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동틀 무렵 길을 나서 증산(甑山)에 이르러 말에게 꼴을 먹이고 점심을 먹었다. 오수(獒樹)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이날 90리를 갔다. 平明登程, 到甑山, 秣馬中火。 至獒樹留宿。 是日行九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 三十日 몹시 추웠다. 꼭두새벽 길을 나서 효포(孝浦)에 이르러 요기하였다. 광정(廣亭)까지 80리에 이르자 날이 이미 저물고 눈이 또 내렸다. 광정에서 머물렀다. 極寒。 曉頭登程, 至孝浦療飢。 至廣亭八十里, 日已暮, 雨雪且作矣。 留廣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월 十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 初一日 주동(鑄洞)에 갔다 왔다. 往鑄洞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맑고 화창하였다. 晴而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월 十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 初二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날씨가 조금 나아졌다. 日氣差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날씨가 조금 맑아져 다행이지만 조사(朝士, 조정의 관리)가 사망했다는 기별이 하루에 네다섯 명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니 두려움을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다. 저녁 무렵 다시 쌀쌀해지면서 비가 내렸다. 日氣稍淸和, 可幸, 但朝士死亡之奇, 日不下四五人, 懍懍不可言。 夕間復爲陰冷而雨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均進士晚悔辛公行狀 公諱有章。後改裕章。字聖悅晩悔其號也。辛氏其先隴西人。有諱慶號巖谷。自中國出高麗。仕仁宗官至金紫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東國之有辛自公始。入傳而至草堂諱革。以功食邑于靈山。子孫遂爲靈山人。生子諱原慶閤門祇候。是生諱貴。入我朝。官左政丞。生諱克敬正郞贈判書。與其兄議政公克禮。幷享松巖祠。生諱孝敦府使。生諱諴縣監。始居咸平。於公爲十一世祖也。曰夢男曰好誠曰忠良曰義獻曰亨振曰國瑞曰再雄。四世以上諱也。曾祖諱得秋贈司僕寺正。祖諱慶哲贈戶議。考諱宗珏贈參判。妣商山金氏塾女。持平克誠五世孫。以正廟甲子正月一日。生公于縣東松巖里第。幼而穎悟異凡兒。甫學語能知書。不煩提督。誦習無遺。寫字必楷正。父母之命。勿逆勿怠。參判公奇愛之。期望甚至。成童受學于太虛齋安公志煥。兼治功令業。門戶計也。詞賦表策嗚于世。世稱神童。雖老師宿儒。自以爲不及。弱冠赴荊圍。輒屈曹偶。前後參解額凡十二度。名聲動湖洛間。癸亥中司馬。人猶以爲晚。晚後天爵非稱德也。公旣長於詩文。而不以文人自處。致力於四子性理等書。微辭奧旨。毫分縷析。至於小註之轇轕肯綮處。或加點圈。或加註吐。傍及諸家老莊刑名之學。無不涉獵。而三經則口不絶誦。至老不衰。嘗曰吾於文學。斃而後已。此則公之學力加於人數等者然也。尤篤於倫理。事親無違。自在童穉。遇珍果美味。則不先入口。或裹或懷。雙手奉獻。慰悅親心。溫淸之節。甘旨之供。必盡誠敬。母夫人嘗患重病。幾至危境。割股注血。竟得同甦。鄕道交章薦之。郡誌特書懸錄。雖未蒙旌褒。而可見鄕評公議之不泯矣。