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아침 전에 하서(夏瑞)와 남문(南門) 밖에 있는 석하(錫夏) 유영륜(柳永倫)의 집에 가니 영륜(永倫)이 매우 기뻐하며 아침밥을 차려주었다. 밥을 먹은 뒤에 함께 목산(木山)의 이 감사(李監司) 집에 가서 감사의 손자 이서림(李瑞林)을 만났다. 주인은 병으로 누워서 일어나지 못하였는데, 나와 세의가 있다는 것을 대략 알고 있었다. 영륜이 내가 올라온 연유를 말하였더니 이 석사가 말하기를, "마침 내가 병으로 누워있으니 영문(營門)에 통자(通刺)할 길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돌아와 그길로 두 벗과 함께 송덕근(宋德瑾)의 집을 찾아 갔으나, 이제 막 영고(營庫)의 색리(色吏)4)가 되어 지금은 영고(營庫)에 있어서 만나지 못하고, 그의 아우 송덕찬(宋德燦)의 집으로 갔다. 내가 올라온 연유를 말하고, 통자할 길이 없으니 혹여 주선하여 힘써 줄 수 있겠냐고 하자 곧바로 마두(馬頭, 역마(驛馬)를 맡아보는 사람)에게 편지를 써 주었다. 마두(馬頭) 또한 응하지 않아 그길로 영고(營庫)에 갔다. 송덕근을 만나 그 연유를 말하였더니, 순상(巡相)의 서간(書簡)과 나의 명함(名銜)을 중방(中房)에 들여보냈다. 잠시 후에 들어오라는 명이 있기에 그길로 들어가 만나보았다. 순상에게 안부를 물은 뒤에 해가 지려고 하니 길게 이야기를 나눌 수 없어서 주인집으로 왔다. 하서, 영륜과 함께 머물렀다. ○朝前與夏瑞, 同往南門外柳錫夏 永倫家, 永倫欣喜不已, 仍饋朝飯。 飯後偕往木山 李監司家, 見監司之孫瑞林, 則主人病臥不起, 稍知與吾世誼矣。 永倫敍吾上來之由, 則李碩士曰: "適吾病臥, 無營門通刺之道。" 故還來仍與二友, 尋宋德瑾家, 則今才營庫色, 方在營庫, 故不見而往其弟德燦家。 敍吾上來之由, 以通刺無路, 其或旋力耶? 仍爲裁書馬頭矣。 馬頭亦不應, 仍往營庫, 見德瑾敍其由, 則以巡相書簡與吾之名啣, 入送於中房矣。 俄而有入來之令, 故仍爲入見。 巡相敍寒暄後, 以日力之就有不能長話, 出來主人家, 與夏瑞及永倫同留。 색리(色吏) 지방 관청에서 행정 실무를 처리하던 하급 관리를 말한다. 조선 후기에는 향리(鄕吏)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萬灰庵【自摩訶衍東北三里】 此庵卽白雲臺所經路也着在岡腰如鷦鷯捿壑庵之前宇荒凉無居僧簷後臺上有新構板屋數間房戶屋壁俱以白板爲之雖甚偪窄而極爲精灑有一老釋以蒲團處在木榻上抱一爐過霜雪之候以松葉作屑和蜜四時長服常不飢不寒坐臥行止如少年僧云異哉淸冷一板屋老衲處幽獨一生能斷穀松葉爲饘粥蒲團坐木榻寒天過如燠形貌不減增稜稜如枯木固知萬灰庵於汝好題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和富欣上人 