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卄二日 지난밤에 크게 천둥과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리더니 다음날에 종일토록 크게 바람이 불었다. 去夜大雷電雨雹, 自翌終日大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卄九日 꼭두새벽에 길을 나서 부내(府內)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삼례(參禮)에 이르러 묵었다. 이날 우연히 절구 한 수를 읊어 용성(龍城)의 석사(碩士) 장계회(張啓晦)에게 주었는데, 대개 오수(獒樹)에서부터 동행하였기 때문이다.객사에서 만난 백면서생(逆旅相逢白面郞)용성 걸사의 성씨 당당도 하여라(龍城杰士姓堂堂)천 리 길 동행하며 나랏길 구경하였는데(千里同行觀國路)그대는 호두3)의 향기 지닌 사람이구려(高名抉許虎頭香)만마동(萬馬洞)4)에서 율시 한 수를 읊었다.만마를 어느 해에 지나갔던가(萬馬何年過)야윈 말 타고 이날을 증명해 보네(羸驂此日證)깊은 골짜기라 하늘이 작아 보이고(洞深天爲小)개간된 산이라 길이 평평하네(山闢路因平)촌락은 벼랑 따라 늘어져 있고(村落緣崖仄)사천은 눈으로 뒤덮여 더욱 맑네(沙川助雪淸)고인 냇물에 산 기운은 빼어나니(水渟山氣秀)통하는 곳에 완영이 자리하였네(通處是完營) 曉頭登程, 至府內朝飯, 至參禮留宿。 是日偶吟一絶, 贈龍城 張碩士 啓晦, 盖自獒樹同行故也。 "逆旅相逢白面郞, 龍城杰士姓堂堂。 千里同行觀國路, 高名抉許虎頭香。" 於萬馬洞吟一律曰, "萬馬何年過? 羸驂此日証。 洞深天爲小, 山闢路因平。 村落緣崖仄, 沙川助雪淸。 水渟山氣秀, 通處是完營。" 호두 호두(虎頭)는 당당하고 위엄이 있는 귀인의 상을 말한다. 후한(後漢) 때 관상 보는 사람이 반초(班超)를 보고 말하기를 "그대는 제비의 턱이고 범의 머리인지라 날아서 고기를 먹을 것이니, 이는 만리후에 봉해질 상이다.[燕頷虎頭, 飛而食肉, 此萬里侯相也.]"라고 하였는데, 그 후에 과연 그 말대로 서역(西域)을 평정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졌다. 만마동(萬馬洞) 현재 전북 완주군 남관으로, 남원에서 전주로 들어가는 길목으로, 만마관(萬馬關)이 있어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로 인하여 전주천을 만마탄(萬馬灘)이라고도 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 晦日 날이 밝기 전에 출발하여 황화정(皇華亭)5) 안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길에서 곡강(曲江)의 척형(戚兄)을 생각하며 율시 한 수를 읊었다.금호의 어진 아우와 곡강의 형(琴湖賢弟曲江兄)약속한 날 찬바람 속에 먼 길 함께 떠났네(約日寒風共遠征)금산으로 먼저 간 것은 일 때문이나(先去金山緣有事)완부에 늦게 온 건 실로 정리가 아니로다(晩來完府實非情)금강에 혹여 외로이 나는 기러기 지나가면(錦江倘過孤飛雁)초포에 벗을 부르는 꾀꼬리 한창 울어대리(草浦方吟喚友鸎)상사6)의 무리 안에 가난한 서생들7)(上舍叢中窮措大)청춘을 헛되이 보내 과거 급제 못하였네(靑春虛送未成名)이성(尼城)에 이르러 묵었다. 