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元天錫事實 野史曰原州人元天錫號耘谷見麗季政亂似進士不仕隱居雉岳山中與牧隱諸公往來酬唱傷時感慨我太宗微時嘗受學于天錫及登寶位屢召不至太宗親枉其廬天錫避而不見上召其㸑婢賜之食物而還後爲上王命召天錫以白衣來謁引入臥內召諸王子出見問曰我孫何如天錫指光廟曰此兒酷似乃祖云天錫隱居唱述甚多如論權陽村近失節事有一絶其首句入於其子孫投火時末句云白首陽村談義理世間何代不生賢所謂詩史皆此類也後鄭漢岡逑按察關東祭公墓曰山有蕨藢可以無飢室有琴書可以自怡聘幣殷勤星宿雍客千古空山一縷淸風許眉叟穆銘其墓曰先生原州人姓元氏諱天錫字子正高麗國子進士見麗氏政亂隱居獨行號曰耘谷先生及麗亡入雉岳山終身不出太宗屢召不至上高其義嘗東游幸其廬先生避匿不見上下溪石上召守廬嫗厚賜之官其子泂爲基川監務後人名其石曰太宗臺臺在雉岳覺林寺傍今原州治東十里石鏡有耘谷先生墓又前一墓孺人之葬云初先生有藏書六冊言亡國古事戒子孫勿妄開其書傳之累世有子孫一人竊開之大懼曰吾家族矣擧而燒之其書不傳猶有餘遺詩什所謂詩史者也吾聞君子隱不遺世先生雖逃世自隱非忘世子也守道不貳以潔其身伯夷之言曰古人遭治世不避其任遇亂世不爲苟存天下暗矣不如避之以潔吾行故其傳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擧世泯亂淸士乃見孟子曰伯夷非其君不事非其民不使治則進亂則退伯夷聖人之淸者也先生盖伯夷之倫也鄕人爲之立祠以祀之祠在州北三十里七峯稽其世牒始祖戶長克富克富生宗儒宗儒生倉正時俊時俊生精勇別將悅悅生宗簿令允迪允迪生天常天錫天祐天常進士或曰仕顯於本朝無所考天祐縣令孺人元氏宗簿令廣明之女非一元族氏以爲原有兩元是也長男沚直長同正次男泂基川監務先生後世子孫甚衆基川之世最大贊曰巖穴之士趣舍有時從不列於世能不降其志不欲其身敎立於後世則禹稷夷齊一也先生可爲百世之師者也申玄翁欽晴窓軟話曰元天錫者高麗人恭愍時不仕居原州與牧隱諸老相往來其遺稿中有直載當時事迹後世所不能知者以辛禑爲恭愍子者此具直筆之尤者其詩以伏聞主上殿下遷于江華元子卽位有感爲題者二首曰聖賢相遇適當時天運循環自此知田畝豈無憂國意更殫忠懇念安危新主臨朝舊主遷蕭條海郡但風烟天關正路誰開閉要見明明鑑在前以都統使崔瀅被刑爲題者三首曰水鏡埋光柱石頹四方民俗盡悲哀赫然功業終歸朽確爾忠誠死不灰紀事靑編曾滿帙可憐黃壤已成堆相應杳杳重泉下掛眼東門憤未開獨立朝端無敢干直將忠義試諸難爲從六道黔黎望能致三韓社稷安同列英雄顔更厚未亡邪侫骨猶寒更逢亂日誰爲計可笑時人用事奸我今聞計作哀詩不爲公悲爲國悲天運詎能知否泰邦基未了定安危銛鋒已折嗟何及忠膽常孤恨不支獨對山河歌此曲白雲流水㧾噫噫以聞今月十五日國家以定昌君立王位前王父子以爲辛旽子孫廢爲庶人爲題者二首曰前王父子各分離萬里東西天一涯可使一身爲庶類寸心千古不遷移祖王信誓應于天餘澤流傳數百年分揀假眞何不早彼蒼之鑑照明然以國有令前王父子俱賜死爲題者一首曰位高鍾鼎是君恩反目含讐以滅門一國豈能流景祚九原難可雪幽寃古風淪喪時還泰新法淸平道盖尊且向玉摨呼萬歲願施優渥及山村以韓山君被讒謫長湍爲題者二首曰天寶韜光政令苛有誰如琢復如磨邇來夢謁連三夜記取魂游作一歌邦國經綸歸火澤江河舟楫困風波天如未喪斯文也縱有匡人奈我何玉自無瑕事已訛荊人兩則定非他海東風月應含憤天下英雄所共嗟萬姓同膽新日月三韓自固舊山河明知枉正蒼蒼在寤寐祈傾體氣和詩語雖質朴多不成語而事則直書無隱此之獜趾之麗史不啻月星螮蝀之相懸讀之淚數行下大抵麗之亡由於戊辰之廢主廢主之後如牧隱儕流尙存一脈公議未泯故其時道傳紹宗等輩倡爲非王氏者爲忠謂王氏者爲逆之論簧鼓朝廷眩惑人心遂得以魚肉士流箝制口舌僅五年而國亡矣生乎其時而正直自樹者其爲生辛苦顫沛當如何也然而人心未盡眩人口未盡箝草野之間有此董孤之筆豈非石壓筍斜出者耶余聞元雲谷初卜身後地於下普聞之北【今雉嶽祠】忽云此地後必爲王者設享之所乃更卜於石鏡之南曰子孫雖不顯達亦可以其麗不億云然則元耘谷非徒節義可尙殆可謂非常之流也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駕鶴橋【幷志】 