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昌基天中節享役【墓在崇禮門南五里二疊】 齋宇幽寥以佛棲九分山色一分溪林間小鳥何心緖盡日徘徊羽翮低短草麤沙路不微林風自動淡霞飛山中此飮葛醪否五見端陽客未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유둔(油屯) 시장 근처에 이르러 말에게 꼴을 먹이고 요기하였다. 이에 용전(龍田)에서 머물렀다. 到油屯市邊, 秣馬療飢, 因留龍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정월 正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매우 늦게 길을 떠나 과역(過驛)에 이르러 말에게 꼴을 먹였다. 마침내 집으로 돌아왔다. 最晩發程, 至過驛秣馬後, 遂還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94년(갑인) 1794年(甲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용전재(龍田齋)에서 문회(門會, 문중의 모임)에 참석했다. 參門會於龍田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용전에 머물렀다. 留龍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출발하여 조생(趙甥)을 데리고 직접 동촌(東村)에 가서 묵었다. 發行而率趙甥, 親往東村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96년(병진) 1796年(丙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월 十一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菊軒朴公墓碣銘【幷序】 嘗聞主簿朴公。篤孝力學。精通理數。龍蛇亂。天將李提督如松。禮以致之幕下。多所贊畫。自是名動一國。至于今誦之不衰。公有曾孫諱益華字汝實號菊軒。朴氏貫密陽。爲國著姓。羅麗以來。世有賢達。入我朝。有諱衍生莊陵末守節不撓。光廟以佐翼原從勳。屢徵不起。歸遯于潭州。自號遯齋。享長城水山祠。生諱文雅大護軍贈左承旨。生諱賢孫贈吏曹參判。生諱宗元贈吏曹判書。生諱守溫號河南處士。以經學薦授參奉不就。實判書貞惠公諱守良之兄也。曾祖諱尙義卽主簿公。祖諱允鑑參奉。丙子有義迹。考諱行重號梅軒。以學行贈司僕寺正。妣贈淑人錦城鄭氏。泰瑞其考。公生於顯宗壬寅。天姿溫厚。至性孝友。事二親。志體之養。未嘗或懈。及遭艱。易戚備至。公兄弟六人。序居第二。長枕大被與同寢處。以盡友于之情。所與從遊。多一時名碩。講究道義。老而不倦。嘗懲毖於世禍。絜家入羅州之登林山中。謝迹城市。常以琴書自樂。訓迪子姓。義方嚴截。撫御家衆。恩義周洽。持身勤儉。於世利紛華。蓋泊如也。卒於景宗庚子九月十九日。葬在州北北城後獨洞子坐原。配光山金氏遠相女。墓祔左。擧二男。長㻍次璂。孫男鳳載副護軍長房出。鳳茂次房出。曾玄不盡錄。嗚呼。公之隱德實行。宜不止此。而散逸無傳。甚可慨歎。後孫夏求。以門長老之命。來請銘其墓。余衰病不堪把筆。屢辭不獲。據狀摭實而爲銘。銘曰。赫赫朴宗。肇自鷄林。曁麗迄羅。世有纓簪。遯齋梅軒。尤著名節。公生于家。負荷不忒。片石屹然。北城之麓。有來百世。過者必式。後石遺稿卷之十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竹山安氏墓表 梁君會石自述其先夫人行實。謁余而言曰。此吾母氏平日言行之懿。願託墓石以圖永久。幸其有以哀而相之。余則惻然辭不能固。按狀。安氏系出竹山。有諱邦俊。學者稱牛山先生。爲世儒宗。寔夫人八世顯祖。曾祖諱昌勳贈敎官號職憂堂。祖諱壽宅號竹壄。俱有文行。考諱命佶。妣長興任氏直材女。生于哲宗戊申。幼有至性。五歲從祖參奉公與以櫻桃一握。受以懷之。問其故。對曰歸遺父母。參奉公奇愛之。年十九歸于濟州梁氏爲學生在益妻。學圃惠康公後孫。夫人內外皆名家。擩染庭訓。德容夙著。旣入門。六親畢賀。克修婦道。尤善事繼姑。