未明發行, 至皇華亭中火。 路上憶曲江戚兄, 咏一律曰, "琴湖賢弟曲江兄, 約日寒風共遠征。 先去金山緣有事, 晩來完府實非情。 錦江倘過孤飛雁, 草浦方吟喚友鸎。 上舍叢中窮措大, 靑春虛送未成名。" 至尼城留宿。 황화정(皇華亭) 전북 익산군 여산면 마전리 황화정 동네에 있던 정자로, 지금의 충남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에 해당한다. 조선시대 충청도와 전라도의 경계 지역에 있었던 황화정은 전라도 신구(新舊) 전라도관찰사들이 교대하는 장소였는데, 국왕으로부터 전라도관찰사로 제수받으면 여산 황화정(皇華亭)에서 신·구 임무 교대식인 교귀식(交龜式)을 치르고 전주 조경묘에 숙배(肅拜)하는 것이 순서였다. 상사 상사(上舍)는 생원과 진사의 별칭으로, 옛날 태학에서 생원과 진사는 상사(上舍), 즉 위채에 거처하였기 때문이다. 곤궁한 서생들이 원문의 '조대(措大)'는 초태(醋駄)에서 유래한 말로, 가난한 서생을 말한다. 어떤 선비가 가난하여 식초를 지고 동네를 돌면서 팔아 생계를 꾸리던 데서 비롯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嘉善大夫工曹參判徐公墓表 公諱震元字聖甫。利川之徐遠有來歷。新羅阿于諱神逸其始祖。至章威公諱熙。勳德有光先祖。自是爲世名族。麗末侍中節孝先生諱稜。以學行卓孝。名載東史。入我朝有諱崇老宣廟壬辰錄勳行兵議。享本縣月山祠。卽公八世祖也。曰景辰。曰贈通訓掌樂正廷傑。曰贈通政戶議行道。曰贈戶曹參判有徵。公之高曾祖禰諱也。妣貞夫人仁同張氏。肅廟戊辰生。公幼穎悟異凡兒。才上學日勤程課。經史子集無不融會。二十成文章。境內儒林宿德。幷皆推重。邑宰每有存訊之禮。三十丁外艱。三年廬于墓側。階前拜跪處成臼。揮淚草枯。鄕里無不感歎。將有薦狀之論。公正色拒之曰。人子守喪職耳。此何足論也。幸諸公母重吾不孝爲也。鄕人還加稱贊。事載邑誌。 英廟壬辰考終于寢。享年八十二。嘉善大夫工曹參判壽階也。藏在石津坊南川後坐丁原。配貞夫人靈光丁氏。墓在半月山南麓艮坐。繼配貞夫人錦城羅氏。墓祔公墓左。擧五男。長宗吉以孝行登鄕薦。早世。丁氏出。次宗大次宗福次宗祿次宗業羅氏出。鄭日中李光三全聖龍女所適也。公歿後殆近數百載。墓道尙闕顯刻。今其諸孫將欲進孝於塋域。六代孫俊煥草公家狀。屬余爲文。余病廢文墨。辭以不堪。而其請彌切曰。弊門一心合誠。謹治石以俟。余深嘉其追遠之誠。不忍終拒。謹就其家狀而略加刪潤如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道菴鄭公墓誌銘【幷序】 在昔巳卯士禍。靜菴趙先生謫綾城。學圃梁先生擯斥在家。日往趙先生匪所。講磿道義。時則有若道菴鄭公。以學圃女壻。從靜菴遊。討論經籍。先生屢加稱詡曰。不圖南服復見斯人。又曰今日講問。何敢忘諸。方火色炎炎之中。學問二字爲世所諱。而獨能奮發流俗。講質問答。不懈益勤。嗚呼此可以觀公矣。公諱仁洪字正裕道菴其號也。光山之鄭。以高麗贊成事諱臣扈爲上祖。是生諱允孚開城尹。是生諱麟晉。入我朝文科監司。是生諱存文科監察。於公爲五世祖。高祖諱以忠文科縣監。曾祖諱晊文科正郞。祖諱應鍾文科禮判。考諱彪生員承旨。妣驪興閔氏希點女。公生而秀異。器度弘遠。言笑不妄。文藝夙就。丙午中司馬。交遊日廣。學問優長。恬淡自守。不求名利。隆慶丁卯。以經學薦除監司不就。世以此重之。學圃先生以舅甥兼師友。屬意甚重。嘗到公家。口號以贈曰。華表仙禽十載迴。桃花依舊笑含開。主人喜我尋春意。姑向前村覓酒來。與朱夫子蔡氏女家詩意略同。吁其盛哉。