在挾仙樓前官道上以白板架兩壑十里長堤下一道淸溪挾丹邱村抱挾仙樓北走鳳川千株楊柳夾道陰陰可愛東風猶早嫩楊條金縷參差半掩橋一道穿溪連巷陌百年架壑雜耕樵黃泥不動行人淨白板爲聲去馬驕悵望胎仙何寂寞浮生鬢髮易蕭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鍊丹亭【幷志】 在挾仙樓北數步地卽衙舍後麓舊有亭今廢傳言丹邱仙人鍊丹處云臺下兩小池皆湮爲水田巖上只有擣藥之臼水石林木淸爽可坐句漏仙翁已昔時浮雲一去杳無期靈砂寂寞空留石古鼎沈淪不見池裊裊鞦韆芳樹裏啾啾牧笛夕陽湄金銀妙訣傳何處但有行人指點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馬祭壇【幷志】 在挾仙樓南數弓地卽丹邱村西麓郵人春秋祭馬處無壇墠只以陶瓦造小馬數十箇列立林木下登陟不甚高峻俯瞰郵村數百人家畢露如在掌上百家花鳥此相隣忽到前村覺有春鷰目沼南郊漠漠牛頭山外水粼粼鷄鳴犬吠升平界牧篴樵歌自在人三十屬郵能若是承兮未必兩眉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隱亭【幷志】 在丹邱東北相望之地與村居幾乎相接而間有大川橫流盖大川南自雉嶽白雲兩山之間北而逶迤曲折過鷰目沼金臺洞大平橋抱丹邱至月隱亭下漸大湍瀨觸石迅急直走龜石亭前爲鳳川數十里汗汗漫漫歷牛頭山下與橫城後川合流南奔過安昌驛至興元倉入于漢江月隱亭不知何人所建而今廢爲洪氏墓閣地乃雉山下一拳小邱陵而松林茂密石壁阧截俯臨大川魚鳥相樂足可爲一游賞之地云東風萬木小邱靑只有香名不見亭水鳥如眠山鳥喚桃花欲發杏花零草間一路纔通井柳外孤村半掩扃可惜千年形勝地無端全屬別人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江陵倅書【姓名見上】 春窮夏屆便人落落下懷悵昻非比尋常第伏詢梅熱視篆軆宇一衛曼安伏禱伏禱仰想朱墨之暇鏡湖柔櫓必多嘯詠之趣矣恨不得近結芳隣分載煙月於荷艇蘭舶之間而讓與一片名區於几案之側其如大關嶺之一鐵限何只自咄歎無比記下營門咫尺作一轅下之駒百般酬應殆難自遣而白雲雉嶽左右閉鎖幾欲塞胸而已耶得拜穩臨楮不覺冲悒適有便暫此替報不備伏惟下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5일 初五日 ○밥을 먹기 전에 율지(聿之)와 함께 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하고 돌아왔다. 밥을 먹은 뒤 낙동(洛洞)으로 가 참판 이광문(李光文)24)을 만나려고 하였다. 그 집 문 앞에서 참판의 아들 이 진사를 만나서 그의 부친이 집에 계신지 물으니, 오늘 제관(祭官) 일 때문에 수원에 갔다고 하였다. 그래서 아랫집에 들러 참판 이광정(李光貞)을 만나 잠시 얘기를 나누었다. 용동으로 와 잠시 얘기를 나눈 뒤에 율지, 영규(榮奎)와 함께 회동(晦洞)25)의 장성 현감(長城縣監)을 지낸 송운재(宋雲載)26) 집으로 갔는데 송 장성27)이 집에 없었다. 다만 그 재종(再從, 6촌)과 잠시 얘기를 나누고 완북(完北, 전주 북문)의 송민수(宋民洙)의 서간을 전한 뒤에 그길로 나왔다. 송지순(宋持淳) 집을 찾아가 잠시 얘기를 나누고 나왔다. 오는 길에 가랑비를 만나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食前, 與聿之往貞洞, 暫話而來。 食後, 往洛洞欲見李參判光文。 