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눈발이 날렸다. 이날은 바로 춘상갑(春上甲, 입춘 뒤의 첫 번째 갑자일)이다. 有飛雪點下, 是日卽春上甲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 二十五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간촌의 박생(朴生) 두 사람이 돌아갈 것을 고하였기 때문에 구전으로 병이 차도가 있다는 기별을 가지고 갔다. 이 흥양(李興陽)은 연일 노복에게 서신을 보내 안부를 물었다. 관교지(官敎紙)3)를 창동(倉洞)의 박 승지(朴承旨) 집에 보냈는데, 나는 병으로 몸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처음에는 들것에 실려 가려고 했다. 박 영(朴令)이 두세 번 전갈(傳喝)하여 "병이 이미 이와 같으니 비록 오지 않더라도 어찌 일의 체모에 손상이 있겠습니까."라고 하였으므로 고지(誥紙)만 보냈다. 저녁 무렵에 써서 보냈으니 기쁘고 다행스러움을 이루 말할 수가 없다.이조 낭관은 전적으로 원 좌랑(元佐郞)을 의지하였는데, 원 좌랑이 공적인 일 때문에 사직원을 내어4) 반드시 체차되었을 것이라 하니, 이를 장차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이조 낭관 4인 중에 한 사람은 이미 회헌(晦軒) 조 상서(趙尙書)가 선시(宣諡)하는 행렬에 갔으며, 한 사람은 사직서를 냈고, 한 사람은 들어오지 않았으며, 그 나머지 한 사람은 윤기(尹愭)5)라고 하였는데 소식을 서로 물어볼 곳도 없으니 어찌하겠는가. 이날은 세수하고 머리도 빗었지만 종일토록 정신이 매우 편치 않아 답답하였다. 看 朴兩人告歸, 故口傳病差之奇而去。 李興陽連日送奴書問。 送官敎紙於倉洞 朴承旨家, 而以余病之莫可運動, 故初欲擔去矣。 朴令再三傳喝, "病旣如此, 則雖不來, 豈有損於事體乎?"云, 故只送誥紙矣, 夕間書送, 喜幸不可言。 吏郞則專恃元佐郞矣, 元也以公故呈旬, 必遞爲意云, 此將奈何? 吏郞四人中, 其一已去於晦軒 趙尙書宣諡之行, 一則呈旬, 一則未入, 其餘一人, 卽尹愭云, 而無聲息相問處, 奈何? 是日洗手梳髮矣, 終日神氣甚不安, 悶悶。 관교지(官敎紙) 임금의 교지나 중앙 관서의 공문서용 한지인데, 주로 관아에서 사령(辭令)이 사용한 종이이다. 사직원을 내어 원문의 '정순(呈旬)'은 낭관(郞官)이 사임하려 할 때 10일에 한 번씩 세 번을 계속하여 소속 상관(上官)에게 사직서(辭職書)를 올리는 것을 이른다. 윤기(尹愭) 1741~1826.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경부(敬夫), 호는 무명자(無名子)이다. 1773년(영조49)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20여 년 간 학문을 연구하였다. 1792년(정조16)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를 초사(初仕)로 종부시주부, 예조·병조·이조의 낭관으로 있다가 남포현감·황산찰방을 역임하였다. 이후 중앙에 와서 《정조실록》의 편찬관을 역임하였다. 벼슬이 호조참의에까지 이르렀다. 저서로 《무명자집(無名子集)》 20권 20책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仁嵐驛【丹邱屬郵自毛津江五里】 郵人迎候如入室家可慰兩三郵屋太酸寒猶供香需滿客盤自愧老丞多素食九秋楓嶽坐無端〇十二日己未晴〇朝發仁嵐三十五里昭陽江五里保安驛中火四十里原昌驛宿所【終日春川支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水抱嶺【俗名勿抛里峙自仁嵐五里】 峯回路轉層壁衝浪俯臨可愛征韉侵寒色輕霞淡若紗朝暉添絳葉秋水露晶紗隔港孤村在穿巖一徑斜支離苦吟客游眺興猶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驀花遷【俗音別隅自水抱嶺十里】 屈折石路坐小輿望江上村甍宇如水榭茅簷如篷囱泛泛更奇晴沙明似練寒水碧於藍澁路逢危磴輕輿遞倦驂古松老屋紅葉慰幽巖小卒如山釋迴翔作指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度武陵潭【自花遷十里】 大野茫茫長江滾滾參差林木間無數村店似江村如野屋夾道森羅不徒有繁華物態更兼得幽闃意想赤葉黃花晩色秋百家如畵近江浮迎門駟盖臨長道隔港魚鹽泊小舟老柳光陰堤十里黃梁課業野千疇貊人古國今何在往事傷心易白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飛洞【在刻恨峙北相去可一堠】 甍宇何宏傑名區坐檀雄越中多沃壤應是富家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冷浦【幷誌〇自覺寒峙五里】 刻恨峙下棹官舟直下淸冷浦浦上有小山如島舍舟而登洞門竪一短碣刻淸冷浦禁摽五字移十數步山腰寬平處有丹靑小閣中有一碑全面刻端廟在本府時遺址八字階前有老樅樹枝葉盤鬱如盖山之左右淸冷一水縈廻圍抱坐而周覽非曰勝賞徒增愴感.