富欣者表訓寺僧而頗穎悟亦能詩可與語者也年方二十六云夜以詩來呈曰秋風華盖五臺從次第硏窮海上峯路入蓬萊奇絶處楓林凋落歲將冬◌椒泉翁和贈曰妙歲出家五戒從淨如流水禿如峯愛爾諸天花雨界無春無夏又無冬小輿如艇路衡從木落偸看玉色峯行到摩訶添一韻瘦禪花骨又疑冬◌初四日辛亥晴而午後淺陰◌朝發摩訶衍十里白雲臺十里還到摩訶衍十里普德窟五里萬瀑洞中火五里表訓寺五里正陽寺觀夕陽景五里還到表訓寺宿所【終日准陽支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雲臺【自萬灰庵七里云而尙過十里】 百尺削巖何其危截白雲之臺名不虛得攀雙鐵索浮空上騰最絶頂箕服而坐北望衆香城髣髴與萬物草相倣南望法起峯【法起祖師說法處故峯以得名望之如兩人對坐】穴望峰【中穿一穴如孤星漏雲】更從北而抱崖逶迤下飮金剛水三碗【深壑無人處何其置小砂碗也】仍登臺攀鐵索從後而下危怖更倍於上騰時也◌椒泉翁詩曰白雲臺截高憑眺欲窮目附足艱巖罅懸身仰鐵索阧壁白雲端仰攀雙鐵索登高舒一嘯挾飛軒兩脚可愛衆香城千朶玉蓮萼法起雙仙坐穴望孤星落縱目快遠覩今日風不惡下飮金剛水塵念歸空漠豈料此浮生蓬萊緣不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衆香城 臘天香梅玉漵氷蓮何其叢叢朶朶於九月楓嶽山中耶似花非二月疑雪異三冬玉佛參差頂裝娥窈窕容潔光誰使練秀氣爾偏鍾坐久何愁暮城浮不夜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山陽驛舍【銀溪屬郵自竹坡嶺二十里】 黃葉寒天兩三里落何其瘦生瑞雲行色又山陽一樣蕭條孰短長却念曩時沿海驛此諸玆土尙豪强白飯黃鷄勞遠行村盤瓦器野人情山郵一宿前緣否臥聽樵歌月下聲風露穿囱夜氣淸松燈膏火半迷明三更不寐支高枕搗練聲中遠客情【兩三殘村搗衣聲終夜不絶可怪】〇十一日戊午霜寒而晴〇朝發山陽驛四十里狼川邑【縣監尹性善蔭】十五里原川驛【銀溪屬郵〇銀溪本驛在金化】中火二十五里仁嵐驛【自仁嵐驛以後皆屬丹邱】宿所【春川支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洞路中【自山陽十里】 行過幾回荒峽忽看淸溪抱流平郊漸豁禾稻離離有秋色而村里物色何其一樣冷落但溪路邊石壁阧截松林抽直似或有幽人亭臺是可以稍慰詩眼瑟颯霜華曉色寒背巖紅葉半凋殘山行十里天開野流水聲中帶喜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蓮庵 古松新柳掩疎籬山下平郊路十岐丹碧小庵何寂寂空留一兩老師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四方街路中【自退洞五里】 山開川迴野禾狼藉狼川之名或取於斯歟往往路上兩兩健丁赤條條相與打稻爲窮民可以一賀千山抱一郊碧水相周匝禾積立層層勝看須彌塔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憩馬神林【自嶺上十里】 