其他往復書疏靜菴遺札。不爲不多。而屢經兵燹逸而不傳。可勝惜哉。公生于嘉靖庚寅。歿于萬曆己丑十月十日。以某月日葬于綾州道莊洞壬坐丙向原。配梁氏別葬于道莊洞大阜山卯坐。生五男二女。男長溟進士。次濚生員。次進士。次澐務安縣監。次淇文科務安縣監。女適士人安四國承旨金琫孫。孫曾以下盡錄。後孫聳錫掇拾家庭遺傳文字。手草行錄。命余誌其墓。噫。余生三百餘年之後。而欲徵信於三百餘年之前。不其難乎。是以敢辭。鄭君請益固。遂依其狀。略加檃栝以歸之。銘曰。光山之鄭。世有令德。休休觀察。旬宣南服。宗伯嗣闡。爲國名碩。公生于家。負荷不忒。從師靜圃。淵源正學。有蘊莫展。世道之惜。道莊之谷。有鬱其宅。我銘其懿納于幽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子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羅公墓誌銘【幷序】 通政大夫僉樞羅公歿。而葬于庇仁之仙谷原後。以宅兆不利。七世孫相一。遷厝于高敞縣南村後麓坐癸向丁之原。以淑夫人義珹金氏淑夫人蔚山朴氏祔焉。旣訖。相一錄其事行。謁余幽堂之刻。且曰先祖之至行懿蹟。恐遂泯沒。而遷厝始末。亦不可以無記也。其容甚戚。其意甚眞。余雖老病無文。其何忍終辭以孤孝孫之請乎。謹按狀。公諱慶侳字景伯。羅氏本羅州著姓。高麗侍中天瑞。以功食邑于安定。子孫遂爲安定人。安定卽今之庇安也。諱直卿閤門祗侯。是生諱暉入我朝寶城郡事。生諱慶孫竹山縣事。生諱裕善文科郡守。生諱繼宗參軍。生諱世傑昌陵參奉贈持平。生諱湜號長吟亭。早遊靜菴趙先生門。文章行義重於士林。薦授參奉。與弟副提學淑。騈命於乙巳之禍。宣廟朝特命伸雪。高祖諱允禮縣監。曾祖諱緯通德郞。祖諱奉與參奉。考諱星仁隱德不仕。妣順天朴氏祥黙女。公生于天啓乙丑八月二十二日。天性孝友。自幼有深愛於父母。甚得父母歡心。甘旨之供。志體之養。未嘗有闕。親癠思江魚。時方隆冬。無處求得。公露立江干。仰天號泣。氷解而魚躍。歸而泰親。侍疾數朔。暫不離側。嘗糞嘗藥。願以身代。至不可救。斫指進血以延三日之命。逮其不諱。復斷其指以冀回甦。年纔十三。而居憂哀毁之節。朝夕饋奠之奉。一於禮不懈。非時見乎母。則不離几筵。旣葬省掃。不廢風雨。晨夕無怠。雖老成人。皆自以爲不及焉。家甚貧。奉養偏慈。備盡誠敬。山樵水漁。朝耕夜書。而親極滋味。鄕里感嘆。一口稱孝子。方伯啓聞于朝。命賜米饌。特除寢郞。繼下門閭之旌。有如天鑑孔昭。壽階僉樞。卒于甲子三月三十日。有一男舜孝。亦以孝旌閭增佐郞。可謂孝子有孝子。孫男長曰佾次倜。俱有文行。嗚呼。公以京華世族。流落湖鄕。早孤終鮮。若將不振。而卓然自立。卒能以行義著。惟其事親殫誠。尤人所難及。竊以愚意揆之。扣氷得魚。似王休徵。嘗糞願代。似庾孱陵。漁樵耕讀。隱居行義。董邵南其人也。跡公平生。雖其天姿有過人者。而世德之懿。不可誣也。今相一又能澡身勤學。知名士友間。公之不食之報。其在斯歟。銘曰。人有秉彝。本乎天性。孝爲子職。原於百行。公實無愧。存順歿寧。宅兆再移。南村之塋。亦惟賢孫。奉先思孝。凡百君子。是則是傚。我銘其幽。昧者之矚。有來百世。過者必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宣略將軍訓鍊院僉正宋公墓碣銘【幷序】 公諱弘賢字善夫。宋氏系出礪山。高麗進士惟翊其始祖。貞烈公松禮文肅公琰。益大以顯。入本朝。莊陵節臣。西齋忠剛公侃。有大名于世。生諱仲儒縣監。生諱思平相禮。生諱玉孫縣監。生諱純禮。討平藩胡。壬辰殲賊立功。錄精勳。特除濟州牧使贈兵曹判書諡忠襄。卽公之祖也。考諱字祥蔭察訪。妣令人光山金氏沅之女。以萬曆丁亥生。幼而天姿穎悟。甫就學。誦習不倦。大書孝於親忠於君可成人九字於壁。筆畫勁健。忠襄公大奇之。稍長文藝夙就。藻思溢發。一時儕流。皆自以爲不及。兼習武藝。嫺於弓馬。