至其門外, 逢參判之子進士, 問其大人有無, 則以今日祭官, 往水原云。 故入下家, 見李參判光貞暫話。 來龍洞暫話 後, 與聿之及榮奎往晦洞宋長城雲載家, 則長城不在。 只與其再從暫話, 傳完北宋民洙書簡後, 仍爲出來。 尋宋持淳家, 暫話後出來。 中路逢微雨, 還來主人家。 이광문(李光文) 1778~1838. 자는 경박(景博), 호는 소화(小華). 본관은 우봉(牛峰)이다. 증조는 이재(李縡)이며, 부친은 아버지는 호조 참판 이채(李采)이다. 1801년(순조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807년 식년 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와 예문관검열에 이어, 전라감사 등 내ㆍ외직을 두루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회동(晦洞) 서울 중구 충무로4가・인현동1가・인현동2가에 걸쳐 있던 마을이다. 송운재(宋雲載) 1760~?. 자는 치회(稺會)이고,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거주지는 서울이다. 1789년 식년시에 합격한 후 장성 부사, 전주 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송 장성 성(姓) 뒤에다 직책을 붙이는 방식인데, 지방 현감을 지낸 경우, 그 지명을 붙여 직책을 대신하였으며, 성을 빼고 지명만 써서 표현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平昌石六硯歌【幷小序】 余於客秋得一平昌石爲小硯名以鷄心今春又求取十餘片擇其尤者治爲六硯各命一名歌以銘之旣而自思曰嗟乎古之東坡曰阮生云未知一生當着幾兩屐吾有佳墨七十枚而猶取不已不近愚耶石昌言蓄李廷珪墨不許人磨或戱之曰子不磨墨墨將磨子今昌言墓木拱矣而墨故無恙可以爲好事者之戒又謂人曰吾兩手其一解寫字而有三硯何以多爲曰以備壞損坡曰吾手或先硯壞曰眞手不壞坡曰眞硯不壞云云余亦有三四硯而猶求之不厭其不爲東坡之所笑乎良可一嘆【郵吏崔相坤功能善刻靑者三紫者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月團 蟾蜍一夜離月窟爬沙化作碧山骨老兎忽失千年騎搜覓雲間空出沒嫦娥孤棲誰與隣半面瘦生太怳惚漠漠平昌山水東百丈光怪流閃忽踏天割雲匠如神磨刀霍霍勞剞劂玉德金聲几案間玄雲碧潭輝光發一片陰鑑不用錢小囱書幌坐唐突耿照千古如在目往跡方冊相對越哉生明也水一滴旁死魄焉墨半笏四時輝暎看不厭政是蒼蒼一團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蓮葉龜 大藕如船掩璚池其下曳尾綠雲龜山東老人抱得之百年煙霞床足支入去床空龜化石一片預拂靑山湄平安驛使有消息保護如花來不遲十眉畵出成都手橫雲却月鬪新奇氷蠶吐繭抽銀忽萬縷出沒傲松脂南坡居士服欲花滿簾波紋綠漪漪鍊丹餘沙點易床尖奴低首硯田治大市玩筴招季主後天叙疇揖箕師萬殊一本消長理有誰能悟爾獨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5월 五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歸家 朦朧夜月之下櫓小舟涉月峰前川家奴十餘健丁僊輿來迎纖雨濃霧之間踏汗泥超危澗二十里間關到家卽秋七月十九日丙辰早朝也南坡居士姿逍遙水國乾坤路一條鞍馬驅馳今幾日無端髀肉頓然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3일 十三日 ○아침 먹기 전에 자윤(子允)과 계성사(啓聖祠)35)로 가서 김팔주(金八柱)를 만나 한참 동안 이야기를 나누었다. 