二月春猶早疎楊不掩樓臘歸仍細雪客到又殘郵磵籟氷初解山容瘴未收豊供辦何處荒屋苦淹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杻峙【自神林十里】 投鞭借笻力裊裊上危巓箕脚如無地擡頭只有天置郵關一路車轍石千年笑爾城隍鬼飄然欲化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可利坡嶺【自丹邱二十五里】 靑袍老客訪名區慣眼千峰出馬頭雨雪無情逢此日泉林有氣異前秋一年東國多奇會二月南關又遠游石路不辭行役苦詩魂浮上子規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越松峙復用前韻【自杻峙二十里】 杻嶺支離度崔嵬復一巓谷留盤古雪石立女媧天白馬重來地丹楓已去年輿人忽來候喜作半空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巨廩垈復用前韻 寂寂迷津訪寺門風吹嫩柳露溪村留連三日烟霞屐行過千年木石園啼鳥聲邊仍邃壑落花香夷又靈源聊知指路靑山客應笑騶徒左右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元耘谷墓 宿草荒碑八尺長前朝國子姓名香誰知千古烟霞境一片邱陵有首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經庵 縈廻石路小溪濱如斗孤庵結構新長近杉松耘谷墓不分楊柳比丘隣纖纖魚沫池邊雨黯黯蠭衙院裏春庭下稻田開數頃禪家計活又郊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和晩可詞伯【朴受豊字雉瑞】兼呈北郭卯兄【金台秀字子三】 流水浮萍外高秋老葉前得君今幾日嗟我已衰年適性相呼酒交襟不設筵自慙居有守行訪未曾先十秋不羈客低首二松前明月懷同調寒花悵暮年斷橋高士屐濁酒故人筵得意行相訪何須計後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靈鳳碑贊【幷碑文】 高麗國原州【缺上】臣崔光胤奉敎集太宗文【缺下】盖聞微言立敎始開【缺上】嗣位至於馬鳴繼美垂妙法於三乘龍樹揚芳見其【缺下】相離相非身是身降乃【缺上】聞圓覺東入梁朝始見大弘北游魏室於是師資所契【缺下】租法相承心燈不絶所以【缺上】者焉大師法諱惠湛俗姓金氏其先鷄林冠族兎郡宗枝【缺下】島以分榮託桑津而別派遠祖多【缺上】陶潛而不事王俟希賈詡而寧求祿位所以考盤樂道早攻【缺下】之書招隱攀吟常避市朝之譽母【缺上】之子豈無修聖善之心感此靈奇求生法胤以咸通十年正【缺下】一日誕生大師生有殊相弱無戱【缺上】性靈超衆神悟絶倫槐市橫經杏園命筆二親嘗邀相者相【下】云若至甘羅之歲鳳擧難量終臻賈誼【缺上】至失於怙恃唯恨捿遑爰有長純大師是導師修度世之緣【下】亡父結空門之友大師隨其長老得【缺上】俗塵方登僧位尋令昇堂覩奧入室鉤深迅足駸駸後發先至【下】覺枝脉脉前開脫成所以偃仰禪林優游【缺上】認印度重光終至相傳窺楞伽再闡迺於龍紀元年受具戒【下】於武州靈神寺旣而習其相部精究毗【缺上】尋論道爲學人曰淺溜穿石同心斷金鑽燧之勤寫甁之易皆【下】由積微不已跬步遄征俄成學海之功【缺上】子忝日禪僧此間觀曝骨之墟見殭屍之處他山靜境