忽自反曰。立身揚名。自有其道。遂從隱峯安先生遊。得聞栗牛緒論。孳孳服膺焉。侍察訪公疾。醫藥飮食。便旋扶持。身親服勞。未嘗代人。及丁憂。哀毁踰制。前後喪皆然。治家有法。嚴整而和順。內外斬斬。教子孫諄諄誘。使之通大義焉。丙子亂大駕入南漢。公聞變號哭。與隱峯先生協同倡義。措畫方略。多出公手。行到金溝。見官軍潰散。奮然曰。君父之急。何可緩也。勇往直前。纔到礪山。聞城下之報。相與痛哭曰。皇恩寧可背乎。國讎豈可忘乎。遂八寶城之大泉洞。築一軒於泉上。榜曰泉隱。題東壁曰崇禎山水大明日月。西壁曰聖述春秋。賢修討復以見志。不復進取。隱居求道。丙戌時宰言公有志節。自上命授訓鍊僉正。非其志也。己丑仁廟昇遐。公服喪不食腥。是年十二月卒。葬在郡東鴨海遮日峯下午原。齊令人幸州奇氏致遠女。貞武公虔後。生一男時豪。迪順副尉贈左承旨。孫男三人。殷後天賚天壽。三女裵震豹宣名教朴文豹。公以忠孝世家。抱文武才略。若將有爲於世。而運命蕭條。十不展一惜哉。雖然早入師門。從事文學。臨亂倡義。奮發忠勇。其志節之卓犖。義氣之慷慨。足可以廉頑而立懦矣。公其賢乎哉。九代孫棋萬收拾家傳遺蹟。屬余爲銘。余以爲公之事蹟。著於節義錄山陽三綱錄。斯可以徵信。遂略加刪潤爲之銘。銘曰。早從賢師。德崇業廣。晚際國亂。倡義西上。之學之忠。世無與兩。莫曰不遇。死有耿光。賢孫鐫碑。用衛斧堂。戒爾樵牧。勿毀勿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平菴處士卞公墓碣銘【幷序】 公諱東彬初諱德基字汝寬。平菴其號也。卞氏本中朝人。有諱源。唐天寶間。以禮部尙書奉皇命。齎孝經東來敎民。東國之有卞始此。至諱廷實官門下侍中諡文烈。有功德於民。食采于草溪。因爲草溪人。自是累公累卿。勝國末。有諱贇。門下評理。當麗運將訖。與圃牧諸先生。傷時憂國。把酒飮泣入杜門洞。生諱南龍號靜菴門下侍中。我太祖微時受學。及登寶位。拜漢城判尹不就。入山絶粒而終。時人擬之夷齊。聖祖親作祭文。遣官致祭。享晉州誠久祠。生諱孝文世宗朝參佐翊功臣藝文提學。生諱孝欽號至樂軒爲鎭岑縣監。於公爲十世祖。生諱瑞進士。生諱元宗禮曹參議。生諱成溫。學者稱壺巖先生。與弟仁川先生諱成振。俱學于河西退溪二先生。爲湖南隱德之宗。無嗣子。以弟仁川第三男敬天爲後。是爲公高祖。曾祖諱尙仁祖諱時行考諱益相。妣羅州吳氏定果女。本生考諱明相。妣玉川趙氏鳴晉女。生公于景宗癸卯。幼而天資淳厚。志氣不凡。未嘗與群兒輩遊戲。行步安重。語默詳審。長老期以遠大。才上學。不煩長者之敎。而課業就將。自少孝性天至。事父母能竭其力。定省不違。志體兼養。門庭之內。和氣藹然。未嘗有拂言戾色。及喪二親。哀毁踰節。送終之禮。一遵文公家禮。而喪餘必盡如在之誠。致隆所後。而盡哀乎本生。蓋其至性然也。平居務爲勤儉。踐履純篤。敎子弟切禁其侈服傲態。鄕里咸服曰。公之至行。不愧爲壺巖先生肖孫云。常慕先祖之道德行義。重修月溪書院。復築壺巖草堂於斗巖之下。爲棲息之所。所與交。多當世賢士。最與頤齋黃公爲道義之契。黃公爲作平菴序曰。壺翁家庭淵源。將永有光於後世云。其嚮仰之志可知矣。嘗値歲歉荒。賑米百斛。以恤溝壑之民。朝家有褒賞之恩典。而職旨。入回祿不傳。公卒于壬子。享年七十。墓高敞雅山面永慕村後金盤嶝壺巖公墓下癸坐。配密陽孫氏景老女。貞順有婦德。墓合祔。擧四男。長鳴楚次興楚。曰相楚翊楚側室子也。鳴楚男學賢學聖。學賢男文華以孝友著。公歿後。遺風餘韻。久而不泯。公五世孫鍾爀草公遺事。屬余爲墓銘。掇其狀。而略書此以歸之。銘曰。孝爲家政。學傳世業。公生古家。負荷不忒。鄕推善士。世仰遺德。雅山之陽。有鬱四尺。我銘其懿。昭眎來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敏齋張公墓碣銘。幷序。 公諱鳳翼字聖瑞。其曰敏齋。華西李先生所扁也。張氏肇祖高麗大師諱吉世爲顯官。