與兄弟處。友愛備至。怡怡如也。此則公之孝友得於天者然也。居家溫厚而莊重。未嘗見其惰容。敎子孫。必先授小學書曰。做人樣子。爲學根柢。此一書足矣。汝曹愼勿泛讀過了。諄諄誨語。忠厚之意藹然。導迪後進。隨才成就。及門之士。無不悅服。與朋友交。不設畦畛。言而有信。鄕人莫不愛而敬之。素性介貞。雅不喜持刺公門。而惟於許判書傳。以道義相尙。往復質問無虛歲。許公甚重之。此則公之訓子接人。各有法度者然也。兼以冠婚喪祭。率禮罔愆。屛彩素各一。彩以用婚。素以用祭。自少每出入場屋。必買書一帙以遺子孫。戒勿點汙。留爲傳後計。此雖細事。亦可見其心事白直云。歲乙亥以譜牒校正事入京。遇貞疾。歿于京之太平洞。卽四月二十七日也。權厝于乾山先墓下。後移葬于某山某坐原。配竹山安氏。志賢其考。進士致中玄孫。賢有婦德。擧三男。長時粲次時百時萬進士。時粲二男二女。男性準奉準。晉州鄭某鄭某其壻也。時百一男二女。男學準。女慶州崔致國錦城吳京五。時萬四男。男玟準鴻準琪準太準。曾玄甚蕃衍不盡錄。公曾孫東旭手草事行。致其大人之命。命駿善以狀德之文。駿實善實孤陋。誠不可犯手人家先德文字。而東旭之請彌切。駿善不忍終辭者。亦有由焉。不佞弱冠時。聞諸長老。知公爲時文鉅匠而已。旣長聞諸鄕道薦章。最公爲根天孝子矣。乃今讀其家狀而後知公之實心實學。致力本源之地爲尤多。公信長者也善人也。始歎少時所聞者。伏於鄕道之薦。聞於鄕評者。又伏於賢孫之家狀。不佞於是實有拜床之願。而公旣歿矣。竊欲託名文字。以償責沈之作。遂因其狀。而略加刪潤。以竢知德者考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拙齋盧公行狀 公姓盧氏。諱淳聖字道敏。拙齋其號也。始祖諱穗。唐宣宗時。以翰林學士渡海東來。至諱蔓麗朝政丞封光山君。子孫遂爲光山人。諱俊恭。我太朝大王屢徵不就。定宗朝贈諡節孝。諱光利號式齋官大司成。數傳而諱希瑞。壬辰與高霽峯殉節于錦山。贈兵參。於公爲九世祖。高祖諱益海主簿。曾祖諱夢麟。祖諱彦厚參奉。考諱廷觀。妣利川徐氏命國女。判書祉後。正廟正月十四日生。公幼而有深愛於父母。柔婉承順。無一事違忤。人皆知至性天植也。稍長。定省之節甘旨之供無闕。養志養體。務盡其誠。歲壬午父遘毒癘。漸至危劇。公晝則煎藥煮粥。夜則祝天願代。旣不效則斫指和藥。能延數日命。奄遭大故。攀擗號痛。絶而復蘇。送終之節。遵禮罔愆。服闋事母至孝。家甚貧。親極滋味。母善病積歲呻吟。藥餌無效。人言人肉甚效。於是斫指而垂血。割肉而煮進。不令親知。積崇快瘳。後數年母病又劇。公又噬指。灌口延命。執喪有踰前喪。鄕里鄕黨一口稱孝子無異辭。鄕道士論齊發。交薦于繡衣道司。不止一再。亦可見公之誠孝孚人之深也。圽于哲廟壬子二月二十一日。慕光州牛峙面池內里乾坐原。配全州李氏。父廷燁。襄度公天佑後。墓公墓右戌坐。繼配咸陽朴氏。父宗煥。墓別葬日谷西卵峯卯坐。有三男一女。男昇周李氏出。昇英昇洙朴弘植鄭燦默妻朴氏出。長房二男柄春柄夏。二房一男二女。柄琪文弘起金炯文壻也。三房一女李載德。鳴呼公之孝友得於天性。前後斫指。能延親命。以之爲政。庭無間言。推之鄕黨。鄕黨服焉。至於一省士論齊發。薦聞于道司繡衣者。不一而足。獨未蒙天褒。今則大界陸沈。無可鳴號處。尤爲慨恨。雖然盡子職在公。褒不褒在人。又何憾焉。公曾孫昌燮懼其久而沈晦。請余爲狀。謹就其世系子姓與夫前後薦狀。以竢知德者攷信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청파(靑坡)에 가서 권 서방(權書房)에게 1냥 3전 4푼의 채전(債錢, 남에게 빚을 진 돈)을 얻어 오는데 추웠다. 往靑坡, 得一兩三戔四分債錢於權書房而來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일찍 밥을 먹은 뒤에 길을 나섰다. 과역(過驛)에 이르러서 점심을 먹고 왔다. 早飯後登程, 至過驛中火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몹시 추웠다. 아침을 먹기 전에 주동(注洞)에서 종을 보내 돈을 재촉하였으므로 아침을 먹은 뒤에 1냥을 가져와서 자(子)에게 주고 왔다. 極寒。 