작별하고, 경모궁(景慕宮)36)으로 내려와 수문장(守門將) 장인원(張仁源)이 출번(出番, 당직 근무를 마치고 나옴)했는지를 물으니 아침 일찍 출번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곧바로 파천동(波川洞) 그의 집으로 갔는데, 밥을 먹고 출타한 터라 만나지 못해 몹시 아쉬웠다. 이 사람은 홍원(洪原)37) 사람이다. 무침교(無沈橋)38)의 진사 송현재(宋顯載) 집에 찾아갔는데, 마침 출타하여 만나지 못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회동의 송 장성을 만나 전주 북문의 송민수 서간에 답장을 받고자 한다고 말하니, 공교롭게 몸이 아파서 답장을 쓰지 못했다고 하였다. 그대로 작별하였다. 송지순의 집으로 내려와 작별한 뒤에 낙동(洛洞)의 구백(舊伯) 이광문 집으로 와, 잠시 만나고 나서 작별하였다. 용동으로 오니 자윤이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개간소(開刊所)의 여러 사람과 작별하고 주인집으로 돌아왔다.아침을 먹은 뒤에 정동으로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오는 길에 확교(確橋)39)의 송 판서 집에 들렀으나, 송 판서가 출타하여 작별할 수 없었다. 다만 그 아들 송지학(宋持學)과 작별하고 나와 주인집으로 왔다. 차동(車洞)40)으로 가서 민 석사와 작별하고 오니 공서이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오후에 정동의 석사 이혜길이 찾아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날이 저무는 바람에 출발하지 못하고 그대로 머물렀다. 그러므로 저녁을 먹고 난 뒤 정동에 와서 묵으라고 간절히 부탁하고 갔다. 저녁을 먹은 후 정동으로 갔다. 밤에 비가 내렸다. ○朝前, 與子允往啓聖祠, 見金八柱, 移時談話。 仍爲作別, 下來景慕宮, 問張守門將仁源出番與否, 則早朝出番云。 故直向波川洞其家, 則食後出他, 故仍爲不見, 悵悵。 此人卽洪原人也。 尋往無沈橋宋進士顯載家, 則適出他不見, 來路入晦洞見宋長城, 以完北宋民洙書簡受答爲言, 則適以身病不爲修答云。 仍爲作別。 下來宋持淳家, 作別後, 來洛洞舊伯李光文家, 暫見後, 仍爲作別。 而來龍洞, 則子允來待矣。 與開刊所諸人作別, 來主人家。 朝飯後, 往貞洞暫話。 來入確橋宋判書家, 判書適出他, 不得作別。 只與其子持學作別, 出來主人家。 往車洞與閔碩士, 作別而來, 則公瑞來待矣。 午後貞洞李碩士惠吉來訪談話, 以日暮之致, 不得發程, 仍留。 故夕飯後, 來留貞洞之意, 懇托而去。 夕食後, 往貞洞。 夜雨。 계성사(啓聖祠) 서울시 문묘(文廟) 안에 공자(孔子) 등 다섯 성현의 아버지를 모신 사당이다. 경모궁(景慕宮)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그의 비(妃) 헌경왕후(獻敬王后)의 사당이다. '경모전(景慕殿)'이라고도 했다 홍원(洪原) 함경남도(咸鏡南道)의 남부해안 중앙에 위치하는 군이다. 무침교(無沈橋) 서울시 중구 예관동과 충무로5가 부근에 있던 다리이다. 청계천의 지류인 묵사동천(墨寺洞川)에 있던 다리로 '물에 잠기지 않는 다리'라는 의미이다. 