不以年相近而弛其敬。致藥而己其疾。殫誠供養。靡不用極。及遭喪哀毁踰制。幼孤兄弟呱呱而泣。抱而乳養。有逾已子。人以爲難。嘗値飢歲。大小家同爨庭無間言。推以及於隣里族戚。恩意周洽。雖丐乞亦加矜恤。人皆感歎。舅鳳軒公性嚴峻。子弟有過。不少假貸。諸子拱立不敢退。夫人乘間柔色以諫。始降辭色。中歲家事剝落。能黽勉有無。使夫子忘貧。又謹於奉先。必預封各位祭穀。俾無窘乏。其綜理微密多類此。早喪二子。舅姑悶憐之。未嘗以戚容見於色。嘗夢鳳軒公抱送二兒曰。善養之。錫以嘉名。晩育二男。雖甚愛之。敎之必有法度。誡之曰勤學立身。勿墜家業也。二子皆循循雅飭。蓋其慈敎然也。歿于丁未十一月二十三日。祔葬于學生公墓。擧二男一女。男會石會術。女趙萬植。孫啓承長房出。浩承次房出。若稽古昔。稱述女德。莫備於周詩國風。大抵以幽間貞靜爲貴。然絺綌之成。蘋藻之供。又見閨門之懿家道之正矣。自世敎衰。凡爲簪珥者。例皆逸豫爲事。奢靡成習。蔑恩義而玷家風者滔滔。余觀夫人狀。最其孝養舅姑。訓戒諸子。治家以動檢。切禁其侈傲。實無愧於古之賢媛矣。是以樂爲發揮。以慰會石甫之孝思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兵曹判書廉公墓表 公姓廉氏諱傑字國忠。退隱其號。其先坡州人。以高麗忠敬公梅軒諱悌臣爲遠祖。大提學國寶。密直司致中。通禮怡。司直順恭。副正紀。生員孝曾。聯世簪組。高祖諱壽擧。曾祖諱自重。祖諱將敏展力副尉。考諱仁亨副司果。妣金海金氏。嘉靖乙巳生公于康津七良面栗邊里。自幼稟質異凡兒。膂力絶人。文藝夙就。七歲能作詩八歲受學於縣監公光俊。家貧甚。十餘歲躬親樵漁。以供親廚。餘力讀書。歲値飢荒。貿穀爲養。而夜半群盜噪入。爭相發糴。公以童穉。暗以水墨潑賊衣。朝來驗視。長老驚歎。及長善騎射。兼習兵書。一弟瑞慶于弘立。俱以膽勇聞。丁內外艱。廬墓盡制。以孝登剡薦。壬辰島夷猖獗。大駕西狩。列郡風靡。公不勝憂憤。乃招其弟與子及其所嘗親信有勇略者曰。國危如此。此正臣子盡忠報國之日也。相與誓心剿賊。時賊船瀰漫於本縣九十浦。公將覘賊動靜。是夜適大霧。公曰機會不可失也。於江邊多設草偶。乃以書約矢而射曰。爾雖犬羊。獨不聞此地有廉將軍乎。弓弩齊發。賊疑有伏不敢出。公意賊徒之捨舟登陸。則必入水淨寺。爲之設伏。翌日賊果縱兵肆掠。直向寺東。俟其盡入强弩齊發。殺賊無算。賊奪路而走。捨命而前。衆寡不敵。且戰且却。弟慶爲賊所害。年才十四。事載輿地勝覽。賊退後多獲其器械。公痛弟之亡。泣而誓衆曰。家國之讎不報。何以生爲。自是公之威名日著。賊稱以三虎將軍。相戒不敢近。沿海諸邑。無不奔潰。而金陵獨全者。公之力也。統制李忠武公聞而壯之。差公以義兵將。於是募義者日衆。兵勢益壯。追賦于長興會寧鎭。手擊賊將。奪馬衡突。殺傷甚衆賊徒遠遁。轉向嶺南。忠武公握手而喜曰。聞公之名久矣。今幸相見。戎務庶可共勉。沒雲臺之戰。以精兵三百助之。忠武第三子葂爲賊將所害。賊將適當下陸。公曰吾當先斬此賊。挺身出馬。馳陣相鬪。宋汝宗宋希立助之。因擒賊將。致之麾下。忠武公爲之歎賞焉。倭僑之戰。又建奇功。忠武公以公前後殊勳。報于都元師權公。連次啓達于朝。特授公及弟瑞子弘立皆守門將。忠武公嘗曰。公家三人之忠義。鮮有倫比云。露梁之役。奮力督戰。而不幸忠武公中丸殉身。自是無褒聞之啓。人以功多賞小。爲公惜之。公引兵至巨濟。與賊相當。謂其弟與子曰。馬革裹尸。是吾素志也。遂力戰死之。瑞與弘立亦赴死。家人招魂而返。以遺衣服。葬于康津七良面栗邊里佛舞洞坐卯原。與其配貞夫人慶州朴氏合祔朝廷錄宣武原從勳。鐵券至今炳烺。後因儒生上言。贈公兵曹判書。瑞兵曹參議。慶丞旨。弘立吏曹參議。又命旌閭。國家褒賞之典。至是而無憾矣。嗚呼當國家危亂之際。平日食食衣衣者。皆引帑鳥獸匿。以爲全軀保妻子之計。而不顧國危者何限。而如公是遐鄕一韋布。乃能奮發忠勇。誓心討賊。所向輒克。大爲忠武公之所稱賞。終乃以身殉之。公之忠義。可與張睢陽之雷南。倂美匹休。豈不誠烈丈夫哉。公後孫圭炫。以公事蹟及附錄。合爲一冊。紹介于其宗在均。屬余以墓文。余應之曰。禮雖不許招魂葬。當倉卒之際。權宜以安厝者。今三百餘年。不有以表之。與尋常匹庶塚何異。賢孫之刻石衛墓。固其宜也。顧余人微文下。不足以揄揚其萬一。而竊有感於公之精忠毅烈。遂掇其狀而略敍此。俾歸刻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합동(蛤洞)에 가서 윤 남포(尹藍浦)를 만나고, 오는 길에서 이 흥양(李興陽)을 만났다. 