朝前注洞送奴促錢, 故食後持一兩, 給子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또 몹시 추웠다. 又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동이 틀 무렵에 길을 나서 모란원(牧丹院)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금강(錦江)을 건너 효포(孝浦) 부동리(釜洞里)의 이 석사(李碩士) 집에 머물렀다. 平明登程, 至牧丹院中火。 渡錦江, 留孝浦 釜洞 李碩士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장선(長善)에 머물렀다. 사헌(士憲)의 집 아이, 인서(仁瑞)와 옥계동(玉溪洞)17)에 들어가 수석점(水石店)을 두루 살펴보고 우암(尤菴)의 〈옥계동(玉溪洞)〉 시에 차운하였다.바람과 안개 모두 비단 주머니에 거두었는데(風烟都括錦囊收)맑은 시내는 바위 돌에 굽이쳐 흘러가누나(只有淸溪噴石流)흘러가는 것이야 멈추게 할 수 없나니(逝者縱然留不得)오직 원천18)에 내맡길 뿐이라오(惟能管領發源頭)또 읊었다.빽빽한 나무숲에 기이한 바위 적으나(樹密奇巖小)깊은 산속에 괴이한 새들 많구나(山深怪鳥多)쏟아지는 폭포소리 참으로 장쾌하니(最宜懸瀑響)원망하는 듯 노래하는 듯하구나(如怨又如歌)이어 한 고개를 넘어 안심사(安心寺)19)에 들어가니, '적설루(積雪樓)'라는 세 글자가 있는데, 이는 우옹(尤翁)이 쓴 것이다. 벽에는 점필재(佔畢齋), 율곡(栗谷), 중봉(重峯) 세 선생의 사운(四韻) 시가 있었지만 어수선해서 미처 화답할 수가 없었다. 저녁 무렵에 내려와서 사헌의 집에서 머물렀다. 留長善, 與士憲家兒及仁瑞, 入玉溪洞, 周觀水石店, 次尤菴 玉溪洞韻, "風烟都括錦囊收, 只有淸溪噴石流。 逝者縱然留不得, 惟能管領發源頭。" 又吟, "樹密奇巖小, 山深怪鳥多。 最宜懸瀑響, 如怨又如歌。" 因踰一嶺, 入安心寺, 額有積雪樓三字, 而是尤翁筆。 壁有佔畢齋、栗谷、重峯三先生公字四韻, 而擾未及奉和。 夕時下來, 留士憲家。 옥계동(玉溪洞) 전라북도 완주군 옥계동으로,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과 천등산 두 산 사이 협곡에 있었다. 원천 주자의 시 〈관서유감(觀書有感)〉에 "조그맣고 모난 연못에 한 거울이 열리어, 하늘빛 구름 그림자가 함께 배회하네. 묻노니 어찌하면 저처럼 맑을까, 원천에서 콸콸 쏟아져 내려서라네.[半畝方塘一鑑開, 天光雲影共徘徊. 問渠那得淸如許, 爲有源頭活水來. ]"라고 하여, 학문을 통해 심성을 수양하는 즐거움을 읊었다. 안심사(安心寺)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大芚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안심사(安心寺) 경내(境內)에 '적설루(積雪樓)'가 있었는데 지금은 폐허 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 初二日 다시 들어가 고하였는데, 장석(丈席)은 담벽증(痰癖症)과 치질(痔疾)로 간혹 말을 주고받는 사이에 끙끙 앓았다. 이에 허락을 받지 못하고 물러 나왔으니 걱정스럽다. 更爲入告, 而丈席以痰癖痔疾, 間或呻吟於酬酢之間, 故不得受許而退, 悶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사랑에 머물며 때때로 나아가고 물러 나왔다. 산정(刪正)도 하였다. 留廊底有時進退, 亦爲刪正。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