豈無【下】避地之方此地危邦終絁居山之計【磨豆刓上】者同載而征達于彼岸此時徑登雲盖禪宇虔禮淨圓大師【下】大師是棲雲壑之居佩石霜之印【磨豆刓】離【缺上】圖南逈奮垂雲之翼豫章向上高揮拂日之枝大師謂曰汝【下】還認其到此階梯預呈其遷【磨豆刓】寶所【缺上】河東參禪門於紫嶽故能初窺聖典久捿禹穴之旁始覽雲【下】蹤方到燕臺之畔迺於天祐【磨豆刓】月中得達于【缺上】學俱於問評慶抃交深數月論禪周年問法惟彌天發口乃【下】離日搖唇量語路之端酌【磨豆刓】日椯於爾地心【缺上】之光愁見甲兵之色所心便辭金海遙指玉京行道遲遲【下】焉入境不唯摩勒重敷兼【磨豆刓】奉迎內殿尋以【缺上】遙屢吐象王之說重重避席恭披弟子之儀一一書紳待【下】以王師之禮翌日請移【磨豆刓】淨精廬永云【缺上】大師遠從丹慊再到京畿所以別餙玉堂令昇繩榻問【下】大師曰寡人少尙【磨豆刓】先王之典寧【缺上】存亡之志所喜不勞漢夢仍覩秦星世宗之遇摩騰梁武之【下】逢寶誌無以加也生生世世【磨豆刓】子子孫孫【缺上】吉祥之地尙論往美更知延福之庭志有終焉心無悔矣然【下】則遂於此地高敞禪扃【磨豆刓】舊琉璃【缺上】邦國【缺中】聞興法之談不受大師之誨者處處精舍其徒擯之終日【下】了無與言一宵堅不留宿【磨豆刓】期大師素無【磨豆刓】疹富有【缺上】異於庶品之【缺中】五年七月十八日詰朝告門人曰萬法皆空吾將去矣一心【下】爲本汝等勉旃顔貌如常寂然【磨豆刓】二僧【缺上】地動山笏雲愁日慘【缺中】悲盈四部天人增絶學之哀寧惟慟徹諸方士庶泣丘師之【下】痛寡人忽聆遷化尤慟于懷追【磨豆刓】恃【缺上】宗林禪伯季葉古皇【缺中】壽之遐長▣羣情之敬仰今則梁雖核矣室可修焉然則先【下】忻於水積魚歸後恨於林傾鳥散所冀【磨豆刓】禮【刓】尙【缺上】贈謚眞空大師塔號【缺中】之塔惟大師雪山成道煙洞證心傳十八代之祖宗統【下】三千年之禪敎則知浹洽浮世擧其【磨豆刓】輿周【缺上】香散馥便牽胡蝶之心水【缺中】忘機仍引狎鷗之興幾多肹蠁無限昭暢可謂闡揚身毒之【下】風敷演笁乾之法者矣門徒弟子五【缺上】身之贖切恐蒼山變谷渤【缺中】成田陳情而特請龜文瀝懇而頻干鳳德所冀顯無爲之化留【下】在水雲期不朽之緣刻於金石【缺上】之慟惜詞虀臼慰門人罔【缺中】之心歸美栢臺旌國士追攀之志乃爲銘曰【缺下】流雍袂贊佐褰裳【缺中】認已藏寶知印慈航沒浪慧炬沈光銀燈石【缺下】◌靈鳳山故王師眞空大師碑陰【缺】盖聞湯王滅夏終敷開網之仁武帝【缺】西陲之敎親窺寶誌爰談東夏之風由是大集朝臣車馬以奉迎僧會出游東菀輦輿而同【缺】我國家三韓角立未知彼此之僞眞一國雄飛忽辯戰爭之優劣遐霑聖德廣【缺】大師奏表曰殿下精同四乳眼耀雙瞳以此梨察在元皇之坐圖澄逢趙主之憐然猶【缺】僧禪於來往志在登臨山家之鬱鬱森森道人卽住海國之幽幽秩秩君子攸寧伏乞憐其【缺】大師令辭樂土欲入深山高飛一軸之文聊送九重之闕寮人其大師情深膠漆義【缺】東化所誓其興法禪院縱爲古寺尙在仁方【缺】和尙生前永作梅遑之處大師【缺】州官通玄上坐卽中廣休長老侍郞惠泰長老上㚓興林㚓秀英㚓旻會㭆金舜㭆信希按鶴城誌曰原州興法寺在建登山寺有碑高麗太祖製其文命崔光胤摸唐太宗書刻石益齋李齊賢嘗曰辭義雄深偉麗如玄圭赤舃揖讓廊廟而字大小眞行相間如鸞飄鳳泊氣呑象外眞天下之寶也耳溪集曰【洪判書良浩自號耳溪】原州靈鳳山半折碑卽高麗太祖御製詞臣崔光胤奉