往蛤洞見尹藍浦, 而來路見李興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또 극도로 추웠다. 又極寒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 十六日 추웠다. 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추웠다. 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추웠다. 종일토록 심하게 앓았다. 寒。 終日大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길을 나서 벌교(筏橋)에 이르러 요기하고, 미태정(米太亭)에 이르러 묵었다. 50리를 갔다. 發程至筏橋療飢, 抵米太亭留宿。 行五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지난 경신년(1820, 순조20) 3월, 나는 아버님을 모시고 상경하여 서울에서 몇 달을 머물다가 왔다. 금년 신사년(1821, 순조21)에 서재(西齋)1) 선조의 행록(行錄)을 개간하기로 해서 오촌(鰲村) 장석(丈席)2)의 서문을 받아 오도록 문중(門中)에서 나와 이찬(而贊)에게 위임하였다. 그래서 지금 호행(湖行)에 필요한 행장을 꾸려서 경성(京城)으로 갈 계획이다. 去庚申三月, 余陪親上洛, 留京數月而來矣。 今年辛巳, 西齋先祖行錄, 將欲開刊, 而受弁卷之文於鰲村丈席之意, 門中屬余及而贊, 故今將治發湖行, 仍向京城計矣。 서재(西齋) 선조 송간(宋侃, 1405~1480)으로,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서재(西齋)이다. 세종·문종·단종의 3조를 섬겨 벼슬이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다. 1455년 왕명으로 남방을 순시하고 돌아오다가 단종이 영월로 쫓겨 갔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영월에 가서 복명하고, 고향 여산으로 돌아가 두문불출하였다. 단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깊은 산속에 들어가 삼년상을 마치고, 흥양(興陽) 마륜촌(馬輪村) 산정(山亭)에 숨어 지냈다. 10여 년 뒤에 가족이 찾아냈으나 항상 술에 만취하여 산천을 돌아다니며 대성통곡하므로 모두들 미쳤다고 하였다. 그러다가 생애를 마쳤는데, 지금도 그곳을 서재동(西齋洞)이라 한다. 《일성록》 정조 17년 계축(1793) 12월 21일에 충강(忠剛)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오촌(鰲村) 장석(丈席) 송치규(宋穉圭, 1759~1838)로,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기옥(奇玉), 호는 강재(剛齋)이며, 송시열(宋時烈)의 6대손이다. 순조 때 이조참판까지 올랐으나 모두 사퇴하였고, 현종 때 정헌 대부에 올랐다. 천성이 온순하고 의리에 투철하여 그가 죽자 많은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으며, 문인 100여 명이 상복을 입고 상여를 따랐다. 이이, 김장생의 학문을 계승하여 '이기일원론'을 주장하였으며,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송치규의 온순한 성정에 스승인 김정묵이 호를 강재라 지어 주었다고 하는데, 51세 때 회덕의 오촌으로 이사를 가고 난 다음에는 오촌을 자신의 호로 사용한 듯하다.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