有諱機。以功食邑于興城。子孫遂爲興城人。至遯菴諱肇平。卽公十二世祖也。高祖世英號養正窩。曾祖昌羽號孝友堂。有儒林淵源。祖永國贈通訓。考鉉號敬九堂贈通政。妣淑夫人。浙江片氏正祥女。正廟甲辰生。公才器聰敏。稍長優游於詩書六藝之科。工於詞賦。旣屢擧不中。乃歎曰身未立而名亦不揚。家素貧而無以爲養。子職安在。因廢科業。躬自耕稼漁樵。甘旨之供。定省之禮。未嘗有闕。承歡怡愉。無戚戚之憂。能養以敬。有融融之樂。親癠祈天願代。將至屬纊。裂指灌血。能延七日命。丁憂哀毁罔極。及葬廬于墓側。揮淚草枯。跪處成坎。後喪亦然。鄕黨感歎。一口稱孝子。以至鄕道繡薦。不一而足。後贈嘉善。卒于憲宗丁未。墓在光州船道面華蓋山先壟下子坐配。貞夫人光山金氏德源女。墓公墓左癸坐。有四男三女。男德奎德起德一德潤。女慶州崔相業河東鄭東仁利川徐元兼。孫曾不盡載。嗚呼。孝者人子之職耳。旣孝矣。百行在此。公盡事親之職。而父母曰是善事我。講學師門。而師門奬許之。富於文詞。而士友稱譽之。若公殆夫子所謂入孝出恭。愛衆親仁。而餘力學文者歟。惜其晦迹草野。湮沒無聞於後也。雖然。實行在己。知不知在人。又何憾焉。公玄孫興燦。以李重權所記來請銘。銘曰事親盡孝。從師問學。敏齋之扁。眷眷膺服。是可爲銘。有辭來百。斧堂有刻。過者必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또 주동(鑄洞)에 가서 이야기하고 오는 길에 박 승지(朴承旨)를 만나고 왔다. 又往鑄洞談話, 而來路見朴承旨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二十七日 아침을 먹은 뒤에 각종 물품을 사고, 영주인(營主人) 편에 집으로 편지를 부쳤다.해 저문 뒤 길을 나서 삼례(參禮)에 이르러 묵었다. 30리를 갔다. 朝飯後, 貿各種物品, 付家信於營主人。 晩後發程, 至參禮留宿。 行三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차동에 머물렀다. 留車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 二十四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 二十五日 감기 때문에 출입할 수가 없었다. 以感氣不得出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몹시 추웠다. 사랑(舍廊)이 썰렁하여서 노비 시놈[時老味]의 방으로 나와 머물렀다. 極寒。 以舍廊之疏冷, 出留於時老味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추웠다. 종일토록 몹시 아팠다. 또 설사 증세가 매우 심각하니 몹시 염려스럽다. 寒。 終日大痛。 又得泄瀉症甚危重, 極可悶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 二十四日 추웠다. 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날씨가 조금 풀렸다. 저녁 무렵에 사랑으로 돌아왔다. 日氣稍解。 夕間還舍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추워서 행장을 아직 준비하지 못한 데다 약노(若魯) 씨가 출타하였기 때문에 또 용전(龍田)에서 머물렀다. 寒以行具之未辦及若魯氏出他之, 故又留龍田。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