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월 正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눈비가 내렸다. 雨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蓬萊閣【幷志】 亦在宣化堂北蓮池中小島上於觀風閣爲南甲子監司申琓所建昨春監司洪祐順失火改造金碧炫耀而其軒敞偉麗太不如觀風閣然亦可以一舒嘯也下界塵愁掃蝟毛飛樓颯爽綠雲袍飄飄不信騎無鶴泛泛方知戴有鼇水氣長侵軒宇冷霞華近結枕屛高朝天一路終何處竚立瑤臺羽客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龍尾 老龍變化三千祀不在於天不在水鞭電駕雷無定期臥在靑山雲萬里山東石匠多神術運手能學擾龍氏恐或一梭飛騰去風斤斷尾蝘蜓視片鱗照爛花纈眼星斗闌干光焰紫至珍驚世美無有赤脂爲脈丹砂髓白璧黃金不敢高書樓坐於波斯市往往鱗甲能活動烏雲黑雨頃刻裏五湖三江來滾滾平地百丈波濤起空山尤物非汝否戱銘其臀太幻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城鶴 靑城丈人騎靑鶴遊戱蓬萊雲漠漠一去不返空留跡風吹羽毛山中落千年化石敵璚玖功匠割之刀霍霍試向春溪一洗面花紋柳絲綜又錯紅日潑眼動光怪粼粼綠波蝦鬚箔可愛一片書硯中丹頂玄裳來隱約駕鶴橋西茶酒客東風揮廉不寂寞得意欲寫相鶴徑浮邱仙子何山郭與爾爲期湖上去禿頭官緖秋蟬薄瑪瑙端硯弁山夕米顚舞蹈堪一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小方塘 鍊丹古池浮雲杳夕陽老木空啼鳥石人欲移書硯上慘憺意匠游物表快刀割斷紫雲根惜之如玉一拳小外方內圓好樣模棐几浮來一璧沼紅日乍暎花灼爍玄雲忽落山窈窕點滴一水少須曳潘江陸海波浩渺半畝方塘主人心爾能描畵太了了適意茶香明月夕關情蕉葉細雨曉客者不來春寂寞丹爐篆煙綠裊裊只許三友如影至低仰書巢相匝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期棗 安期僊子蓬萊島其大如苽啖火棗遺與人間團一梭山客得之以爲寶此物胡爲來此地自疑丹竈學有道曲几疎簾相嫵媚照日正如赤瑪瑙黑眉黃眼應生羞玉靈陰鑑敢爭好落筆滾滾神有助十丈光熖動文藻硯池一派方寸間萬里煙波連碧昊鶴上冠珮庶幾遇剩笑浮生鬚欲皓纂纂朱實晩道歌茶酒天涯坐草草眞手眞硯不壞否雙袂摩挲一歎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9월 九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0일 二十日 ○아침 먹기 전에 들어가 장석(丈席)을 뵈었다. 일행이 장석을 만나고자 하였으므로 먼저 얼굴을 돌려 나왔다. 아침을 먹은 뒤에 일행과 들어가 장석을 뵙고 한참 동안 이야기를 나누었다. 여옥이 《충열록(忠烈錄)》 1권을 드렸다. 그길로 하직하고 나와 출발하였다. 신탄(新灘) 저자 주변에 이르러 기주(欺酒)를 사서 먹었다. 신탄을 건너 유성(油城) 저자 주변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성전(星田)52)의 집성사(集成祠)53)에 들러 참배를 하고 봉심(奉審, 사당을 살핌)을 하였다. 곧 주부자(朱夫子)와 송우암(宋尤菴) 두 선생의 영정이었다. 주부자의 영정 위에는 '문공 회암 주선생 진상(文公晦菴朱先生眞像)'이라고 쓰여 있었다. 우암의 영정 위에는 '문정공 우암 송선생 진상(文正公尤菴宋先生眞像)'이라고 쓰여 있었다. 봉심하고 난 뒤에 강당으로 나와 잠시 쉬고 나서 출발하였다. 산정령(散亭嶺)을 넘어 척후(尺後) 주막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50리를 갔다. 절구 1수를 다음과 같이 읊었다.천 리 먼 노정을 멀다 않고 찾아오니(千里長程不遠尋)선연히 남은 영정이 예나 지금이나 같네(分明遺像古猶今)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 참배하니 비루한 마음 없어지고(趨庭瞻拜消鄙吝)저절로 천추토록 경외하는 마음이 생기네(自發千秋敬畏心) ○朝前, 入謁丈席。 同行欲見丈席, 故先爲旋容出來。 朝飯後, 與同行入謁, 移時談話。 汝玉納《忠烈錄》一卷。 仍爲下直而出來, 發程。 至新灘市邊, 買欺酒以食。 越新灘, 抵油城市邊午飯。 歷入星田集成祠, 參謁奉審。 卽朱夫子、宋尤菴兩先生畵像。 如朱夫子影幀上, 書文公晦菴朱先生眞像;尤菴影幀上, 書文正公尤菴宋先生眞像。 奉審後出來講堂, 暫憩後登程。 越散亭嶺, 抵尺後酒店留宿。 行五十里。 吟一絶曰: "千里長程不遠尋, 分明遺像古猶今, 趨庭瞻拜消鄙吝, 自發千秋敬畏心。" 성전(星田) 대전시 유성구 학하동 별밭 마을이다. 집성사(集成祠)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곳으로 사당, 사우라고 한다. 고려말 주자학이 도입되면서 향촌 교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특히 중국 남송 때의 유학자 주희를 모시는 사당이 많이 건립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눈이 내렸다. 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9일 初七日八日九日 주동(注洞)에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오는 길에 또 박 령(朴令)을 만나고 왔다. 往注洞暫話, 而來路又見朴令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비가 내렸다. 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일찍 출발하여 여산(礪山)에서 점심을 먹었다. 연산(連山)에 이르러 포정동(匏井洞)의 이생(李生) 집에서 묵었다. 早發至礪山中火。 至連山, 匏井洞 李生家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아침을 먹은 뒤에 출발하였다. 판치(板峙)에서 점심을 먹고 공주(公州)의 수촌촌사(水村村舍)에서 묵었다. 朝飯後離發。 中火板峙, 宿公州 水村村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비가 내렸다. 그대로 머물렀다. 雨。 因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월 十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월 九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문대(文大) 씨, 미옥(美玉)과 함께 돌곶이 시장 근처에 가서 문중의 종친들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사교(四橋)로 돌아와서 묵었다. ○與文大氏及美玉, 往乭串之市邊, 與門中諸宗相話, 而還來四橋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二十七日 ○길을 나서 추동점(楸洞店)에 이르러 점심을 먹고, 기동의 좌수(座首) 이형립(李亨立)의 집에 이르러 묵었다. ○發程抵楸洞店中火, 抵基洞 李座首 亨立家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竹坡嶺【金城狼川交境自瑞雲二十里】 支離一嶺何其紆鬱半日行過但聞馬蹄下落葉聲馬渡板橋鳴丁丁聽斧聲客行何苦澁谿路太縱橫斷壑空堆葉荒田不刈荊支離窮日力纔喜見長亭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