難曉且把殘詩問塞翁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