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몹시 추웠다. 병세가 위중한데 약효가 전혀 없고 원기가 점점 떨어지고 있으니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주동(注洞)의 종인 익정(翼貞)이 와서 보고 갔다. 極寒。 病勢沈重, 專無藥效, 眞元漸奪, 奈何? 注洞宗人翼貞來見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19일 十八日九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밤에 눈이 내렸다. 아침에 청파에 가서 고을 사람 편에 집에 보낼 편지를 부쳤다. 夜雪。 朝往靑坡。 付家書於邑人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17일 十一日二日三日四五六七日 몹시 추웠다. 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아침을 먹은 뒤에 비가 올 기색이 잠시 멈추기에 즉시 길을 떠났다. 차령(車嶺)에 이르자 비가 세차게 쏟아져 어쩔 수 없이 원터에서 머물렀다. 朝飯後雨意乍止, 卽爲發程。 至車嶺雨大作, 不得已留院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憩瑞雲驛舍【銀溪屬郵自勿驅峙五里】 銀溪丹邱可謂膝薛爭長山郭殘郵在蕭疎四五隣然猶臨大道迎此不期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雉嶽祠【在丹邱東相去十五里許】 星壇如水玉層層蕙帶荷衫颯颯登[虫+兮]蠁岳靈來顧否應憐此夜禿頭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神堂 騎如馴鹿抱如貓兩虎相從不寂寥黃幘綠袍天上客如何托跡在僧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考妣言行實錄序 夫人子之於父母孰不欲顯揚以夸耀後世而無其實則可乎無其實而虛僞粧撰取他人譏誚不孝也有其實則可乎有其實而不能闡發使美蹟寥寥無聞亦不孝也然則不可以不闡其實而亦不可以粧撰其無實雖欲阿私所好其可以一字放過歟鳴呼昔我父母嘉言善行實是鄕黨婣族之所共稱誦則不待不肖之闡發而竊懼世遠澤斬風韻漸邈則傳者之言或歸於疑似故玆敢不揆僭妄掎摭大槩然而我乃我父母晩生也稍有知覺之年卽我父母衰邁之後則盛時言行之不逮於耳目者盖夥矣且我姿甚魯拙未敢揄揚其萬一而實則實矣謹錄如左以爲家藏嗟我來許常目在玆則庶可以求有餘師而雖使他人家子弟見之亦足爲興感之一端矣夫歲玄犧夾鍾月日不肖孤震休泣血謹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往役越中立馬述懷【幷小序】 二月二十五日庚子余以享役【二十八日寒食享官】將詣寧越莊陵【端宗大王陵所】石路險截雨雪瀌瀌馬上驅馳極爲關心而越中山水平日願見者也况端廟臨御之遺址乎非徒往役之義重而已聊欲以拊古蹟而舒一嘯云爾翁也癖於吟探奇自不禁無端今日路立馬意沈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丹邱村 一年丹邱客不見丹邱村丞居如梵宇離索坐山根往者金剛路乘霧過昏昏今朝忽開眼村容庶且繁甍簷雜茅棟百室春意溫巷陌牛馬亘籬庭鷄犬喧馹路平於砥東風華盖翻白騧蹄特特健卒擁相奔沃㘘執如組金勒耀朝暾前唱而後和破碎一洞門婦孺夾道觀督郵天上尊儼然整儀容雙肩聳崑崙市童憐我否還堪髥一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臺 鳴泉百折石鐘聞禿首塵情減九分不借香山居士履飜飜雙足踏飛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소사(素沙)의 아교(阿橋)에 이르니 물이 불어나 강을 건널 수가 없었다. 한참을 지체하다가 간신히 강을 건넌 뒤에 점심을 먹고, 화성(華城) 용주사(龍珠寺)에 이르러 묵었다. 至素沙 阿橋, 水漲不得渡。 移時遲滯, 艱辛濟江, 因爲中火, 至華城 龍珠寺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새벽에 출발하여 덕촌(德村)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저물 무렵 영귀정(詠歸亭)에 이르러 묵었다. ○曉發抵於德村中火, 暮抵詠歸亭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아침 전에 비가 내렸다. 느즈막이 길을 떠나 고개를 넘어 장수동(長水洞)에 이르렀다. 안 서방(安書房) 내외와 어린아이 모두 병이 없으니 매우 다행이었다. 그대로 머물렀다. ○朝前雨。 晩後發程, 越嶺抵長壽洞。 安書房內外與幼兒, 皆無病幸幸。 仍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28년(무자) 1828年(戊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戊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彌勒嶺西望巴浦里【自四方街至嶺上五里】 天開野豁晴川抱山腰屈折如巴字樣點點林木間依山村落浮如畵圖抱鞍遐矚便覺古人警語多在此等佳境嶺路週遭俯廣郊背山村屋似僧巢晴川屈折來巴字遠樹迷茫展畵綃通路滌場相打稻背巖懸店不粧茅峽東餘興江南眼馬上詩椎又一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潭【自摩訶衍入八潭初境爲數里】 萬山中一水界破雪湍雷瀑層層飛鳴無數廣石平鋪如練令人眼豁心快較諸玉流洞一局尤更明爽豪壯後來人若問金剛最佳處吾必以八潭水石爲對大方高評以爲如何◌椒泉翁詩曰一水發源八曲潭渟泓深碧勝於藍隨形各有嘉名錫老釋分明作指南曲曲銀淙碎玉巖百忙收拾信難堪傍人若問金剛景大市波斯在八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火龍潭【八潭初境第一折】 曲曲兩涯之石宛有龍歸之痕而以白石稱爲火龍實非着題西邊有獅子峯突兀巖巒俯潭欲墜仰之令人喫㤼獅子峯前忽改容石腰凹屈水撞舂如何白石淸流水不道玉龍稱火龍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