淡靄輕雲鬱未收小山如島泛中洲王孫綠草東風恨帝子蒼梧落日愁從古淸冷江有石至今怊悵客登舟傍人莫問先天事謾使浮生易白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杏亭村【在寧越邑南與邑相接自淸冷浦十里】 未到觀風閣先過近水軒郵人熟於路云是杏亭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龍潭 在黑龍潭下而八潭外又一潭也淸流白石晶瀅可玩八曲將窮眼不窮衝波怒石踏叢叢飜看玉碎珠[王+冘]處白白飛騰又一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洗頭盆 在白龍潭瀑流中而石竇圓穿如碓乃是普德夫人洗頭盆云【普德夫人卽觀世音】其傍又有巨人跡乃法起祖師足踏處云玉女飛何去空留沐髮盆靈區如待主流水石能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文一【昌雨○丙子】 方繞庭徊徨。微吟杜少陵山意衝寒欲放梅之詩。古人珍札。乍帶春氣而至。盥薇酌瓢。頓覺寒谷之回煖。而疇曩未盡之緖。亦可舒矣。荷甚感甚。伏審邇玆壽韻膺休。聽子家事。與幼抱下上句讀。其樂可知。飮三杯酒。臥飼牛之堗。聽稚子讀書聲。帝王之所羨。況餘人乎。臨風不任注仰。琦寂寞窮林。抱經相弔。餘外可勿言也。勉承吾所愛。其質實重厚。可與共斯學。而世故多端。果能卒究其業否乎。顧今導率子弟者。不于時華。則必于米鹽升筲之間。老兄不然。每令尋冷淡家計。無乃用白圭之術耶。旋切嘆仰。歲饋多感。而太侈溢情。還可悶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孟茂【柏年○癸亥】 頃拜下覆。已是多矣。又有今日書耶。況其遣辭鄭重。有若眞有取於賤陋者然。自顧何以得此於高明。愧無以仰謝也。示諭接引扶得。却是向別人說。非愚昧所敢任。合下百無肖似。而數年來不自度量。妄馳思想。不恤其緯。而倚柱長嘯。浪費了歲月矣。今始覺其妄。直欲簾坎塞兌。從事於朱先生所謂究竟法。則精力又向衰矣。旣不能肘案出聲。又不能見理著思。疏散如此。必將爲鄕里庸人而止耳。設有若干從而遊者。視其儀觀。無所則傚。與之論議。無足聽聞。畢竟不唾之而去者幾希。豈有如此而可以接引之扶得之者乎。然自守一事。固不可以力衰而遽止。惟望仁愛。因風警敎。與之同歸則幸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致善【甲子】 三月念五書。四月廿四始入手。何其滯也。亹亹滿紙溢乎其情之摯也。昭乎其見解之精緻也。讀之如飮醇而不知醉。把炬而照之昏也。荒疎膚末。每荷朋友之眷。而無一半分仰酬之路。思之赬然。母在而叔父主昏。未安云云。盛見與鄙意甚相契。前此以是及一二友朋。而或然或不然。終歸之以强解。故不敢自信。今兄敎至此。可從而信之耶。但來諭盥饋叔父。亦稱母命以行。恐合更商。蓋親迎醮命。以辭命之而已。故父沒則當受命於母。母有服。則叔父稱母之命以命之可也。婦盥饋則舅姑共受其禮者也。舅沒而叔父與母受禮。禮相妨也。又若以母之有服。而叔父代受此禮。則不亦嫌乎。故朱子曰叔父無盥饋之文。母若有服。則亦難行此禮。其意恐似當闕行。必非叔父稱母命以行之意也。愚見如此。未知謂何。向權友所引善者本然也。惡者不得不然。兩個然。夫孰非天理云云。當時愚以爲。蘆翁必不如此莽撞。宜有上下曲折之可尋。歸考本語。則其答人善惡皆天理之問。有曰善惡雖不同。豈有無所以然而然者耶。此之謂善惡皆天理。雖然就其中深探而究言之。則善者其本然也。惡者其不得不然而然者也。合而言之。則兩個然。夫孰非天理。而分而言之。則本然者在善而不在惡云云。讀此則其指意脈絡。犂然可尋。蓋權友大驚於惡亦天理之說。有此辨詰。然天下無理外之事。如水過顙在山。豈水之本性哉。今搏而躍之。不得不過顙。激而行之。不得不在山。其勢則然。而莫非理中事。故合而言之。則就下在山。亦皆水也。分而言之。則水之本性。但就下。不爲在山。蘆翁之意大槪如斯。其分合之間。打開甚明。而何一邊之論。大驚大怪。視之如異說之害理者也。善惡皆天理。惡亦不可不謂之性。皆程子語也。而於彼不疑焉。獨於此詰之何也。正所謂値其所在而攻之者歟。胤君云與家兒同處。喜甚喜甚。渠曺苟能知迺父兄之誼。相愛相勉。豈餘人比哉。是之望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온종일 팔선의 집에서 머물렀다. 終日留八仙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 二十五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일찍 주동(注洞)에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돌아오는데, 비가 크게 내리더니 천둥소리가 괴이하였다. 밤에 큰비가 내렸다. 早往注洞, 暫話促行而來, 雨卽大作, 天動可怪, 夜大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 十六日 사근천(沙斤川)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진흙탕에 길을 나서 시흥(始興) 읍내에서 묵었다. 至沙斤川中火。 汚路作行, 宿始興邑內。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