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金剛僧海峯【僧名右正】 摩訶衍裏海峯禪雉嶽相逢有宿緣名勝八潭泉石外捿捿錫杖問胡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穴巖 溯澗扶笻石磴危登登疲步正支離然猶露頂穿巖孔自笑山中一絶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挾仙樓【丹邱衙門樓】 雨草離離喚客愁綠罇移上一層樓杏花啼鳥千家圃楊柳行人十里洲丹竈幾年消息冷黃梁半半世夢魂浮聊知騎鶴蓬萊子應笑塵間老督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上院泉復用酒泉石韻【幷志】 誌曰上院寺在雉岳高頂世傳塡龍湫建庵至今大泉湧出廚下菴前石上有血痕馬跡僧指謂龍馬跡古人有詩曰古石血新騰馬跡徽瀾香動蟄龍泉雉山之高難上天上有上院石中泉千古龍宮淼安在浮雲衲子空相傳勺水纔到脣齒間寒粟遍軆還凜然玉井蓮氷足相捋依然坐我泰華堧人間始有楊州鶴只欠長腰無一錢九秋意想四月客颯颯兩腋老桂前正欲招攜五壯士一朝通鑿山下遷無可奈何鐵爲限層落依如▣天淵丹丘之水不堪飮四時愁緖泥淤邊數椀茶酒爲計活悄如涸鮒流漚涎超脫未得雲間去轅下羈縻歲又年可笑藍田訾謷物香空帶羽化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鶴城掾舍 昏來雨去奈吾何花柳橫城閉眼過蕉廘夢邊新物色磨驢蹄下舊山阿浮生萬事聊三笑逆旅孤燈又一歌隨處無功兼太守紅醪白飯款情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永恩金國舅書 伏不審花辰氣體候萬安伏慕區區靡任下誠嚮者伯氏大監崇品加資咸氏台監亞卿晉秩幷切伏賀而令胤大闡仰想貽悅無比尤極獻賀萬萬侍生姑保宿狀而營下咫尺巡審支接旣云難堪東西奔走少無棲息之暇伏悶下達備伏惟下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原判書【姓名見上】 春日如年頻仰政摰卽拜下翰仍審間者篆軆度休憊萬相允符供禱者忱記下長時奔走今纔安歇而兩兼朱墨更不侵尋始知泉石間有濠法意想也西園花事會意東君分付十八封姨使之保護花姑以待鶴城太守之駕者已多時日矣幸望斯速命駕勿孤凝竚之懷緖如何如何姑不備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歇牡丹巖【長城境自新店二十里云】 望笠巖而過蘆嶺家鄕猶鬲三舍之外支離哉路愁也何時可已蘆山踏破石千矼足底猶餘短屐雙此去鄕園纔百里斷雲南望我心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喂馬黔巖【自牡丹巖三十里】 駁駁愁雲釀送急雨千里之裝一倍更重鞭下羸騧其能堪耐否十年行跡眼分明坐數溪巒夢裏程一堠靑巖殘驛外參差萬木是長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暮雨峙【自黔巖三十里云】 日易西而雨且下矣一抹鄕山露出指尖歸家遠客十分更忙瑞石纔看僊喜歡三年不改故人顔春和一氣何濃麗大異東州老雉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峯夜行【光州地自暮雨峙二十里有餘】 數十里斷隴崩橋之間一隊人馬帶雨浸黑前呼後應魚貫而進纔入月峰店喂啜而起店鷄已三唱矣依月色更前進大江橫截虛舟無人徘徊洲渚招招舟子夢乎眞乎以吾觀吾還堪一噱待月月峯店愁雲籠遠汀明滅一兩炬帶烟靑如螢濁浪何滔滔纖雨又不止立馬崩沙岸酸苦招舟子舴艋小如梭輕裝不能容織江來又去勞勞到曉鍾水村鷄亂唱曙色易蒼蒼田園融幾堠歸客意轉忙孤火川上壚迷忙有人語肩輿來候否矯首乍容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닭이 울 때 길을 나서 함녕(咸寧)까지 20리를 갔다. 동쪽 하늘에 먼동이 트기 시작했지만 비가 내린데다가 홍 첨지의 말이 복통이 있었으므로 막소에서 조금 쉬었다. 비는 개지 않았으나 말의 병에 조금 차도가 있어 길을 떠났다. 봉산(鳳山) 10리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였다. 여러 방법으로 말을 치료했으나 끝내는 나아질 기세가 없으므로 결국 홍 첨지는 뒤쳐지고 말았다.