김정호의 <대동지지>와 <수선총도> 및 <슈션전도>에는 이 다리 이름이 '상무침교'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무침교와 상무침교를 혼용해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명 '무침다리' 혹은 무침교를 줄여서 '침교'라고도 불렀다. 확교(確橋)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과 신창동(새창골) 북쪽에 있던 다리이다. 1966년 발간된 ≪한국지명총람≫에 의하면 이 고을에 학다리가 있어 마을 이름이 학교동(鶴橋洞)이 되었다고 하며, 일명 확교(確橋)라고도 불렀다. 차동(車洞) 중구 의주로1가ㆍ순화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수렛골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추모동'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태어난 터에 비석을 세우고 그를 추모했던 데서 붙여진 지명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0일 初十日 ○아침 전에 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나누고 돌아왔다. 밥을 먹은 뒤 용동으로 가서 종일 수정 문적을 보고 왔다. ○朝前, 往貞洞, 暫話而來。 食後, 往龍洞, 終日見修整文蹟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1일 十一日 ○아침 전에 백운동(白雲洞)30)에 갔는데, 사서(司書) 이인필(李寅弼)은 광주(廣州)로 출타하여 그 조카 이정하(李正夏)하고만 작별하였다. 호정동(瓠井洞)으로 내려와 김병기(金秉耆)를 조문하고, 오면서 창정동(昌井洞)의 권중건(權中建) 집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돌아오는 길에 삼청동(三淸洞)31)에 들러 이병하(李秉夏) 숙질(叔姪)을 조문하였다. 오면서 장생전교(長生殿橋)32)의 생원 이장구(李章九) 집에 들러 《장릉사보(莊陵史補)》33)를 보고, 충강공(忠剛公)34) 사적(事蹟)을 베껴서 왔다. 밥을 먹은 뒤 용동에 갔다가 오후에 돌아왔다. ○朝前, 往白雲洞, 則李司書寅弼出去廣州, 只與其姪正夏作別。 下來瓠井洞吊金秉耆, 來入昌井洞權中建家暫話。 來路入三淸洞, 吊李秉夏叔侄。 來入長生殿橋李生員章九家, 見《莊陵史譜1)》, 謄忠剛公事蹟而來。 食後, 往龍洞, 午後還來。 백운동(白雲洞)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에 있던 마을로서, 항상 흰 구름이 떠 있는 명승지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삼청동(三淸洞) 서울시 종로구의 중앙부에 있는 동이다. 지명은 도교의 태청(太淸)ㆍ상청(上淸)ㆍ옥청(玉淸)의 3위(位)를 모신 삼청전(三淸殿)이 있었던 데서 유래하였다. 장생전교(長生殿橋)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과 이화동 사이에 있던 다리이다. 