敎集唐文皇書者也萬曆壬辰之亂倭奴車載以東到竹嶺碑斷爲二乃挈其半而去亂定關東守臣曳還于原州遂稱半折碑余搨來一本觀其筆法豪壯奇崛眞天人之跡也嘗聞文皇最愛右軍書今是帖深得三藏之法而脫出羈絆如天馬之游空非操毫家所可倣像也雖以島夷之蠶亦知愛重至於偸載以去不憚千斤之重萬里之遠所謂奴隸亦知其爲瑞也幸其半折尙留東方殆造物者相歟今觀唐本淳化帖多載文皇書而皆經屢飜離其眞遠矣惟是碑獨傳千年舊刻求之中國亦難得矣雖謂之天下寶可也異日中國有求東方古跡則盍以是應之乎云吳令公顯相氏【今關東伯之大人蔭承旨】篤好古方隨養到東營聞靈鳳半折碑之藏於州之客館囑中營【中軍鄭㶊源】搜得兩折盖守舍者不能善護一以爲磨豆之具一以爲登溷之階卽命工人拂拭居幾何又拾一小片於州南井邊幷三片移搨於紙余亦得而搨之字畵多刓者缺者剝落者漫漶者磨豆處䵝䵝催難認然而其彷佛可記者亦無慮數十百字大小眞行錯雜相因如龍蹲如虎踞如鸞翔鳳舞殆近造化之跡非鉛槧家所可摹倣碑陰楷書未知其出於誰手而亦端麗可玩破碑之廣可爲一丈有餘其長或可爲六七尺五六尺而小片亦可爲數尺竊想厥初碑之高廣磅礴穹窿雄鎭山門亦可驗勝國全盛時往蹟也耳溪集載半折而以今攷之藏客館者兩折而磨豆者上一折入於灰堆者下一折拾於井邊者又一折而中一角決裂者也然則所謂半折乃三折也何如是不折衷郞以文勢觀之自下而上自中而下間或有一二字缺漏處而頗接續可讀上之於下上之於中落落不相合抑未知中間大一折爲黑齒所失歟余拜吳令公於營之別館公從容語余曰邑乘所載違登山是靈鳳山而問于邑人茫不能記所謂興法寺廢已久矣亦難徵可恨碑之爲倭奴所斷事涉無怪而半折見失吾斯之未能信庶或埋沒於近地而人不之收拾也歟以得於灰堆及井邊而推之可認也余笑而應知曰令公之言誠有理而碑雖不破文是釋家文字也奚足尙哉碑雖不全數十百字之眞行楷書俱彷佛可記也復何憾焉我國之人頗好奇又安知靈鳳碑之名不在於半折乎余裁爲一帖子乃戱爲之贊曰麝殪于香蠟焚于膏于嗟壞折匪石之高琬琰爲寶逢彼獼獿造物如相刺使良勞破片之藏如古雲璈舍人何知關鍵不牢于䜺于灰不幸其遭物亦待人終難晦韜攟摭拂拭至于井槽缺漏周鼓迷茫晉毫畵中形影盃上醨槽尙留百態媚奇健豪蛟龍之淵鸞鶴之皐照雲鱗甲薄霄羽毛大小雜錯蜒蜿翔翶短長交鬪越戈吳刀伸屈不齊銀鉤鐵絛殆若神化難容楮陶搨而爲帖於斯游遨黑奴猶愛何况吾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復和金景瑞韻 余昔游雒時從西土人聞金景瑞之爲名將而誦其詩和氣韻後攷國乘深河之役景瑞與姜弘立降於虜坐見遼東伯金應河之力戰立慬所謂名將者亦如是耶良可浩歎更用前韻賦一絶亦詩人譏刺之意也弓刀雪色五更深矍鑠將軍臥擁衾夢裏匈奴能擊否可憐千古李陵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約金子三【台秀】與李穉綏【豊植】穉百【肯植】兄弟入後洞訪李養汝【泰植穉百之三從弟】 冬日愛如春酒友行聯飜十里雉山下煙霞別洞天數弓團圓野靑靑種麥田荒村三兩戶落落不相連中有寒士屋松籬傍石泉迎此不速賓軒眉泛觵船諧謔到爾汝不覺西日懸出門相追隨顧影坐澗邊屛巖解淹留把樽更怡然回笑江南叟與子會有緣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