이에 시종 혼(混)과 길을 나섰더니 찬바람이 강하게 불어 간신히 동선령(洞仙嶺)48)을 넘었다. 조남발소(鳥南撥所)에 이르러 국수와 떡을 사 먹었는데, 봉산(鳳山)이 그것으로 유명했기 때문이다. 황주(黃州) 읍내까지 10여 리를 가서 묵었다. 날도 저물었지만 바람이 차고 길이 얼어붙어서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었다.조남(鳥南) 객점에 이르니 또한 명승지였다. 두 산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이 엄연히 석문(石門)이 되었는데, 바위의 형상은 층층이 바둑돌을 쌓아 놓은 듯하였고, 박계(朴桂)49)로 지탱한 듯 중천에 높이 솟아 있으니 참으로 기이하고 절묘한 곳이었다. 절구 한 수를 읊었다.찬비 개니 세찬 바람 불어오고(冷雨初晴風力緊)동선령 위에 눈이 흩날리네(洞仙嶺上雪浮浮)밤낮없이 서도50) 길 떠나 얻은 것 무엇이런가(日夜西征何所得)묘향산 풍물을 비단 주머니51)에 담았노라(香山風物錦橐捉)조남산성(鳥南山城)에서 또 한 수를 읊었다. 시는 다음과 같다.열성조 서쪽 변방 근심 예사롭지 않아(列聖西憂不等閑)동선령 아래에 겹겹의 관문 만들었네(洞仙嶺下設重關)산성의 초목 몇 겁이 지났던가(山城草木何年劫)초막살이 형편 풍년에도 고달프도다(峽戶生涯樂歲艱)정갈한 솔떡은 진귀한 맛을 뽐내고(精白松餻誇異味)맑고 단 차조술은 쇠한 얼굴 따뜻하게 하네(淸甘秫酒煖衰顔)서툰 시 낭랑히 읊조리며 홀홀히 떠나니(浪吟拙句忽忽去)정겨운 풍경 나 돌아오기를 기다리리(風景多情待我還) 鷄鳴登程, 至咸寧二十里。 天始開東, 而雨作且洪馬腹痛, 故小歇幕所。 雨雖不霽, 馬病小差, 離發到鳳山十里, 朝飯秣馬。 多方治馬, 而終無差勢, 洪遂落後。 遂與混傔登程, 則寒風大作, 艱辛踰洞仙嶺。 至鳥南撥所, 買食麵餠, 盖鳳山之有名故也。 至黃州邑內四十里留宿。 日力雖暮, 而風寒冷凍, 無前進之路。 至鳥南之店, 亦名勝之地。 兩山相拱, 儼作石門, 而石狀疊積如累碁, 如撑朴桂, 高揷半天, 信奇絶處也。 吟一絶, "冷雨初晴風力緊, 洞仙嶺上雪浮浮。 日夜西征何所得, 香山風物錦橐捉。" 鳥南山城又吟一律, "列聖西憂不等閑, 洞仙嶺下設重關。 山城草木何年劫, 峽戶生涯樂歲艱。 精白松餻誇異味, 淸甘秫酒煖衰顔。 浪吟拙句忽忽去, 風景多情待我還。" 동선령(洞仙嶺) 현재의 황해북도 사리원시, 황주군, 봉산군과의 분기점에 위치한 고개로 정방산(正方山)의 동남쪽에 있는 험준한 요새이며 서북의 관문이다. 옛날에 신선이 내린 고개라 하여 '동선령'이라 한다. 박계(朴桂) 밀가루나 쌀가루를 반죽해서 네모진 모양으로 납작하게 빚어 바싹 말린 뒤에 기름에 튀겨 꿀을 바르고 그 위에 튀밥이나 깨고물을 앞뒤에 입힌 유밀과(油蜜果)를 말한다. 서도 서도(西道)는 서관(西關)으로, 황해도와 평안도를 통칭하는 말이다. 묘향산……주머니 보관할 만한 가치가 있는 훌륭한 시를 비유한다. 원문의 '금탁(錦槖)'은 금낭(錦囊)과 같은 말로 시를 적어서 넣는 비단 주머니이다. 당(唐)나라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날마다 명승지를 다니면서 해(奚)라는 어린 종에게 비단 주머니[錦囊]를 지고 따르게 하여 시를 짓는 즉시 주머니에 담았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新唐書 卷203 文藝列傳下 李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이른 새벽에 길을 나섰다. 소교점(燒橋店)·안성발소(安城撥所)·차령(車嶺)·세교(細橋)·병풍암(屛風巖)을 지나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군) 읍내까지 50리를 갔다.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이며 그 평원의 넓은 들판을 살펴보니 논은 한 뙈기도 없고 온통 밭이었다. 