조선 시대 궁중에서 사람이 죽었을 때 필요한 관곽(棺槨)의 제작과 수선을 담당하던 관청인 장생전(長生殿) 앞에 이 다리가 놓여 있었으므로 '장생전 다리'라고 불렀다. 장경교(長慶橋), 장교(長橋) 등으로도 불렀다. 장릉사보(莊陵史補) 1796년(정조 20) 왕명으로 단종에 관한 사적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앞서 1791년 5월 왕명으로 이의봉(李義鳳)과 윤광보(尹光普) 등이 편집한 것을, 1796년 5월 왕명에 따라 이서구(李書九)ㆍ이의준(李義駿)ㆍ윤광보 등이 다시 교정하고, 정족산 사고(鼎足山史庫)의 실록을 참고하여 보고된 별단(別單)을 참조하여 이서구가 최종적으로 《장릉지(莊陵誌)》 9권 3책을 완성하여 바쳤다. 찬진 당시에는 서명을 '장릉지'라 했으나 '장릉사보'로 바뀐 것은 기존 《장릉지》와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충강공(忠剛公) 송간(宋侃, 1405~1480)이다. 호는 서재(西齋)이며,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세종ㆍ문종ㆍ단종의 3조를 섬겨 벼슬이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다. 단종이 영월로 쫓겨갔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가 두문불출하다가 단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깊은 산 속에 들어가 3년상을 마치고,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에서 은거하였다. 補 저본의 '譜'는 사료에 근거하여 '補'로 수정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泉谷文生家戱用前韻 仄逕陂塘日易斜一宵緣業野人家纖埃缺壁優容鼠古紙歌窓亂畵鴉顚倒冠裳修禮貌太平耕識話生涯共君低仰猶堪愛强半淳風去俗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松坡喜豊與文竹坡思健來訪拈金河西詩集酬得三壘 竹扉斜亞小山居慣耳跫音兩不疎有信霜前來似鴈相從溪上聚如魚松湖處士秋收釣錦里先生晝掩書一笑無端歌且嘯蒼蒼雲鳥野天虛春氣溶溶屋一間故人談笑破幽閒興來難忘陶潛酒老臥多慙謝眺山玉局前身今夜坐金剛裏面去年還秋燈禿髮相低仰如夢蘭臺舊日班老屋脩然出樹間挑燈夜話劇淸閒書中隻眼明如水酒後雙肩聳若山簿宦初休驢病立遠人相憶鴈嘶還莫言村野無佳趣秋菊秋蘭可序班【松坡】綠琴今夜得鍾期下手高低未敢遲兒不鋤蘭花有數妻能舂秫酒無時詩家綺綉貧猶在世味酸醎老始知相守一燈眠靡暇孰云黃嬭我神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松坡雪裏惠然鄭小山大杓亦至戱酬三律 雪壓黃茆老屋低臥松眠竹小城西名山有恨庭留石大海難忘巷引溪果腹一捫憐鼠飮華顚半脫笑鷦棲狂歌楚士知心者打戶頻挑醉蜨迷竹樹交柯雪向低玲瓏在屋東西長歌拊節吟梁甫小睡支頤夢剡溪觀海此人難與語買山何處可同棲松坡五十身猶健一醉相分路不迷【松坡】碎玉埋珠太不寥詩家難老足稱饒影中藻荇承天寺夢裏梅花灞上橋月與良朋相適値秋於古木未全凋淸宵一刻難虛度手拂塵琴笑更調石友相酬夜欲沈靑燈結穗月移陰三盃白酒分蕉葉一塵玄談坐竹林驟雪如往看獨潔寒山雖小坐猶深大家經濟終何在禿髩多違少壯心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