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百井峯 峯之高不知爲幾千仞其上都是磊磈石骨而無數穿鑿自成圓泉潦不增旱不減奇哉如鼎故又曰百鼎名雖爲百而遍山之井無慮千萬間或有方泉長泉石蜂之頂或如門狹開一路或如席平鋪萬坐遍觀諸峯頭頭森羅或如千兵萬馬之勢或如八百羅漢之像或如美人或如童子左右壁立宛在錦繡障中故上峯云錦繡峯峯之如鉢盂者曰鉢盂峰泉之如般者曰般淵東望滄海如在咫尺古有庵今廢云【巖上兩處題名】石面又或有貴人名姓嶺之中椒有兩顆小石佛以石爲龕又以小石爲雙扉巧能開闔○椒泉翁詩曰海勝看遍盡更登百鼎峯擡頭雲可挩移足石難容時有淸泉響如聞古寺鍾一盃聊復飮不覺爽襟胸昔我耳慣長老語水脈高於山之頂如今千憩登百井峰高正與浮雲等巖巖老石排鋪多束縳筋骨太肯綮堪怪巨靈拳有力無數穿破圓似鼎間間戲劇誇手法或方如斛尖如艇不增不減淸淡水渟滀箇箇鏡色瀅且漱且飮頻呌奇藍田老丞塵念逈坐久點檢羣峯面層層玉佛千頭竝眼空東海三萬里玻瓈一色浮溟涬安得移近江南屋百年膏盲賴蘇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蘭窟【自叢石南二十里】 與子常宗人及朴生汝裕聯鑣向金蘭浦乘舟訪窟所過石壁亦多叢石半樣子所謂金蘭窟者穿在千仞壁下色如丹砂港口如門而難容一小舠其上如屋穿巖溜滴滴似雨絶壑間無數捿鶻驚人亂飛中椒懸瑤草四時長靑名曰不老草金蘭之名盖出於此着在絶頂實難摘取可恨石壁南高穿一穴如門亦可觀浦村人趙生鳳植搖小艇來迎仍與偕入其家暫歇饋以酒果頗殷勤內外甍宇新構華靡想其家不貧迫昏擧火回到金蘭郡已近三鼓矣輕舟蕩漾金蘭洲叢叢半壁廉稜石海水空碧碧於藍鮫錦貝珠玲瓏色風靜浪恬深見底俯臨龍宮三百尺行到穹窿丹砂穴元氣沆瀣千年積斷壁中腰斜亞門送雲迎籟呀然闢巖竇捿鶻驚人飛細溜如雨紛滴滴港口住櫓遐翹首懸巖寶草瑤光碧舟人强名不老草嗟我流涎手難摘凌波仙子送客去西日亭亭下山額隔浦伊誰撑小艇辛勤來候遠游客相將下舟入孤村賓禮有酒兼有㧡扶醉夜歸通州館小燭筆瀾破空寂○二十七日乙巳晴○朝別主倅發通川五十里還到朝珍驛中火仍止宿趙生鳳植又來見【終日通川支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龍馬臺 老石危如百尺軒蒼蹄赤血宛留痕龍媒萬里何曾蹶笑傍禪笻聽不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助願【自平邱五里】 綠蕪江數里店樹午風吹路出平邱驛峰回石室祠酒奴村物色饁婦野生涯悵念春泥屐蘧蘧已昔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畿營屯地【自助願十里】 長林如帶草如裙漠漠平蕪不見垠近水依山村萬落穿郊緣陌路千分五湖遠島蒼茫楫三角層峰窈窕雲怊悵八陵松柏外空中玉馬杳然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忘憂里【自畿營屯地五里】 征衫拂石坐掩留五月松陰冷似秋店號多情稱助願嶺名何事又忘憂蒼茫家室經年別奔汨人生半世浮却喜長安來漸近鬱葱山氣見蚕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徽慶園路中【嘉順宮朴嬪園所自忘憂里十里】 濃陰一山下幽興更難堪柳外繁華店松間窈窕庵大途澄似水邃壑碧於嵐尙有新秧畝犂鋤夜色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參判【在田】書 月前拜穩迨慰下懷而歲且晏矣伏問此時台軆候省餘無損伏禱靡任下悃向者亞銓淸啣固知儻來而旋復鞶褫伏想間適之味十分有得於書史也宗下生氷雪危程艱澀以返而郵獘愈往愈苦鄕信漠然無聞逆旅懷緖實難排悶餘何盡達歲除不遠伏祝侍中迓新蔓嘏不備伏惟下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直長容鉉書 向於百忙中雷逢雷別尙覺悵觖而歲且不我與矣冉冉將盡此時裏想更添一倍恪詢重省軆節神護曼休殘司供劇倘無貽惱於氣宇而公務之暇更得幾許篇嘯傲口氣耶昻禱且溯靡任憧憧宗下役役衝寒忽成一痼伏枕嘔痰政若癃廢底人實由於不習水土而更添驅馳之多日冒雪也苦海勳名如是其困人之甚耶浩嘆浩呵殘郵辛酸旣無可論而千里鄕園音耗亦阻政覺浮生之易白頭也壑蛇如紗只祝餞迓增祉撥忙胡艸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仁川在成書 客月雒行適値駕言未得拜穩而悤悤人事亦未告歸雖緣事機之巧而下懷蘊結惘然若失歲且晏矣伏詢此際省餘政體度神衛曼安伏禱靡任下忱窮臘催科倘無惱擾否旋切貢慮宗下生雪裏衝寒役役來往仍得感咳長時呻藝而殘郵收刷日又侵尋鄕信此閡旅懷難遣伏悶何達餘歲除在邇伏祝餞迓萬禧不備伏惟下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承旨輔鉉書 向拜尙慰而歸后歲旣晏矣懷思倍切恭詢此時重省餘令軆上曼衛夙夜銀臺待漏聽鍾倘不貽惱而委蛇之暇更或有閒適之趣味乎否仰禱且溯宗下觸寒爲祟仍添痰咳長事刀圭而營下咫尺歲暮百務更相侵尋實覺郵味之酸鹹也外遷事向所細陳而當此機會可謂好風矣幸望從容傍禀期於必圖如何此事想已耳熟而更有加鞭則似不當埋沒矣惟在周章之如何耳餘在續候不備伏惟令下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淸虛樓復用前韻 酒國寥寥不見泉名樓只與大江全山容堪畵王摩詰草色應愁謝惠連冠盖復回三夜後笙歌忽憶二年前無端老肚生詩緖正似春蠶屬再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눈보라 치고 추웠다. 송산(松山)과 윤생(尹生) 두 사람이 와서 보고 갔다. 雪風寒。 松山 尹生兩人來見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매우 추웠다. 윤생이 또 왔으므로 함께 청배(靑排)에 가서 상원(尙元)을 보고 왔다. 極寒。 尹生又來, 故同往靑排, 見尙元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매우 추웠다. 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또 추웠다. 又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차동으로 갔는데, 날씨가 너무 추워 객지생활의 고충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往車洞而日氣甚寒, 客苦不可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추웠다. 예조에 가서 낙안(樂安)의 예사문서(禮斜文書)를 찾아오는 길에 주동(注洞)에 들어가 일 처리가 부실한 이유를 크게 꾸짖고 왔다. 寒。 往禮曹, 推尋樂安禮斜文書, 而來路入注洞, 大責處事不實之由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창동(倉洞)에 가서 박 승지(朴承旨)를 만나고 왔다. 往倉洞見朴承旨而來。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