남중(南中, 호남) 사람의 소견으로 말하자면, 만들어 놓은 논이 곳곳에 있긴 하지만 애초에 수답(水畓)이 없다는 것은, 아마도 그 밭에서 나오는 것이 논보다 낫기 때문일 것이다.서흥읍은 민가가 빽빽이 늘어서 있었다. 경기(京畿)에서부터 지나온 고을은 송도(松都)를 빼고는 작은 고을이 아닌 곳이 없었는데, 이 서흥읍은 매우 큰 고을이었다. 북쪽에 있는 산성은 그 둘레와 터가 평산(平山)의 태백성(太白城)에 비해서는 자못 웅장했으나, 송도(松都)의 대흥산성(大興山城)47)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름은 태양(太陽)이라고 했다. 말에게 꼴을 먹인 뒤에 수월점(水越店)·차령(車嶺)·서산발소(西山撥所)·흥수원(興水院)·검수(黔數) 등 40리를 가서 묵었다. 이날 90리를 갔다.대개 산천의 기세가 장파(長坡)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는데, 혹 산세(山勢)가 좌우로 서로 이어지고 둘러쌓여 물이 흐르는 곳이 없었으니 매우 괴이하다. 그 가운데 움푹 파인 구멍이 있어 빗물이 쏟아지면 반드시 그 구멍으로 새니 괴이하고도 괴이하였다. 凌晨上程。 過燒橋店、安城撥所、車嶺、細橋、屛風巖, 至瑞興邑內五十里。 朝飯秣馬, 觀其平原曠野, 無一片水田, 皆是田也。 以南中所見言之, 則作畓處處有之, 而初無水畓者, 盖其田之所出, 勝於畓故也。 瑞之爲邑, 閭閻擳比。 自畿至此所過之邑, 惟松都外無非殘邑, 而此邑則極雄府也。 北有山城, 其周回基址, 比於平山之太白, 頗雄壯, 而不及松都之大興, 名謂太陽云矣。 秣馬後, 過水越店、車嶺、西山撥所、興水院、黔數四十里留宿。 是日行九十里。 盖山川氣勢, 太不及長坡, 或有山勢左右相連回抱, 無水流之處, 甚可怪也。 其中空陷有穴, 天水所注, 必漏其穴, 可怪可怪。 대흥산성(大興山城) 개성부(開城府)의 천마산(天磨山)과 성거산(聖居山) 중간에 있는 석축(石築) 산성으로 1676년(숙종2)에 축조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安昌橋【自馬蔡峴扺安昌驛五里】 白雲山外路迢迢橫截長江臥一橋依舊驛樓生馬首春光不改柳千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梨雲【自安昌五里】 馹路西穿一洞門萬林霞氣晝昏昏若無積石難爲峀雖度長亭不見村谷邃傷心禽語怪路麤盈耳馬蹄喧斜陽幸賴荒壚酒喚起詩家寂寂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峙【原州終境自梨雲十里】 斷峽重過舊日顔磵泉如駭谷雲頑關心梗路何多石礙眼荒林只見山上國行人荒店外南風歸馬古松間營營自笑天涯客呑吸狂塵苦未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原州炳皐書 鵲噪空檐忽承惠䓿仍審日間篆軆萬衛仰慰仰慰記下消遣沒策近以佩韘爲戱而巧力不孚苦無破的之一笑更覺無味看星之約敢不踐言而顧此淸貧督郵恨無一擲百萬之資奈何少選當圖進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霜朝渡蟾江 橋下寒江凍不鳴正如羸卒閉唇行雪中老客猶生氣慘憺新詩更有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藥房稜 【在月桂二水頭十里之間】 古木蒼蒼落日變數家籬落見孤烟千巖踏破纔平地二水逢迎更別天山下黃泥如昨日雪中白馬又今年漢橋去訪梅花否自笑無端聳兩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冷泉在鴻書 乍阻甚悵恭詢日間軆節萬衛昻禱昻禱宗下舍館終未整頓畢竟來住于邸吏家而各司下隸之逐日困浸實難支吾此亦一厄運耶可笑可歎歷辭昨纔了訖而亦有人事之不得不往修處故切欲源源而亦未果倘或恕諒否朝后似可進穩矣如無緊出入處則蹔俟之如何酒債百葉仰呈耳姑不備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